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일반적인 상황이 아닌 전시라는 특수한 환경에서의 영상기반 AI 모션캡쳐 적용방법의 다양한 시도 를 살펴보았다. 이전의 방식을 살펴보면서 다양한 전시 환경과 조건에 따라 활용 가능한 방법을 연구하고, 장 단점을 서술하여 인터렉션 전시공간에 적용 가능한 영상기반 AI 모션캡쳐 모션캡쳐 기술의 필요성과 적용 가 능성을 설명한다. 또한 MIVA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전시공간이라는 비규격화 된 공간에서의 불편한 점을 파 악하고 이에 대한 대응할 수 있는 기술적인 환경 구성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실제 공간에서 캡쳐 프로그 램을 설치하고 전시에 적용하면서 생기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면서 적절하게 적용 가능한 모션캡쳐 기 술 환경 파이프라인을 제안한다.
최근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형태 및 구성 방식의 전시가 담론화되고 있다. 현대 전시의 흐름은 급속도로 발전한 디지털 기술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자 한다. 기존의 오프라인 활동이 주를 이뤘던 대부분의 전시들은 COVID-19로 인해 오프라인에서의 활동에 제약이 생기게 되었으며, 포스트 코로나(POST COVID-19) 시대의 대안으로 비대면·온라인 추세가 확산되며 가상공간 속 하나의 사회를 구축하는 메타버스(Metaverse)는 자연스럽게 주목받게 되었다. 예술 분야뿐만 아니라 경제·사회 등 모든 분야에서 메타버스는 빼놓을 수 없는 키워드가 된 것이다. 메타버스 기술이 활용된 전시 공간은 전시 목적에 따라 구성 방식 및 형태를 자유롭게 구축할 수 있으며, 수동적이고 단편적이었던 기존 전시를 사용자 중심의 환경으로 구축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전시의 흐름과 한계를 알아보고, 한계점 극복이 가능한 메타버스 전시에 대한 현황 및 가능성을 탐구하여 전시 공간 활성화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4대 유형을 ‘시뮬레이션과 증강현실 사이’, ‘내재적 요소와 외재적 요소’인 2가지 축을 통해 비교분석을 하여 어떤 유형으로 전시하는 것이 더 적합할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메타버스가 도입되었을 때의 전시가 기존에 진행되던 전시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시민 삶의 질적 추구와 여가생활 증진에 이바지하는 미술관의 역할은 수동적인 예술작품 보존의 공간에서 방문객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전환됐다. 현대인에게 부족한 자연과 예술에 대한 향유와 보다 나은 휴식의 공간이 되기 위해선, 미술관의 역할을 내부공간에 국한시키지 않고 옥외의 공간으로 확장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미술관의 옥외 전시공간 방문객을 대상으로 중요도 및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옥외 전시공간의 질적 향상을 추구한다. 연구 대상지로는 수도권을 대표하는 국공립 미술관으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과 소마미술관을 선정했으며 설문조사 및 IPA 분석 방법을 사용해 후행 연구에 활용 가능한 실증적 데이터를 제공한다. 연구 결과 25개의 항목에서 중요도와 만족도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각 항목에 따라 현상 유지, 최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 현시점에서는 고려가 불필요한 사항, 추후 시설 도입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특히 보행공간에 대한 안전성과 연계상태 그리고 이동의 용이성 등이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술관의 옥외 전시공간 조성 과정에서 고려 또는 개선되어야 하는 방안을 수립하는 데에 본 연구의 결과는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민의 요구에 따라 미술관의 옥외공간에 대해 보다 세부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가이드라인 구비와 함께 쾌적한 휴식의 장소가 되도록 해야 함을 명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작가의 개념과 계획에 의한 주관적 연출로 대부분 이루어지는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에 대한 작가와 관람자 상호 호응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유도로서 관람자의 선호요인, 즉 선호 디자인, 디자인이미지, 디자인요소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실증연구로 off-line의 대인 면접에 의한 일대일로 설문 조사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의 관람자 선호도에 대한 조사 분석으로는 조화로운, 따뜻한, 여성적인의 디자인 이미지의 유사색 조화가 선호되었다 디자인 선호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이미지 형용사는 '조화로운과 조화롭지 않은'으로, '조화로운'의 디자인 요소는 유사 색 조화로 '조화롭지 않은'은 혼합 색 조화로 나타났다 따라서 '색채'가 선호 디자인 요소로서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기독교박물관은 기독교적인 의미와 가치를 표현하는 동시에 현대사회의 종교문화를 주도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전시공간이다. 또한 한국기독교의 역사와 문화 그 속에 존재하는 기독교정신인 공동체, 신앙 활동 등 한국의 기독교문화 전반의 모든 요소들을 수집. 보존하여 연구함으로써 이를 전시하는 중요한 문화공간이기도 하다. 기독교박물관을 찾는 관람객들이 모두 하나님을 믿는 기독교인들은 아니다. 이러한 관람객들에게 감동 과 즐거움, 그리고 기독교 전문지식을 함께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의 전시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시형태 또 한 눈으로 보는 전시에만 만족하지 않고,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체험하는 전시연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기독교박물관의 전시공간 특성에 관해 연구하고 분석하여, 기독교박물관의 효율적인 전시 공간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박물관의 전시공간을 파악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기독 교박물관의 전시연출계획과 그에 따른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여 기독교박물관 고유의 기능과 특징을 살릴 수 있는 전시연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한국의 기독교사 관련 문화재 및 자료를 수집·전시하는 기독교박물관의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범위를 선정하여 전시공간을 대상으로 전시연출 특성에 관해 연구를 진 행하려고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기독교박물관과 관련한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한 기독교박물관의 개념 과 특성을 정리하고, 한국의 기독교박물관을 대표할 수 있는 여섯 곳의 기독교박물관 전시공간을 방문하여 전 시연출 사례연구를 통해 기독교박물관의 특성을 살린 효과적인 전시방법을 제시한다.
This interior landscape design was proposed for the Han kyung zic memorial hall in soongsil university. Exhibition spaces have been recognized as places for the exchange of information, and various exhibitions and expositions have actively been held. Thus, the need for systematical design and planning of interior landscaping of a variety of exhibition places is called for. The goals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opportunity of contact with the harmony of creation. Analyzing the harmony of creation which are appeared in architectural and interior landscape design, it is found out that a strong theme is needed to landscape an exhibition space. The theme is useful to increase the recognition and concentration of visitors, draw their attention, and convey clear information. Through the exhibition created by this plan, we will have more opportunity of contact with harmony of creation. An Exhibition space is a place where visitors meet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us, design and planning of interior landscap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s are expected to provide more information and interests with visitors. In this regard, systematical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in link with the field of exhibition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