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학의 한 분야인 한의학(韓醫學)에 기초한 한의사는 의료법이 공인한 의 료인력이다. 국민은 자의로 양의사이든 한의사이든 의료행위주체를 선택할 수 있는 의료주권이 있으며 수용자도 마찬가지로 그러한 헌법적 권리가 있다. 한의학은 서양의학에 비해 상생과 포용, 화합 등의 철학적인 장점이 있으 며 특히 마음의 자세를 중시하여 갱생을 이념으로 하는 교정의료에 적합하다. 각종 국제규범 등에서는 동양의학을 포섭하는 교정통합의료의 필요성을 인정 하며 이에 선진국들은 교정의료에서 침술 등 동양의학을 인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왜 한국의 교정의료에는 양의사만 인정하여 수용자는 전임한의 사에 의한 의료를 받을 수 없다는 데서 이 논문의 출발점이 시작된다. 그러한 배경에는 정치사회적 역사에 의하여 “건강”에 관한 모든 것을 주도 적으로 독점해온 의사의 독점적 경제지대의 추구가 있었다. 선진국과 달리 의 사의 독점적 교정의료가 이어져 오는 과정에서 한의학적(韓醫學) 교정의료는 무시되어 왔으며 이러한 정치사회학적 관점을 학계와 인권위원회 등이 모르고 있어 올바른 정책의제화의 형성이 되지 않고 있다. 교정의료의 선행연구와 인 권위원회의 권고의 문제점은 교정의료에 배태된 정치사회적 맥락에 대한 고려 가 없으며 교정의료에서 서양의학만을 전제로 하여 한의학적인 교정의료를 간 과하고 있다. 교정의료의 전인화와 수용자 의료주권화를 위해서는 교정의료의 탈양의화(脫洋醫化)와 의료의 탈상품화(脫商品化)와 완화된 교정관료화가 선행 되어야 한다. 국제기준도 명문화한 치료의 동등성 원칙과 연속성 원칙은 헌법정신에도 부 합하고 있음에도 교정의료에서 전임의사에 의한 한방의료를 인정하지 않는 것 은 국가에 의한 잔인한 형벌이다. 따라서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문제점을 최초 로 적시하고 쟁점을 예각화(銳角化)시켜 올바른 정책의제화에 영향을 줄 목적 으로 작성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국내학자 중에서 최초로 학제적 관 점에 의하여 독창적 방안으로 교정의료에 깊이 배태(胚胎)되어 온 서양의학적 교정의료를 벗어나서 한국의 교정통합의료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유르베다와 한의학의 병인에 대한 연구로서, 두 이론의 사상적 배경과 몸, 병 의 원인에 대해 살펴보고,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 비교해 보는 것이다. 아유르베다는 상키야 철학을 근본으로 생리학적인 측면에서 본 몸은 쁘라나(prāpṇa)와 나디(nānḑi), 차크라(cakra), 말라(Mala)로 이 루어지며, 증상 이면에 감추어진 질병의 원인을 찾는다. 아유르베다에서는 바따․삣따․까파 등 세 도샤 의 불균형을 모든 질병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고, 계절의 변화 등의 외적요인이나 잘못된 감정과 같은 내적요인 또한 이런 불균형을 일으키는 것으로 본다. 한의학은 중국의 음양 오행론을 근본으로 몸은 오장(五臟), 육부(六腑)와 정신기혈(精神氣血) 및 경락(經絡)으로 이루어졌다고 본다. 병의 원인은 정상상태에서 신체 내의 음양과 기혈. 경락과 장부 등이 서로 의존 하고 제약하는 상대적 평형상태 를 유지하는데, 이러한 평형상태가 무너지면 한 동안 자기조절 작용이 약화되어 질병이 발생하는 것 으로 본다. 아유르베다와 한의학의 몸과 병인에 대한 공통적 관점은 자연 중심적 인식론을 바탕으로 인간은 자연현상과 환경에 순응하고 조화롭게 살아가는 존재로 본다. 또한 아유르베다와 한의학의 인간관이 인간중심적, 인본주의적인 면이 궤를 같이한다. 아유르베다와 한의학의 병인에 대한 연구는 시대적 요구로서 본 연구에서의 두 이론의 연관성과 차이점은 인간의 다차원적 의식을 다루는 상담 현장에서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가진 내담자에 대한 새로운 견해와 열린 사고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식물재료로는 꽃차로 이용되고 있는 식물 중 한의학 서적에 약효가 기록되어 있는 55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식물의 한의학적인 약효를 해표약, 이수약, 청열 약, 사하약, 보익약, 보기약, 보혈약, 온리약, 이기약, 방향화습약과 활혈약 등 11군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 식물들은 열(열, 온, 미온, 평, 량, 한), 맛(달다, 쓰다, 맵다, 시다, 짜다), 독성(있다, 없다) 별로 분류되 었다. 꽃차의 음용은 일반적으로 모든 사람에게 이용 가능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꽃차를 음용 할 때는 본인의 체질과 건강상태에 맞는 꽃차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독성이 있는 식물을 꽃차로 음용 할 때는 주의를 기울여야하고 몸이 허약한 사람은 음용을 금해야 한다. 앞으로 좀 더 많은 임상적인 연구가 진 행된다면 꽃차의 건강학적 효능에 따른 상품화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A dietary treatment of Chinese medicine for diabetes mellitus was extensively studied and compared with that of western medicin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Chinese medicine is based on the following empirical dietetics. First, likeness helps likeness. When an internal organ of mankind is not functioning properly, the food or drug from the same organ of an animal will be helpful to cure it. Second, take good foods for health properly and never take any foods against body. Third, building up one's body by taking tonics is not quite the same as building up one's body through proper eating. On the other hand, western medicine is based on the experimental and scientific methods which are moderniz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emphasizes upon finding the cause of a disease. Then this disease can be cured by doing a necessary medical treatment which sometime uses a surgical operation or chemical and radiological method or both. Although there are many ways in treating a diabetic in Western Medicine, here the diabetics is supposed to be the best. The same is true for Chinese Medicine. Therefore one can easily conclude that the dietetics is the most important and effective of all irrespective of Western and Chinese Medicine as far as diabetesis concerned. In Western Medicine, a diabetic is recommened to have the minimum calories necessary for life and not to have goods containing glucide beyond a certain quantity, while in Chinese medicine a diabetic is not allowed to have foods containing more than 10% of glucide. These two facts suggest that a diabetic should pay careful attention to foods containing lots of glucide. Finally a systematic cooperation between western and Chinese medicine will cure not only diabetes but also other disease more effectively than a traditionally unilateral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