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도심지에 적용하고 있는 중앙버스정류장의 포장은 주로 아스팔트 포장으로 시공되어 있으나 중차량인 버스의 하 중으로 인해 포장 파손 사례가 증가하여 시민들의 안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유지보수 비용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서울시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최초로 중앙버스정류장 신설 구간에 현장타설 방식으로 연속철근 콘크 리트 포장(CRCP)을 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간의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에 대한 이동차량 하중에 의한 동 적 거동 특성을 분석하고자 포장 슬래브에 콘크리트 변형률계를 설치하고 덤프트럭을 통과시키며 동적 하중 재하 실험 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는 이동차량의 속도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차량 속도에 따른 포장 슬래브의 동적 거동을 비교 분 석하였으며 이동차량이 CRCP의 여러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하여 정지 위치에 따른 거동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차량 이 CRCP를 통행할 경우 차량 속도 및 정지 위치에 따른 포장 슬래브의 동적 변형률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의 도심지 도로는 대부분 시공 후 신속하게 개통할 수 있는 연성포장인 아스팔트 포장으로 시공되어 있다. 그러나 도심지 특성상 인구 밀도의 집중으로 인해 대중교통인 버스의 교통량이 증가하여 중앙버스정류장에 시공된 아스팔트 포 장에 피로하중이 쌓여 심각한 포장 파손이 자주 발생한다. 서울시에서는 최근에 중앙버스정류장의 포장 파손을 억제하기 위해 아스팔트 포장을 콘크리트 포장으로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포장(Precast concrete pavement)을 중앙버스정류장에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된 중앙버스정류장 중 가장 오랜 기간 공용한 구간을 선정하여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포장의 공용상태와 손상 형태 및 유형을 분석하였다. 현장 조 사를 수행한 중앙버스정류장은 연장이 72m이며 12개의 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현장 조사를 통한 분석 결과 접속부에서 는 아스팔트 포장에 소성변형 및 균열 등의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본선의 경우 그라우트 홀의 균열 또는 탈락, 패널의 균 열 등이 손상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줄눈부에서는 스폴링 및 단차 등이 손상 유형으로 확인되어 일반적인 현장타 설 줄눈 콘크리트 포장의 손상 유형과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의 도심지 도로는 대부분 아스팔트 포장으로 시공되어 있으며 아스팔트 포장의 공용수명은 콘크리트 포장의 공용 수명에 비해 짧아 잦은 재시공 및 유지보수 작업이 필요하다. 도심지 특성상 포장 재시공 및 유지보수를 실시할 경우 작 업 시간 동안 교통차단을 유발하여 도로 이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서울특별시에서는 신설구간인 헌릉로의 중앙버스정류장 구간에 도심지 최초로 현장타설 방식의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을 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버스 정류장 구간에 시공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의 철근 거동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철근의 응력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균열부에서의 철근 응력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균열부에서 멀어질수록 철근의 변형률이 뚜렷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균열부에서 약 15cm 정도만 이격되어도 철근의 변형률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철근과 콘크리트 간의 부착이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균열부에서 발생한 철근의 변형률을 응력으로 환산하면 약 50MPa 정도로 철근 의 항복강도인 400MPa에 비해 매우 작아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의 우수한 공용성을 확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심지에 시공된 아스팔트 포장은 교통량 증가와 중차량의 가감속으로 인해 포트홀 및 소성변형 등의 파손이 흔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아스팔트 포장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콘크리트 포장으로 전환하는 공법인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공법과 프리캐스 트 콘크리트 포장 공법이 있으나 고비용으로 인해 널리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최근 서울시에서는 신설 중앙버스정류장 에 현장타설 방식으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CRCP)을 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력포설 방식으로 시공한 중앙버스정류장의 CRCP에 대한 공용성을 분석하고자 온도계, 균열유도장치, 철근 변형률계, 콘크리트 변형률계, 변위계, 균열계 등을 포함하는 계측시스 템을 구축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계측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다.
PURPOSES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nitrogen oxide and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for boarding positions at the bus stop of an exclusive bus lane, using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generalized linear model.
METHODS : To analyze the air pollution characteristics for boarding positions at the bus stop, data on nitrogen oxide,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relative humidity, temperature, wind speed, solar radiation, and bus traffic volume were acquired. Using the collected data, a correlation analysis for nitrogen oxide and fine particulate matter was carried out for each boarding position. Additionally, the prediction models for each pollutant were estimated using a generalized linear model,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RESULTS :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relative humidity and bus volum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nitrogen oxide and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in all boarding positions, whereas temperature, wind speed, and solar radi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Based on the estimated models from the generalized linear model, the nitrogen oxide concentration at the first measurement point was found to be affected by relative humidity, temperature, and bus volume, whereas at the second measurement point, it was found to be affected by relative humidity,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Additionally, all factors were significant for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at both boarding positions.
CONCLUSIONS : The analytic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nitrogen oxide and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at the bus stop of an exclusive bus lane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boarding positions. Particularly,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solar radiation, and nitrogen oxide and fine particulate matter was different because of the conversion of nitrogen oxide to fine particulate matter.
PURPOS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nitrogen oxide (NOx) concentration in an exclusive median bus lane station. The hourly variations of NOx concentration and the effect of traffic volume on NOx concentration were analyzed using NOx measurement data and the number of vehicles at the station.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chemiluminescence method for NOx concentration. Atmospheric information and traffic volume of buses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Bus Information System, respectively.
RESULTS : As a result, the NO2 concentration in the test section was found to have a strong correlation with those in the atmospheric measurement station located near the test-bed. In addition, the average NOx concentrations in the test se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monitoring stations due to bus emissions. The average NOx concentration in the exit section was higher than that in the entry section owing to the vehicle’s frequent stops and fuel consumption due to acceleration. During the measurement period, the average NOx concentration was measured as approximately 33 % higher in the exit section than in the entry section. In addition, the NOx concentration at the bus station was found to increase as the bus dwell time increased, rather than the number of bus passages.
CONCLUSIONS : This study provides clear characteristics of the NOx correlations with traffic information in an exclusive median bus lane station. It was shown that the NOx concentration at the bus station increased as the number of passes and bus dwell time increased. According to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the dwell time is more closely correlated to the NOx concentration at the bus station than the number of bus passes, indicating that it is a better parameter for predicting NOx concentration at bus stations.
본 연구는 버스정류장 녹지 및 식재 계획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 적으로 115.3㎞로 설치된 서울시 중앙차로 버스정류장 총 345개 소의 시설물 및 식재 식물을 조사하였다. 시설물은 휴게시설, 정보 시설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쉘터, 조명시설, 노선표, 광고판, 버스알림시스템은 현재 조성된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에 전부 설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치, 휴지통, 검색대는 디자인 및 개수 가 정류장 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정류장의 환경 개선을 위하여 추가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 결과 대 부분의 정류장에 휴게시설과 정보시설이 조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 타났으나, 이용객들이 외부환경변화에 노출되어 이를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식재 식물의 조사결과 초본류의 경우 대부분 일회성 을 목적으로 플랜터에 식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15종이 식 재되었다. 관목과 교목의 경우 식재에 사용된 식물의 종류가 4종, 6 종으로 국한되어 종 다양성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일 부 고사된 수종이 발견되어 식재 후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 었다. 향후 버스정류장 디자인 개선방안을 위한 식재 식물 연구를 통하여 도시의 환경을 개선하고 질을 향상 시켜 의미 있는 공간으 로서 버스정류장의 공간을 재창조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