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고기능 인지 평가도구의 사용 빈도 및 시행방법, 평가영역, 인지 요소에 따른 분석을 시 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7년도 1월부터 2022년도까지 12월까지 Web of Science(WoS), CINAHL, Pubmed, MEDLINE 데이터베이스에 게재된 문헌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논문 45편에서 추출된 9개의 평가도구의 출현 빈도수, 대상자, 평가 시행 방법, 평가영역을 분석하였다. 결과 :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고기능 인지 평가도구는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BRIEF) 로 확인되었다. 평가도구 사용 대상자 분석 결과, 뇌성마비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평가도구의 영역은 대부분 과제 수행형 평가(task performance assessment)였다. Frontal Systems Behavior Scale(FrSBe), Dysexecutive Questionnaire(DEX), Computerized Neurocognitive Battery(CNB)는 논리적 인지 요소와 함께 사회정서적 인지 요소를 평가하는 영역이 있었으며 일상생활 기반 과제 수행형 평가 (ADL-based task performance)는 Executive Function Performance Test(EFPT)뿐이었다. 평가도 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는 모두 허용할만한 수준이었다. 결론 : 논리적 측면의 ‘Hot Executive Function(EF)’와 감정적 측면의 ‘Cold EF’를 모두 측정하는 평가 도구의 수가 적으며, 집행기능을 일상생활의 과제 수행을 기반으로 하는 평가도구의 수가 제한적임이 나 타났다. 보다 넓은 전두엽 영역을 평가하고 재활치료에 있어 중요한 일상생활에서의 독립적 기능을 가능 하게 하기 위해 이러한 점을 보완한 고기능 인지 평가도구에 대한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다.
        5,100원
        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태블릿 기반의 인지평가를 통해 세부 인지기능의 프로파일 을 비교함으로써 본 평가가 진단그룹에 따른 인지기능 상태를 평가하는데 변별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총 80명의 만 4~12세 아동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진단명별로 자폐 스펙트럼(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24명,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y; ID) 20명,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 동 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7명, 정상발달 아동 29명이 참여하였다. 태블릿으로 개발된 인지평가는 총 8개 항목으로 공간작업기억, 작업기억용량, 시각적 작업기억, 시지각 처리기술, 집행기능(계획), 집행기능(반응억제 및 주의력), 집행기능(억제)의 세부 인지항목으로 구성되 어 있다. 평가를 시행한 후 진단그룹에 따른 차이를 Kruskal-Wallis 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통계분석 은 Jamovi 1.6.23 을 사용하였다. 결과 : 정상발달 아동에 비해 자폐 스펙트럼, 지적장애, ADHD 아동의 인지평가 총점이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χ²= 22.41, p < .001). 정상발달 아동에 비해 자폐 스펙트럼 아동은 시각 처리기술 및 억제기능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기능 저하를 보였고, 지적장애 아동은 작업기억 용량, 시각적 작업기억과 반응억제 및 주의력 항목에서 유의미한 기능 저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ADHD 아동의 경우 정상발달 아동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인지평가 항목이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개발된 태블릿 기반의 인지평가는 정상발달 아동과 발달장애 아동의 인지기능의 상태 를 변별함으로써 치료의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치가 있다.
        4,900원
        3.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경도 인지장애 선별을 위한 전산화 인지기능 평가의 체계적 고찰을 통해 임상 및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5년 11월 한 달 동안 Embase, PubMed, PsycINFO, The Cochrane Library에서 “computerized” OR “computer-based” AND “cognitive assessment” OR “screening test”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의 키워드를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12개의 연구에서 9개의 전산화 인지기능 평가를 추출하였다. 연구의 질적 수준, 평가 구성 비율, 대상자 선정기준, 평가 운영체제, 시행방법, 평가영역, 신뢰도, 민감도 및 특이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12편의 연구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수준Ⅱ의 연구는 11편으로 전체의 91.7%였고 수준Ⅲ 단계의 연구는 1편으로 전체의 8.3%를 차지하여 전반적인 근거수준은 대체로 높았다. 경도 인지장애 대상자 선 정을 위해서 간이정신건강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을 포함해 다양한 평가를 사용하고 있었다. 9개의 전산화 인지기능 평가 중 알츠하이머형 치매 선별도 가능한 것은 3개였다. 대부분의 평가는 컴퓨터 기반으로 3~30분 이내의 시간에 시행되고 있었으며,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이용한 자기시행법이 가장 많았고 터치를 이용한 방법이 다음으로 많았다. 각 평가별로 평가영역에 차이가 있었 으나 기억력 평가는 모든 평가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평가의 신뢰도는 대체로 높았다. 평가의 민감도 및 특이도는 지필평가와 유사하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경도 인지장애 선별을 위한 전산화 인지기능 평가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추후 경도 인지장애 선별을 위한 전산화 인지기능 평가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4.
        2014.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5.
        200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Korean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 in measurement of cognitive functioning in patients with brain damage. Methods: Eight tests of Korean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 (1) Simple Reaction time, (2) Choice Reaction time, (3) Color Word Vigilance, (4) Digit Classification, (5) Digit Addition, (6) Symbol Digit Substitution, (7) Digit Span, (8)Finger Tapping Speed, were administered to the 30 patients who had impairments in cognitive function.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 (MMSE-K), and Purdue Pegboard Test were also administered compare with the computerized tests. Results: It was found that Choice Reaction time, Color Word Vigilance, Digit Classification, Digit Addition, Symbol digit Substitution, and Digit Span of computerized tests were acceptable in the patients who had MMSE-K score of 20 and more than 20. And Simple Reaction Time was found to be a useful test in the patients with MMSE-K score of less than 20. MMSE-K scor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Choice Reaction time, Color Word Vigilance, Digit Classification, Digit Span of computerized test. The scores of Purdue Pegboard were also highly correlated with the scores of Finger Tapping Speed, In computerized tests, Choice Reaction time, Color Word Vigilance, Digit Classification, and Digit Span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Korean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 was found to be a useful test in measurement and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s.
        4,200원
        6.
        200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evelopmental data of the performance of children between the age of 6 to 12 to verify the hierarchical order of acquiring the cognitive competencies and to identify whether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sted in revised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 The test consists of six subtests designed to be representative of various cognitive abilities. The subjects were 60 normal children from age 6 to 12 were assigned to a group 1 from 6.0∼7.11, a group 2 from 8.0∼9.11 and a group 3 age 10.0∼12.0. We measured their cognitive-perceptual ability with LOTCA. The results were a progress with from 6 to 12 years in both and speed of performance. Male group showed better score than females in Shape Identification of Visual Perception, Logic Question of Thinking Operation, Attention And Concentration. The Females are better than males in Motor Imitation of Motor Praxis, Pegboard Construction and the performance duration, Colored Block-Design and the performance duration, Plain Block-Design and the performance duration, and The length of time taken. Several subtests except Visual Perception, Direction on Cs’ Body, Spatial Relation of Spatial perception, Motor Praxis, Two-Dimensional Model of Visuomotor Organization, ROC Unstructured, ROC Structured, Pictorial Sequence A, and Pictorial Sequence B of Thinking Operation, which a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With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 that LOTCA is an appropriate tool for occupational therapists to use in assessing cognitive-perceptual abilities.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