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행소년에 대한 교정처우(교정공공재의 생산)는 소년법 제1조의 규정에 의해 환경조정과 품행교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환경조정과 행동 및 성격교정은 기술적 측면의 인성교육(교정)이고 품성(심성) 등의 내면적 교정은 본질적 측면의 인성교육에 해당된다. 따라서 비행소년에 대한 교정처우(인성교육)는 1차적으로 다양한 심리치료, 상담,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등을 통해 비행의 원인을 과학적으로 귀인(attribution)사정(査定)하고 개입하여 환경조정과 행동교정 및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는 기술적 측면의 인성교육(필수적 요소)을 한 다 음에 비행소년의 특성에 맞는 본질적 인성교육인 도덕성의 회복과 계발을 통해 내면의 변화를 도모하는 도덕적 인성교육(충분요소)이 단계적으로 있어야 한다. 이러한 본질적 인성교육의 내용에는 인성교육법 제2조에 규정된 동양 사상의 덕목인 효, 예는 물론 정직, 존중, 책임, 배려, 협동 등의 윤리적 가치가 있다. 그런데 비행소년에 대한 효사상 등의 인성교육을 담당하도록 법제화 되어있는 소년사법기관들은 교정의 과학화라는 명분으로 계량화, 단기적 성과, 유형성, 가시성, 접근의 용이성과 많은 자원을 특성으로 하는 기술적 측면의 인성교육만을 선호하고 채택하여 동양사상에서 중시되어 온 효행 등 본질적, 도덕적 인성교육은 거의 소외되거나 형식화되어 왔다. 소년사법기관들의 관료제적 이익에 부합하는 이러한 계량화되는 심리기술적 측면의 인성교육에 매몰된 결과 수많은 심리치료와 예산, 인력이 증가되는데도 비행소년의 재법 률은 감소되지 않는 것은 효행 등 도덕적, 본질적 측면의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반증한다. 따라서 비행소년에 대한 교정처우는 기술적 측면의 인성교육 외에 우리나라의 전통사상인 효행 등의 윤리적, 본질적 인성교육이 반드시 병행 되어야 가능하다는 논리에 의해 소년사법기관들의 효행처우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해 효행장려법 등의 개정의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8,100원
        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많은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 그 중에서 가장 원초적인 인간관계는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이므로 孝는 전통사회의 秩序 維持에 매우 중요한 要因으로 작용해 왔다. 孝의 槪念은 『論語』이전에 이미 존재했었지만 중국사회에 영향을 끼치게 된 것은 『논어』에서 起因한 것이라 보며, 이론 정립도 孔子에서 비롯되었다. 孝 槪念의 多樣性에서 보면, 全人性, 宗敎性 및 生命性이 있으며 효 개념이 함의한 生命 重視의 뜻을 내포하고 있다. 孝 思想은 儒學의 근본이 되는 德目으로서, 孔子에 의하여 심화되고 동 아시아 사회에 영향을 끼쳤으며 가정에서의 부자관계에서 출발하여 사회에서의 忠恕로 이어지고 국가에서는 孝治로 연결되어 갔다. 공자 사상은 ‘人間의 社會性’에 있으므로, 仁道에 기반을 둔 ‘孝와 忠恕의 精神’을 바르게 구현한다면, 온 세상을 평화롭게 할 수 있는 原動力이 될 것이다 『논어』에서 효의 範圍는 ‘生前의 孝’ 와 ‘死後의 孝인 追遠’으로 분류하 고, 人性敎育의 영역까지 확장시켜야 한다고 보았다. 효의 方法은, 養口體 에서 시작하여 養志에 까지 이르러야 하며, 愼終追遠을 통하여 德治로 나아갔으니, 공자의 治國의 기본은 바로 孝 思想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효의 최종 目標는 인간의 본질인 仁을 구현하는 것이다. 『논어』에 나타난 효행을 고찰해 보면, 민자건·증자의 효행을 통해 칭 찬을 하였고, 17명의 제자들의 ‘효란 무엇입니까?’ 라는 30개의 질문에, 孝는 無違, 以禮, 恭順, 恭敬, 色難, 敬忠勸, 爲政, 見義不爲 無勇也, 祭 如在祭, 不怨, 遊必有方, 三年無改, 父母之年, 德治, 不敢毁傷, 不敢不 勉, 人不間, 聞斯行之, 君君, 臣臣, 父父, 子子, 崇德, 直, 三年之喪을 지키는 것이라고 명쾌하게 대답하셨다. 孔子의 核心 思想은, 仁과 孝인데, 이를 실천하는 근본 덕목으로는 克己復禮, 孝悌忠恕, 有敎無類, 正敎一 致, 正名思想, 奴隸制度, 述而不作, 道德心 回復, 感恩意識, 推己及人, 父慈子孝, 追養繼孝 등이 있다. 『논어』에 나타난 효행들을 고찰하여 “내 부모를 잘 섬겨서 남의 노인에 까지 미치고, 내 아이를 사랑하여 남의 자녀에게 까지 이르게 한다.” 면 한국의 사회문제, 청소년 문제, 환경문제 등이 해결될 것이다. 時代에 맞는 자발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개인의 人格完成과 社會秩序의 확립 및 人類愛까지를 孝로 간주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형식적이고 비효율적인 효를 止揚하고, 자발적이며 실천이 가능한 ‘효 실천방안’을 마련하여 한국인의 효를 學問的으로 體系化하 고 普遍化시키며, 倫理的인 덕목으로 개발시키는 데에 그 意義를 두었다.
        7,000원
        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대 종법사회에서 시작된 효가 동서고금을 망라하여 현재까지 논의되고 있음으로부터 출발한다. 그간에 ‘효’의 연구는 주로 인문학 분야에서 이루어져왔으나, 근래에 들어 사회학, 의학, 법학 등의 대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본 논문 역시 효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실천방법을 찾고자 ‘인문학’, ‘심리학’, 그리고 ‘코칭학’이라는 별개의 학문을 접목하는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 그 첫 번째 이유는 언론사에서 효의식과 효행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던 바, 효에 대한 의식은 높이 나타났지만, 효행 실천 항목에서는 잘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얻었다는 내용 때문이다. 즉, 효는 알고 있어야 할 덕목이 아니라 실천해야하는 방법이 중요하다는 점을 깨달은 점이다. 두 번째 이유는 ‘효와 충이 상충’하는 문제와 ‘부모를 봉양한 자녀의 효행이 부모를 떠나 외지에서 성공하고 귀향한 자녀의 효행에 비하여 초라해지는’ 주관적 평가에 대한 모순을 해결해보고자 하였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효행의 실천을 목적으로 『소학』에 나타난 내면적 효의내용을 살펴보고 효행의 코칭 방법을 제안하는 범위로 제한하고자 한다. ‘효’의 내용을 분석하고 ‘효’를 실천해야하는 이유와 방법을 찾아보기 위해 먼저, 효의 전범으로서의 위상을 지닌 『소학』을 텍스트로 택하였고,『소학』에서 효와 관련된 내용만을 선별한 후, 인간발달과 관련하여 전근대, 근대, 탈근대 자료들이 제시하는 불후의 통찰들을 모두 받아들인 켄 윌버의 통합적 접근 방법으로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을 토대로 코칭 방법론을 도구로 하는 실천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5,200원
        4.
        200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book 'Collection of Filial Stories' was first edited by Jun Kwon with Chinese representative stories of 24 pieces which book was, then, dedicated to his father Mr, Pu Kwon. His father further added more 38 cases to the original edition, asking for his son-in-law, Jay-Hyun Lee, to compose Commendable Rhymes or Chan(贊) to each of the stories who was at that time famous on his writings. It was his grandson, Kun Kwon, who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scholars of the new dynasty Choson and managed to publish the final vesion with his own annotations further appended. Although his Commendable Rhymes duplicated the contents in the text, Jay-Hyun Lee tried to give some changes in form in order to avoid monotony. This would be one reason, the writer suspects, that these Rhymes should deserve their value except the rarity. In the first part devoted to the preceeding 24 pieces, Lee composed twelve pair-lines with four letters in a line with diffenrent forms of rhyming foot. Firstly, all pair-lines keep the same final rhyme syllable. Secondly, half of them keep the same one but the other half from the 8th line adopt a different one. Thirdly, the 6th and l0th pair-lines have different rhyme syllables so that all three rhymes are observed. And lastly, two rhymes mutate themselves each other every two pair-lines. The second part, however, has only 8 pair-lines. The similar pattern in changing rhyme words is also observed. His rhymes were seem to be evaluated highly from his days in the sense that his works were adopted seriously in 'Three Modes of Moral Behaviour with Pictures' published by the government to teach lay people in early Choson dynasty. Unfortunately, since no rhymes were included in his publication, nobody mentions about it yet. It would be a merit, at least, of this paper which digs out his Commedable Rhymes for the firs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