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deals with the design of the marine antenna stabilization for an efficient 6 Degrees of Freedom(DOF) motion of a ship. Marine antenna must have abilities to target center and at the same time to stabilize the antenna dish in order to maintain its orientation toward the communication center. In order to achieve such requirements, structure stability and dynamics analysis to role to set up the simulation model. Prototype model designed and implemented into the DMU(Digital Mock Up) and MBD(Multi Body Dynamics) analysis method. Those simulation method has been carried out to stabilize the antenna under the ship motio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verification of structural stability better performance for marine antenna
본 연구는 지속적인 곡예 운동이 여자 체조, 프리스타일 스키어 및 피겨 스케이터 선수의 동적 자세 유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는 운동경력이 4-6년 된 운동선수로서 체조선수 7명, 프리스타일 스키어 선수8명, 피겨 스케이터 7명과 일반 여학생 10명을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동적자세의 운동능력을 비교하고자 뉴로컴사의 동적자세측정기를 이용하여 6가지 각 조건에 맞는 이른바, 시각계, 전정계 및 체성감각계가 동원되는 상황을 연출하면서 실험에 임하였다. 자료처리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는 집단 간의 차이를 보고자 Scheffe로 하였고,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연구결과 운동집단 간에는 조건 5에서 프리스타일 선수와 체조선수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운동선수 집단과 일반인 여학생 간에는 조건 2, 3, 4, 5, 6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속적인 곡예 운동은 평형기관계를 자극하여 동적자세 조절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Short foot exercise (SFex) is often prescribed and performed in the sport and rehabilitation fields to strengthen intrinsic foot muscles. However, SFex is difficult to perform because of lack of feedback methods. Obj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SFex with and without electromyography (EMG) biofeedback on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MLA) of healthy individuals who maintained a static standing position. Methods: All participants (14 males and 12 femal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biofeedback and non-biofeedback groups). The EMG activity of the abductor hallucis (AbdH) and tibialis anterior (TA) and the MLA angle on the dominant leg side were measured with the participant in the standing position in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conditions. The intervention session consisted of 15 minutes of SFex with (biofeedback group) or without (non-biofeedback group) EMG biofeedback. The groups were compared using two-way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The post-intervention activities of the AbdH muscle (p<.05) and the AbdH/TA ratio (p<.05)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biofeedback group than in the non-biofeedback group. The activity of the TA (p<.05) and the MLA angle (p<.05) in the biofeedback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post-intervention condition than in the pre-intervention condition. Conclusion: The present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combination of SFex and EMG biofeedback can effectively facilitate the muscle activity of the AbdH and strengthen the medial longitudinal 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visual biofeedback's influence on trunk muscles' (EMG) activity and endurance holding time for correct position during whole-body tilt exercise. For the study, we recruited 14 volunteers who showed no symptom of lumbar disease during medical tests. We measured the EMG activity of their rectus abdominis, external abdominal oblique, internal abdominal oblique and erector spinae muscles, and their endurance holding time for correct position during anterior and posterior whole-body tilt under two conditions: whole-body tilt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Resistance with gravitational force on the trunk during whole-body tilt was applied by using a device that had a monitor on which the subjects could check their alignment and that sounded an alarm if a subject's alignment collapsed. The study showed an increase in the EMG activity of external abdominal oblique, internal abdominal oblique/rectus abdominis ratio and endurance holding time for correct position during both anterior and posterior whole-body tilt with visual biofeedback compared with without visual biofeedback (p<.05). We suggest that the whole-body tilt exercise with visual biofeedback could be a beneficial strategy for selectively strengthening the internal abdominal oblique muscle and minimizing the rectus abdominis muscle's activity while maintaining correct alignment during whole-body tilt exercise.
본 연구는 뇌병변 장애아동과 보호자가 가정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세유지기 디자인을 제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먼저 뇌병변 장애아동의 특성, 자세유지기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국내외에서 개발된 자세유지기를 ‘경제성’ ‘사용성’ ‘심미성’ ‘범용성’ ‘이동성‘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사용성 테스트를 실시하여 자세유지기의 사용상의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였다. 사용성 테스트에는 4명(장애아동 2명, 보호자 2명)이 참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디자인개발 방향을 설정한 뒤 이를 토대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디자인결과물로 아동의 성장에 따라 프레임의 너비 등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A안과,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세련된 스타일로 실내 환경과도 잘 어울리는 B안이 제시되었다. 최종결과물은 자세유지기 전문 업체의 양산성검토를 거쳐 상품화될 계획이다.
본 연구는 경사표면의 특성과 경사각도에 따라 아동과 성인의 자세유지 및 보행 관련 어포던스 지각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수행 가능성에 대한 지각과 실제 수행 결과간의 관계가 연령에 따라서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취학 전 아동(M=5.7세), 취학 후 아동(M=9.8세), 성인(M=24.2세) 집단별로 각각 12명씩의 연구 대상자가 참여하였다. 실험 과제는 거친 표면과 미끄러운 표면으로 이루어지고 일곱 가지의 경사각도(12°, 17°, 22°, 27°, 33°, 39°, 45°)를 갖는 경사면에서 직립자세를 유지하고 걸어 올라갈 수 있는 가능성을 판단하는 과제와 실제로 경사면 위에서 직립자세와 이동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취학 전 아동은 경사각도가 심한 경사면에서 취학 후 아동과 성인에 비하여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성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성향은 직립자세유지와 이동 과제에서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다. 흥미로운 것은 이러한 지각 판단과 실제 수행간의 차이가 27°와 33°의 경사에서 경사표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미끄러운 표면에서는 과대평가 성향이, 거친 표면에서는 과소평가 성향이 크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언어적 반응 시간 결과에서는 모든 대상자들이 33°의 경사에서 지각 판단에 소요된 시간이 가장 많이 걸린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학 전 아동이 취학 후 아동과 성인에 비하여 직립자세를 유지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지각 판단에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연령과 환경적 특성에 따라 직립자세유지와 이동과 관련된 어포던스 지각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은 지각-동작 연합 발달 측면에서 중요하며, 이는 어린 아동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