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ed genetic algorithm (DGA), also known as island model or coarse-grained model, is a kind of parallel genetic algorithm, in which a population is partitioned into several sub-populations and each of them evolves with its own genetic operators to maintain diversity of individuals. It is known that DGA is superior to conventional genetic algorithm with a single population in terms of solution quality and computation time. Several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parameters on GAs, but there is no research work yet that deals with structure of DGA. In this study, we tried to evaluate performance of various genetic algorithms (GAs) for the famous symmetric traveling salesman problems. The considered GAs include a conventional serial GA (SGA) with IGX (Improved Greedy Crossover) and several DGAs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crossover operators such as OX (Order Crossover), DPX (Distance Preserving Crossover), GX (Greedy Crossover), and IGX. Two distinct immigration policies, conventional noncompetitive policy and newly proposed competitive policy are also considered. To compare performance of GAs clearly, a series of analysis of variance (ANOVA) is conducted for several scenarios.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ANOVAs show that DGAs outperform SGA in terms of computation time, while the solution quality is statistically the same. The most effective crossover operators are revealed as IGX and DPX, especially IGX is outstanding to improve solution quality regardless of type of GAs. In the perspective of immigration policy, the proposed competitive policy is slightly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policy when the problem size is large.
수원을 비롯한 전국 29개 지역에서 썩덩나무노린재를 채집하여 미토콘드리아 의 Cytochrome Oxidase I 유전자를 분리, 염기서열을 조사하여, 각 지역 계통 간 DNA의 염기서열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미국 5개 지역으로부터 수집된 표본도 분석에 포함하여 유전적 근친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썩덩나무노 린재 유전자 근친도는 미국에 비해 국내 지역 계통간 서로 매우 가까운 것으로 밝혀 졌다. 발원지는 경기도 북부 지역으로 추정되며, 이 후 남쪽으로 계속 확대해간 것 으로 추정된다. 미국 종과 비교해 보면 차이가 많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미국 종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썩덩나무노린재가 국내 고유종으로 인정되고 있으나 미국 종들 보다 유전적 변이가 적고, 일부 중북부 지역에서 채집한 지역종이 미국 종과 유전적 근친도가 높은 점, 그리고 국내 지역 종들 간 유전적 친화도가 매우 높은 점 은 이들의 원산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중북부 지역에 서 속하는 계통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전국적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 서 썩덩나무노린재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전파한 것으로 생각되어 북쪽의 썩덩나 무노린재의 유전적 다양성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며, 보다 면밀한 연구를 위해 개체 변이를 측정할 수 있는 마커를 가지고 심도 있는 집단 유전 연구가 필요하다.
Polyfluorene (PFO) 발광 층과 두 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의 PFO polymer base OLED를 기본으로 강유전성의 BaTiO₃나노입자를 PFO 발광 층 내에 분산시킨 OLED 소자를 제작하여 분산된 강유전체 나노입자의 영향과 동작에 미치는 역할을 알아보았다. 140 nm 두께의 발광 층 내부에 대비 80 nm의 크기를 가지는 강유전성 BaTiO₃입자들은 OLED 동작 중에 인가전압에 의해 대전되어 전기쌍극자를 형성하고, PFO의 발광 층 내로 주입된 전자 및 정공들과 각각 coulomb force에 기인하는 상호작용을 하여 OLED 소자의 전류밀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FO의 질량대비 10 wt% 에 해당하는 소량을 첨가하였을 때에 OLED소자의 문턱전압이 약 2 V 감소하는 개선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유전체가 첨가되지 않은 소자에 비하여 휘도가 약 2 배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BaTiO3/epoxy composites have been widely investigated as promising materials for embedded capacitors in printed circuit boards.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dielectric constant (K) of the BaTiO3/epoxy composites increases with improvement of the dispersion of BaTiO3 particles in the epoxy matrix that comes from adding surfactant. The influences of surfactant addition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the BaTiO3/epoxy composites are reported in the present study.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BaTiO3/epoxy composites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urfactant addition. However, the temperature coefficient of capacitance increases and the peel strength decreases as the amount of added surfactant increases. The influences of surfactant addition on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the neat epoxy are also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BaTiO3/epoxy composites. The residual surfactant in the BaTiO3/epoxy composites affects the temperature coefficient of capacitance and the peel strength of the epoxy matrix, which in turn affects the temperature coefficient of capacitance and the peel strength of the BaTiO3/epoxy composites.
최근 구조최적화분야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유전알고리즘은 해집단을 운용하기 때문에, 많은 반복수와 적응도 평가를 위하여 해집단의 수에 해당하는 구조해석을 필요로 하며, 또한 교배율과 돌연변이율 등의 파라미터에 따라 알고리즘의 성능이 변화하므로 문제에, 따라 적합한 파라미터 설정이 필요한 근본적인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유전알고리즘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복합유전알고리즘을 마이크로유전알고리즘과 단순유전알고리즘을 결합한 형식으로 그리고, 최적화에 요구되는 연산을 다수의 개인용 컴퓨터에서 동시에 분산하여 수행할 수 있는 고성능 분산 복합유전알고리즘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철골 가새골조 구조물의 최소중량설계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Parallel Genetic Algorithms partition the whole population into several sub-populations and search the optimal solution by exchanging the information each others periodically. Distributed Genetic Algorithm, one of Parallel Genetic Algorithms, divides a large population into several sub-populations and executes the traditional Genetic Algorithm on each sub-population independently. And periodically promising individuals selected from sub-populations are migrated by following the migration interval and migration rate to different sub-populations. In this paper, for the Travelling Salesman Problems, we analyze and compare with Distributed Genetic Algorithms using different Genetic Algorithms and using same Genetic Algorithms on each separated sub-population 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using different Genetic Algorithms obtains better results than using same Genetic Algorithms in Distributed Genetic Algorithms. This results look like the property of rapidly searching the approximated optima and keeping the variety of solution make interaction in different Genetic Algorithms.
본 연구에서는 분극성을 갖는 미세분말/유전유체 분산계내의 전기유변효과를 mechanism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전기유변효과를 일으키는 mechanism을 (1)입자표면전도(surface conductance) (2)입자내부전도(bulk conductance(3) 유도분극(induced polarization)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소수성(anhydrous-base)전기유변유체 내의 미세분말 입자간 상호인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유도분극 mechanism을 적용하여 수학적으로 모델화 함으로써 전기유변효과를 향상 시키기 위한 재료선정의 기초로 하였다. 전기유변유체의 미세입자로 이용될 수 있다고 여겨지는 ceramic, ferrite 및 polymer등 7가지 재료를 선정하여 계산한 결과 ceramic및 ferrite입자가 입자간 상호인력이 큰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decentralized data process based system identification(SI) method for building structure is proposed. For verification of the method,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and the validity of the method was confirmed using unused displacement response in SI.
대두의 엽부위별 각 형질의 평균치, 분산, 유전력을 추정하고 각 형질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본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병장, 주소엽엽병장, 주소엽장, 주소엽폭, 주소엽면적, 측소엽장, 측소엽폭, 측소엽면적 등 제형질은 품종에 따라 평균치가 다르며 이들 형질도 품종의 한 특성이 될 수 있었다. 2. 엽형을 구성하는 제형질 중에서 엽병장의 유전력은 낮고. 엽장보다 엽폭의 유전력이 높았으며, 엽면적에 있어서는 주소엽과 측소엽의 엽면적의 유전력은 모두 높았다. 3. 각형질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본바 엽병장과 타형질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보이지 않고, 주소엽이나 측소엽에 있어서 엽장과 엽폭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엽장과 엽면적간, 엽폭과 엽면적간에는 주소엽, 측소엽을 불문하고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보아 대두의 복엽중 1수의 주소엽의 면적과 2수의 측소엽의 면적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엽면적은 엽장과 엽폭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엽면적의 광협, 엽장과 엽폭의 장단은 품종의 특성으로서도 중요하므로, 이들 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수, 유전자의 지배가에 대한 유전연구는 남은 중요과제가 될 수 있다고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