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Tait-Wick과 Duke-Elder의 방법에 의한 시기능이상과 읽기능력의 상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안질환이 없고 굴절이상이 완전 교정된 151명을 대상으로 Tait-Wick과 Duke-Elder의 방법으로 시기 능이상군의 종류를 나누어 읽기능력검사를 실시하였다. 시기능검사는 원‧근거리 수평사위도와 조절력, 폭주근점, 원․근거리 융합버전스, 조절용이성을 측정하였고, 읽기능력은 ReadAlyzer를 사용하여 단어주시시간, 단어반복보기횟수, 줄반복보기횟수, 읽기속도, 이해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폭주부족군은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단어주시시간이 감소하였고(t=-2.423, p=0.019), 단어반복보기 횟수는 증가하였으며(t=4.770, p=0.000), 그 결과 읽기속도가 감소하였다(t=-5.674, p=0.000). 조절용이성이상군은 정상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로 단어반복보기횟수가 증가했고(t=2.844, p=0.006), 읽기속도는 감소했다(t=-5.617, p=0.000). 다른 시기능이상군은 읽기요소에 대한 유의한 차이와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 폭주부족군은 독서 시 폭주가 충분치 않아 근거리 주시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단어주시시간이 감소하 고 단어를 반복해서 보게 되며 그 결과 읽기속도가 감소한 것으로 사료된다. 조절용이성이 작을수록 단어반복보기 횟수가 증가하고 읽기속도가 감소한 것으로 보아 검사거리가 40cm로 고정된 상태에서도 독서 시 미세한 조절자극의 변화가 발생하였고 이에 대한 부적응이 일어난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시기능이상은 읽기의 운동적 요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인지적 요소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사료된다.
        4,300원
        3.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early reading stage, readers should be supported both orally and conceptually so that they are equipped with the basic skills and knowledge about word recognition. Thus, a lack of systematic support in the early reading developmental stage impedes the natural growth of reading ability. This article investigated how children were supported in reading from their teachers in the primary English classrooms. To accomplish this purpose, eleven reading-focused classrooms were analysed. Observations, video recording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Field notes and checklists were also used during the observations. Qualitative analyses revealed that children were poorly supported in learning to read: teachers used few limited teaching techniques and their uses were not effective on reading. The data from the interviews revealed that teachers were rarely trained for reading instruction, and that they possessed a limited knowledge about the English language system as well as about the reading development of young learners. Hence, the teachers' poor background knowledge and lack of skills led to less effective reading instru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teachers require training such as in basic knowledge about the English writing system and reading development in order to deliver effective reading instruction to early readers.
        6,700원
        4.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7차 개정 漢文科敎育課程중 ‘읽기’에서는 ‘漢字․漢文의 正確한 朗讀’을 요구하고 있다. ‘漢字․漢文의 正確한 朗讀’이란 韓國語‘標準發音法’을 따르는 것이다. 漢字音도 韓國語發音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漢文科에서는 漢字音敎育이 國語發音敎育의 한 부분이라는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韓國語標準發音法에서는 母音의 長短音을 구별하여 말해야 標準發音이 되는데, 현재까지 漢文科敎科書는 長短음을 구별하지 않는 不正確한 漢字音을 적어 왔고 漢文科敎師는 非標準漢字音을 가르쳐 왔다. 오늘날 韓國語의 標準發音敎育은 國語科에서는 불가능하다. 國語科敎科書는 한글專用으로 되어 있는데, 현행 한글은 長短音을 구별하지 않고 적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漢字를 가르치는 漢文科에서만 正確한 漢字音敎育이 가능하다. 漢文科에서 漢字의 標準發音敎育을 잘 해준다면, 漢字語가 韓國語語彙의 70%를 차지하므로 학생들은 韓國語標準發音을 거의 할 수 있게 된다. 따 라서 漢文科교육자들은 “漢字音의 正確한 敎育”은 漢文科의 時代的使命이자 特長임을 인식해야 한다. 글쓴이는 이런 관점에서 기존의 漢字音관련 論文들을 檢討해 보았는데, 현재 漢文科敎育에서는 長短音을 구별하지 않는 平讀이라는 잘못된 漢字音敎育을 大勢로 인정하고 있었다. 이는 時急히 바로잡아야 한다. 漢文科授業시간에 正確한 漢字音을 敎育하는 方法은 다음과 같다. 먼저 個別漢字音을 正確히 가르친다. 그리고 2․3자 漢字語, 4자 成語, 漢文, 漢詩는 나눌 곳을 각각 잘 알아서 끊어 읽게 해야 한다. 그리고 항상 제1音節에서만 長短音을 區別하여 發音하게 하면 된다. 漢文科敎師가 正確한 漢字音을 지도할 수 있으려면 본인이 먼저 正確한 漢字音을 알아야 한다. 그럴려면 敎育漢字代表訓音選定(案)(2000) 같은 책을 통해 漢字音의 長短音區別을 익혀야 한다. 漢文科에서 正確한 漢字音을 교육하면, 標準漢字音을 잘 배운 사람은 비록 한글專用으로 된 글일지라도 스스로 長短音을 區別하여 漢字를 正確히 朗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글專用을 補完하기 위해서라도 漢文科에서는 正確한 標準漢字音을 敎育해야 한다.
        7,700원
        5.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has been reported that primary school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the reading process and their interests and achievement in reading is low, in spite of the various methods that have been introduc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ding approaches at the primary school level.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rimary English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analyzed in order to explore the approaches that were adopted for primary English reading. The textbooks were analyzed in two aspects: the selection of words and the teaching methods for reading. The data revealed that the curriculum looked well-structur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reading, but that the textbooks did not facilitate reading for early readers. Although the reading text increased gradually from the letter to the sentence level, the words in each unit were not organized to help readers recognize the text efficiently which impinged on th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Since words at each unit were selected meaning-based, students had to memorize them as a unitary whole. On the other hand, it was rare to find words structured on the basis of letter-sound relations between words. This lack of structure prevented students from recognizing the alphabetic principles of English. As a result, the textbooks did not consider the bottom-up skills at all in its development process. Therefore, students failed to acquire the basic principles of alphabetic language in the early reading stage. Some suggestions for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are presented in the end.
        6,100원
        6.
        199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9,300원
        8.
        1987.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9.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토익중심의 영어 읽기 수업에서 상호적 읽기 (reciprocal reading) 방법이 학습자의 읽기전략 상위인지 자각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ies: MARS) 변화, 읽기이 해 및 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해석 위주의 읽기 (translation-based reading) 방법과 비교하 였다. 연구 참여자는 공인 토익 읽기점수 중급 정도 수준의 (495점 만점에 220-280) 54명의 학습 자들로, 상호적 읽기 방법과 해석위주의 읽기 방법, 두 그룹으로 나뉘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읽기 전략 상위인지자각과 전략 사용 변화를 알기 위해 고안된 MARS 목록 질문지를 사용하여 사전 및 사후 반응을, 읽기이해 성과는 읽기 활동 바로 후, 내용의 의미와 관련된 사지 선다형 문제에 대한 이해점수를, 그리고 어휘 학습에 대한 효과는 사전 테스트를 통해 얻어진 14개의 목표어를 읽기 활동 후 즉각적인 사후테스트와 1주 후의 지연된 테스트를 통한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분석에 의하면 해석위주의 읽기 방법과는 달리, 상호적 읽기 방법이 읽기 전략 상위인지자각 및 전략사용, 읽기이해, 그리고 단기 및 장기 어휘기억에 현저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상호적 읽기 에 포함되는 네 가지 활동, 즉 내용 추리하기 (predicting), 명확히 하기 (clarifying), 질문하기 (questioning), 그리고 요약하기 (summarizing), 등을 통하여 그룹안의 보다 능숙한 동료들 및 선 생님과의 상호 작용과 피드백을 얻으며 효과적인 읽기전략, 내용이해 및 어휘 학습을 위한 스케 폴딩 (scaffolding)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10.
        2010.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읽기교육의 연구물을 조사․정리하여 지금까지의 연구의 경향을 밝히고 앞으로의 한국어 읽기교육에 관한 연구의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 읽기교육의 연구는 김경숙(1983)을 시발점으로 하여 2009년 8월까지 발표된 총 편수는 학술지 논문이 49편이고, 학위 논문이 58편이다. 총 107편의 논문 중에서 주제별로 읽기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물이 64편,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물이 16편, 텍스트에 관한 연구물이 27편이었다. 이 중 읽기 교육 방법의 연구물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의 세 가지 경향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선 읽기 수업을 읽기 전, 읽기, 읽기 후 등으로 세분하여 각 단계별로 어떻게 읽기수업을 진행할 것인가에 대한 교수 방안이다. 다음으로 읽기 수업에서 교사나 학생이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소개하거나 각 전략이 가지는 장점과 수업에서의 효과 등을 증명한 연구이다. 마지막으로 읽기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읽기 방법을 활용한 수업 방안 제시 등이다. 앞으로 다양한 학습자의 요구와 필요에 맞는 다양한 읽기 수업의 방법과 전략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