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ousehold economic changes by COVID-19 and dietary habits in Korean adolescents. The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17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in 2021. A total of 54,84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28,401 males and 26,447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VID-19 lead to deterioration of household economy in the lower level of household economic status (p<0.001). The deterioration of household economic status by COVID-19 was associated with dietary habits such as lower breakfast intake, and higher fast food, soda drinks, and sweet drinks consumption (p<0.001).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eterioration of household economic statu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frequency of breakfast intake (OR: 0.73, 95% CI: 0.67~0.80). The deterioration of household economic status by COVID-19 was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frequency of fast food (OR: 1.28, 95% CI: 1.16~1.41), soda drinks (OR: 1.42, 95% CI: 1.30~1.56) and sweet drinks (OR: 1.35, 95% CI: 1.24~1.46) consumption (p<0.001).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in household economy caused by COVID-19 was associated with dietary habits in adolescents. As the household economy deteriorated, there was an increase in undesirable dietary habits including skipping breakfast and fast food consumption.
This study investigated alterations in the health behaviors and eating habits due to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 19) pandemic.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270 university students from September 22, 2021 to October 26, 2021. While the frequency of eating at home had increas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ompared to before the pandemic, there was a decrease in the frequency of eating out, drinking, and eating vegetables. However, the frequency of eating delivery, takeout, and convenience foods and the utilization of online shopping and delivery apps had considerably increased. In addition, when selecting menus, considerations of health, hygiene, and convenience were more importa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an before the COVID-19 pandemic. Physical activity more than 3 days a week had decreased, whereas sedentary time showed a proportionate increase.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perceived their health status to be worsening was determined to have increas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prepare for the era of infectious diseases, future research needs to identify health behaviors and dietary problems by administering surveys that include a large sample size and participants of various ages. Moreover, health promotion and nutrition management plans should be prepared accordingly.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COVID-19전·후의 도시공원의 이용행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COVID-19와 공원이용행태는 접근성이라는 물리적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COVID-19 이전의 공원이용행태는 다양한 행태가 나타났지만, COVID-19 이후에는 행태의 종류가 줄어들고 공원 이용의 제한으로 인한 스트레스,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심리적 표현이 나타나 공원이용 제약이 시민들의 여가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2021년에는 COVID-19 이전과 같이 적극적인 활동을 수반하는 행태는 나타나지 않지만 드라이브, 차박 등 제약적인 환경을 개선하여 공원을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이용행태가 나타나며 점점 적극적인 활동을 수반하는 행태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COVID-19 이전에는 별다른 제약 없이 공원을 이용하던 시민들에게 어떠한 행태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 COVID-19 감염의 확산을 완화하기 위한 제약에 어떠한 방법으로 공원을 이용하는지 알아보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등을 실시하여 질적 연구가 진행된다면 도시민들에게 공원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공간인지, 장기화되는 COVID-19 시대에 공원이 필요로 하는 요구가 무엇인지 심도있게 탐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큰 타격을 입은 관광산업 중 하나인 워터파크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COVID-19가 워터파크 이용에 있어 어떠한 인식의 변화를 야기했으며 또한 행태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빅데이터 분석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텍스톰(TEXTOM)을 활용하여 COVID-19 이전(2015-2019)과 이후(2020-2021)시기를 나누어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빈도분석과 TF-IDF, N-GRAM, 그리고 감성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주목할 만한 점은 우선, COVID-19 이후 워터파크 이용에 제한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전 시기보다 데이터 양이 늘어났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사람들의 워터파크에 대한 관심은 이전에 비해 줄어들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분석 결과 COVID-19 이전에는 전국 각지의 워터파크에 대한 정보에 관심이 많았지만 이에 반해 COVID-19 이후에는 확실히 마스크, 방역 등 COVID-19의 영향이 짙은 정보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행태의 변화로 인하여 사람들은 COVID-19의 영향으로 가격이 비싸더라도 타인과 거리두기가 가능한 프라이빗한 공간이나, 외부공간 그리고 자연 속 공간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워터파크는 변화된 사람들의 기대에 맞춘 설계의 새로운 방향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고 또한 전염병 예방을 위한 워터파크의 새로운 동선 설계를 고민하는 것도 앞으로의 워터파크 관광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마찬가지로 기존의 워터파크에서는 무엇보다 전염병 예방에 대한 안전수칙을 강화할 필요가 있고 또한 운영 관리의 측면에서도 이용객 수의 제한 등 내부 공간의 밀도를 낮춰 워터파크가 안전하다는 인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앞으로 워터파크의 운영 방안이나 설계의 기준을 뒷받침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우리나라는 2000년 초반‘회전교차로’라는 용어가 도입되었으며, 최근까지 회전교차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회전교차로는 용량증대, 유동성확보, 안전성 증진, 지체감소 및 환경적 측면에서 장점을 보이고 있다. 그 외에도 심미성 및 도시설계 요소 확보 측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용량제 한 및 신호연동화인 경우 도입의 어려운 점 등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는 많은 연구가 회 전교차로의 도입에 따른 운영효율 확보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회전교차로는 좌회전 교통량이 적고 우회전교통량이 많은 교차로, 4지 이상의 교차로, 지방지역 교차 로에서 직진이나 우회전이 포함된 교통사고가 많은 교차로, 시 외곽 간선도로로서 우회전 교통량이 많고 속도가 높은 교차로 등 다양한 지점에 설치가 가능하다. 이에 2009년 우리나라에서도 저탄소녹색성장에 따른 교통선진화 방안의 일환으로 회전교차로의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으며, 이미 도입된 회전교차로의 사례(16개 1차 조사 지점)를 통해 그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회전교차로는 점진적 발전을 이루어 온 국외와 달리 급진적 도입을 시도하여, 회전교차로 의 설치 초창기의 연구에서는 국외의 회전교차로와 수락간격 및 용량 등 운영 행태 측면에서 상이한 특성 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회전교차로의 운영 특성이 국내에서는 수행되지 않았던 방식이기 때 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회전교차로의 도입 및 정부의 활성화 정책 발표 5년 후 현재 의 운영행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런 실제운영 자료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인 운영 행태 분석은 회전교차로의 도입 지점 선정 및 활성화 방안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China is transforming into a viable market where only those companies which can carry out transparent and competitive management can survive, due to its steeping and strengthening rise of wages and labor management. Pre entered SMEs to Chinese market which has enjoyed the advantage of cheap labor, are in trend of weakening of it competitiveness and appealing difficulty of management activities, where as recent entering SMEs with well preparation and good command of localization strategy are different from its purpose and behavior. In addition, Chinese market entering SMEs are facing fundamental changes within a diminishing deal from domestic financial transactions to the growing financial transactions between the parent company and subsidiaries in local. However, unlike the changes in the Chinese market's business conditions and entering SMEs behavior, domestic financial institutions trying to enter Chinese market are still facing an insufficient basic infrastructure to carry out the local businesses.
For a mean time, although there are many obstacles of Chinese market, it is inevitable for domestic financial institutions to strengthen operations of Chinese business in near future in order to support the domestic companies operation in China.
However, China a market with opportunities as well as threats, it is recommended to put priority on promoting expansion strategy, but also with a cautions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