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5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저관리형 거리화단 화훼경관용 초화류 식물 선발을 위하여, 4종의 초본화훼식물(Zinnia elegans, Salvia splendens, Catharanthus roseus, Gomphrena globose )을 대상으로 무관 수 처리에 따른 내건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4종 식물의 영구위조점을 알아본 결과, 무관수 후 백일초가 23일째 가장 먼저 고사하였고, 그 다음으로 살비아는 29일째, 일일초는 51일 째, 천일홍은 61일째에 고사하였다. 무관수 처리에 따른 4종의 용적수분함량 변화를 비교한 결과, 용적수분함량은 무관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용적수분함량이 0%에 도달한 것은 백 일초가 무관수 16일째로 가장 빨랐으며, 그 다음으로 살비아 25일, 일일초 35일, 천일홍 40일 순으로 나타났다. 4종의 지상 부생체중의 감소율을 영구위조점에서 보았을 때 4종의 식물중 백일초의 감소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살비아, 천일홍, 일일초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상부와 지하부 건물중의 증가율은 일일초가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무관 수 처리에 따른 광합성 형광 변수 중 하나인 Fv/Fm 측정 결과, 백일초는 일시위조점인 15일째부터 감소하였고, 살비아는 무관 수 29일째, 일일초는 37일째, 천일홍은 43일째부터 감소하였 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무관수 처리에 따른 4종의 각 개체별 측정된 식생지수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정규식생지수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광화학 반사율 지수(photochemical reflectance index, PRI), 안토 시아닌 반사율 지수(anthocyanin Reflectance Index, ARI) 가 무관수 기간동안 백일초, 살비아보다 일일초, 천일홍이 장기 간 건강한 잎의 범위에 속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저관리형 거리화단 화훼경관용 식물 선정 시 거리화단의 수분관 리 측면을 고려한다면 무관수 처리 후 약 50-60여 일간 생존하 여 내건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난 일일초, 천일홍이 저관리형 거리화단 화훼경관 조성 시 적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식물로 판단되었다. 거리화단 화훼경관 조성 후 물관리가 어려운 거리 화단 화훼경관의 지속적인 유지, 관리에 대한 어려움이 부각되 어왔다. 따라서 저관리형 거리화단 화훼경관용 식물의 다양한 적용 및 관리를 위해서는 향후 보다 많은 식물종을 대상으로 한 실험뿐만 아니라 식물 내에서 품종 간의 비교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
        4.
        2025.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10.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려청자 문양 연구에서 그동안 모란과 작약, 훤화와 연화 문양의 세부 특징을 분석하지 않고, 훤화를 연화나 초화로 분류하거나 작약을 모두 모란으로 명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 다. 이러한 경향은 중국도 마찬가지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정요 자기의 영향을 받은 각 화목의 문양과 구성 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문양을 분류하고 명칭 분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 다. 대부분 모란으로 분류되었던 작약문의 존재를 확인하고, 작약이 중앙 관사인 중서성을 상징했던 사실도 문헌 기록을 통해 밝혔다. 또 정요 자기에서 연화문으로 분류되던 여러 형 식의 훤화문도 고려청자에 영향을 주었다. 정요 자기와 고려청자의 화훼절지문은 문양 구성이 유사하지만 시문 기법에서는 차이가 있다. 고려에서는 정요 자기의 음각과 유사한 획화 기법 대신에 성형과 시문이 동시에 가능 한 압출양각 기법을 선택하였다. 정요 양식의 화훼절지문 청자는 12세기 전반과 후반의 제 작 경향이 달랐다. 12세기 전반에는 압출양각과 함께 음각 기법도 구사하고, 백색내화토 빚 음이나 규석 받침이 품질 차이 없이 생산되었다. 정요 자기의 문양을 해체하여 재조합하거나 시문 기법을 바꾸는 등 외래 요소에 대한 적극적 변용도 행해졌다. 그러나 12세기 중반 이후 부터는 절요접시의 꺾임이 완만해지고, 모란절지문과 작약절지문만 압출양각 기법으로 13세기 초까지 생산되었다. 또한 선화봉사고려도경의 ‘定器制度’에 대해 연관된 여러 용어의 용례를 검토한 결과, 정요 자기의 크기, 형태, 규격 등을 의미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정기제도’는 12세기 전반에 고려청자 제작에 정요 자기의 영향이 매우 컸던 상황을 충실하게 기술한 것으로 판단 된다.
        8,000원
        15.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민간시장의 절화 유통 현황을 조사하여 국내 절 화 시장 유통 및 판매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2년 5월부터 10월까지이며, 민간시장 내 판 매 점포 수, 취급 품목, 수입국 및 품목 등을 비교 및 분석하 였다. 민간시장은 서울 서초구 반포동에 위치한 강남터미널 꽃시장을 대상으로 판매 품목 및 수입 국가 등을 조사하였고, 비교 대상인 공영시장의 경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화훼 유통정보에서 제공되는 양재동 화훼공판장 거래 품목을 조사 하였다. 조사 결과, 민간시장의 월별 절화 판매 점포 수는 평 균 143개였다. 민간시장에서는 5월을 제외하고 장미 판매 매 장이 가장 많았다. 5월에는 카네이션 판매 매장이 가장 많았 으며 장미, 리시안셔스, 거베라가 그 뒤를 이었다. 민간시장 점포 내 수입 품목의 원산지는 호주, 중국, 콜롬비아, 이스라 엘,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페루, 남아프리카 공화국, 미 국, 베트남 등으로 조사되었다. 취급 품목은 민간시장이 69개 로 공영시장 18개에 비해 약 3.8배 많았으며, 이는 민간시장에서 수입 절화가 더 많이 유통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민간시 장은 공영시장과 달리 유통 정보를 알 수 있는 시스템이 없어 소비자들이 제품의 원산지, 품질, 가격 등을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민간시장의 절화 유통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정확히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한 투명한 거래 제공 및 소비자 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4,300원
        16.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온라인 절화 도매 플랫폼에 대한 이용자 인식, 이용 현황을 알아보고, 본 플랫폼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 하여 국내 화훼 장식 종사자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하 였다. 연구 결과 화훼 장식 종사자의 99%가 온라인 절화 도매 플랫폼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실제 이용 경험 역시 68% 로 높게 나타났다. 이용자들의 서비스 이용 기간은 1~2년이 46.5%로 가장 많았으며 월평균 구매 횟수는 6~15회가 과반 을 차지하였고, 온라인 절화 도매 플랫폼의 1회 기준 소비 금 액은 15만 원 미만이 62.4%로 나타났으나, 오프라인 절화 도 매시장의 사용 빈도 및 소비 금액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화훼 장식 종사자들은 절화의 품질(4.85) 및 상품 의 다양성(4.75)이 절화 구매 시 가장 중요한 고려 요인이었 으며, 온라인 절화 도매 플랫폼에서의 상품 구매 시 과거 구매 경험(3.97)과 상품의 사진(3.87)을 보고 절화 품질을 판단하 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온라인 절화 도매 플랫폼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시간을 절약(4.39)할 수 있다는 점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상품 구매 시 불안 요인으로는 절화 신선도(4.30)와 품질(4.02)에 대한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절화 도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에 대해 이용자들은 주 문한 상품과 배송 상품이 일치(4.19)하며, 사용하기 쉬운 페이 지로 구성(4.03)되어 있어 구매 과정(4.00)이 편리하다고 응 답하였으나, 상품 품질에 대한 만족도는 모두 보통 이하로 낮 게 나타났다. 온라인 절화 도매 플랫폼과 오프라인 절화 도매 시장에서의 절화 구매 후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온라인 절화 도매 플랫폼에서는 가격과 반품 처리에 있어 오프라인에 비해 강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가장 중요한 절화 구매 결정 요인인 절화 신선도와 상품 다양성에 있어서 오프라인 절화 도매시장 에 비해 부족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온라인 절화 도매 플랫 폼의 발전을 위해서는 절화 상품 품질 향상 및 다양성 확보가 필요하며 국내 화훼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성장을 위하여 새 로운 화훼 시장 형태에 대한 다양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 로 판단된다.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