본 연구에서는 유기용매용 나노여과막 (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OSN)의 유기용매 투과 및 분리성능을 분 석하였다. 비극성용매에 적합한 Puramem (PM) 시리즈 분리막의 소재를 분석한 후 다양한 유기용매 분위기에서의 투과성능 을 데드엔드셀로 측정하였다. PM 시리즈 분리막은 극성용매 대비 비극성용매에서 더 높은 투과도를 보였으며, 용질의 종류 및 분자량에 따라 매우 독특한 배제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 수처리에 적용되는 Solution-diffusion 투과모 델이 OSN 투과모델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solvent-solute-membrane 간의 상관관계를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인자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Dead-end와 Crossflow 시스템을 사용하여 유기용매 나노여과(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OSN) 상용분리막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가교된 polyimide 소재 기반의 Duramem (DM) OSN 분리막의 성능을 ethanol, dimethylformamide (DMF), acetone, acetonitrile 용매에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네 종류의 분획분자량 성능을 갖는 DM 분리 막의 성능을 평가하였을 때 dead-end보다 Crossflow에서 조금 더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동일한 분리막이더라도 용매의 특성에 따라 투과도와 선택도 차이가 크게 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압밀화현상으로 인한 초기 안정화 기간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분리막마다 안정화기간이 다르므로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기 위해선 Crossflow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더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whether HEPA filter-equipped air purifiers can remove aerosolized virus, whether the removed virus can re-scatter through the filter, and how long the removed virus keeps its infectivity in the filter. For this investigation, six HEPA filter-equipped air purifiers produced by different companies were tested against PhiX174 and MS2 phages aerosolized by nebulizers. For viral detection from the air, LB agar plates covered with Escherichia coli hosts and an Andersen air sampler were used, and from the surface, the swab method was used. Both the aerosolized PhiX174 and MS2 viruses absorbed by the HEPA filters in the air purifiers were not detected from the air through filters or the surface of the outlet of the air purifier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s at medium mode, the infectious viral concentration of these viruses in the HEPA filters decreased to 0%~12.3% as the time period passed. These results regarding infectious viral concentration differences were assumed to be due to the different wind speed and air volume among the six air purifiers. Based on observations over 5 days, the infectious viral concentration of the PhiX174 phage was 8,600 times lower when the air purifier was operated than when it was not operated. Overall,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HEPA filter-equipped air purifiers can efficiently remove the two aerosolized viruses and the removed viruses in the HEPA filter could not re-spread and maintain their infectivity.
염석효과를 바탕으로 가압법과 상전이를 이용하여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수용 성을 띄는 고분자 폴리스티렌설폰산(poly(styrene sulfonic acid)과 폴리에틸렌이 민(polyethylene imine)을 사용하였으며, 질산마그네슘의 첨가로 생긴 고분자입 자들을 다공성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polyvinylylidene –fluoride) 막 표면에 가압하는 방식으로 기공 내부로 들어가게 하여 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막은 가정용 정수기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100ppm의 NaCl용액에 대해 4 bar하에서 배제율과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PSSA 4 min, PEI 2 min 동안 코팅 한 2중층 복합막에 대해 배제율 81.7%, 투과도 148.3 LMH의 결과값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