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구 온난화와 이상기후현상으로 인한 온실가스가 증가함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국가 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이 중요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야 지역, 중산간 지역, 산간 지역의 탄소 순환 해석을 통하여 탄소의 흡수 및 배출의 해석을 통한 요인별 원단위를 분석하고 실제지역 구성 비율에 따라 원단위를 적용하여 해석해 보았다. 농촌지역의 탄소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그 지역이 평야지역 일 때와 산간지역 일 때의 탄소의 흡수·고정·배출량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평야지역의 경우 타지역에 비하여 축사에서 탄소 배출량이 많아서 탄소배출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야의 면적이 가장 적은 관계로 탄소 고정량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중산간지역의 경우 차량에 의한 탄소 배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임야 면적이 평야지역에 비하여 넓은 관계로 고정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산간지역은 넓은 임야면적 때문에 탄소 고정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어촌이나 도심지역으로 확대하여 비교·분석한다면 탄소의 흡수·고정·배출량을 관한 기초자료를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2.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per reports on the prediction of turbulent heat transfer in flows between parallel plates with wall transpiration. The elliptic blending second moment closure for turbulent stresses and the GGDH model for turbulent heat fluxes are employed to predict the turbulent flow and heat transfer. The numerical results by the adopted models are directly compared to the DNS data and the measurements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predictions. The predictions show correctly the effect of deceleration and acceleration of the flow caused by the transpiration, and the anisotropy of the turbulence structure is augmented towards downstream by the fluid injection. The turbulence structure an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ranspired flows are well captured by the present turbulence and heat flux models.
        4,000원
        3.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물리적, 지형적 특성으로 구성되고 있는 만내수괴의 유출입 구조와 해수의 교환능력을 정량적으로 구하기 위해, 진해만과 그 부속 내만을 대상으로 하여 현지관측에 근거해서 다음과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덕수도 단면의 유출입 특성은 유출수괴의 유축은 1조석주기동안 남북으로 2회 왕복운동을 진행하며, 대체로 하층에 존재한다. 유입수괴의 유축은 남부와 북부에 양분되어 존재하는 경향이다. 전 시간에 걸쳐 반류현상으로 보이는 유출입 수괴가 동시에 존재한다. 2. 양 수도를 통한 해수유출입량의 비율은 가덕수도에서 대조기 약 86~90% 소조기 61~80%유출입된다. 따라서, 가덕수도를 통한 수괴의 유출입이 만의 해수교류.교환을 지배한다. 3. 하계만의 해수교환율은 양 수도에서 대조기 12~13%, 소조기 20%이상이나, 마산만 입구에서는 대조기 9%, 소조기 2%정도에 불과하다. 4. 하구역 특성으로 본 해수교환기구는, 가덕수도가 흐름은 깊이에 따라 방향이 변하고 약간 성층되나, 잘 혼합된 염분분포를 나타내어 salt flux는 주로 이류에 의존한다. 마산만은 sill의 해저지형가 만 입구에서 tidal trapping 현상으로, 고도의 성층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4,000원
        4.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hosphorus (P) is an essential and major nutrient for both plants and animals. However, anthropogenic P in the environment may cause severe problems such as the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Therefore, it is essential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manage P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e annual P budget for Korea was 46 kg P ha-1 in 2013, placing Korea in second among Organic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countries. P surplus and deficiency in agricultural lands can be estimated according to the P budget, which is one of the OECD agri-environment indicators. In the P budget, it is important to ensure consistency in the input-output data sources, in order to apply national and regional policies for the environmentally sound management of agricultural P.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s on the input-output data sources in the regional P budget in Korea. P budgets were between 99-145 kg-P/ha, depending on different data sources. We suggest two recommended data combinations (DC 1 and DC 2) for reliability of the data. P budgets calculated using DC 1 and DC 2 were 128 kg-P/ha and 97 kg-P/ha,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one of the core factors affecting P budgets was crop production. In this study, DC 2 was recommended rather than DC 1 in order to consider the cultivated areas for various crops. It is also necessary to analyze the sensitivity of the coefficients used in P budget in the future.
        5.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망의 비정상 상태 흐름을 해석하기 위하여 파속조절법을 이용하여 관망해석모형을 개발하였다. 특성선법을 이용한 실제 상수관망에서의 부정류 해석시 다양한 경계조건의 존재로 인해 해석과정이 매우 복잡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선법 해석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보다 간단하고 정확하게 경계조건을 처리할 수 있는 기법을 도입하였고 외부 유출 유량을 직접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방정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유도된 방정식을 이용하여 수격해석 모형을 개발하였으
        6.
        2000.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day travel demand continues to increase with spread of economic zones. Also, urban freeway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tra-zone transportations as a major corridor in a big city. However, most of urban freeways experience a severe congestion with the excess of inflowing or outflowing traffic through freeway ram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affic characteristics,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raffic characteristics and finally construct the speed predictive models on the ramp junctions of urban freeway under th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ITS) settings. From the analyses of traffic characteristic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ⅰ) 24 hours average traffic characteristics flow, occupancy, speed under the ITS settings showed about 40%, 38%, 8.8% increase each on urban freeway junctions period when compared with that under the non-ITS settings each other. Free flow speed and traffic flow on the mainline sections of urban freeway under the ITS settings also showed about 20% and 17% increase when compared with that under the non-ITS, respectively. ⅱ) The upstream when compared speed( Su)and downstream occupancy( Od) were especially shown to have higher explanatory powers on the stable flow ramp junctions, but the upstream speed( Su) and downstream flow( Vd) were especially shown on the unstable flow ramp junctions of urban freeway under the ITS settings.ngs.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