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yphosate, a worldwide most used herbicides, can have complex implications for terrestrial ecosystems, extending beyond its intended target, weed contro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scading effects of glyphosate application on both plant and collembolan communities. Our findings reveal that glyphosate application can reduce the richness of plant communities, and these effects can be pronounced in areas with low initial plant diversity. Furthermore, our results confirm that the fluctuations in plant community composition induced by glyphosate application can also impact the richness of collembolan communities.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both plant and invertebrate communities when assessing the impacts of herbicide use in agroecosystems.
본 연구는 남부 캄보디아 Takeo주에서 수분환경에 의한 벼 생태 환경이 다른 농가를 대상으로 벼 작부체계, 벼 재배법 및 비료 관리에 대한 결과이다. 저지대 천수답 지역, 저지대 관개수로 지역 및 감수지역의 작부체계는 양상은 상당한 차이 를 보였다. 또한 조사지역에 있어서 품종, 육묘일 수, 재배 방법, 비료 관리 등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면적 당 종자 사용량과 질소 비료 사용량은 KampongReab코뮌이 각각 305 kg/ha과 121 kg/ha로 질소 비료는 권장량을 훨씬 초과를 하였다. 이는 제한된 관개공급과 직파 재배에 의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반면 Popel코뮌의 면적 당 종자 사용량과 질소 비료 사용량은 각각 71 kg/ha와 36 kg/ha로 질소량은 권장량과 비슷하였다. 최근 이 지역은 농촌지도 활동과 NGO 활동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서 새로운 농업기술이 즉 SRI가 많이 보급 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점은 현재 캄보디아의 농촌의 발전은 현재 진행이다. 따라서 향후 캄보디아 농촌 개발계획에 있어서 수분과 지형에 따른 재배법 등에 정확한 목표를 두고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서남부 농업생태계는 다양한 크기로 분산되어 있는 산림지대가 경작지 사이에 분포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농업생태계 산림지대에 분포하는 나방 군집과 산림지대에 분포하는 나방 군집을 비교하여 파편화된 농촌 지역 나방 다양성은 산림지대보다 낮지만 생물 이동에 따른 베타 다양성은 더 높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 연구에 이용한 나방은 종 다양성과 분류학적 정보가 풍부하며, 자외선등을 이용한 정량적 채집이 가능한 분류군이다. 또한 환경변화를 나타내는 지표그룹으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으며 기주 특이성이 있어 서식지에 따른 종 구성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서식지 유형에 따른 종 구성을 파악하기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2018년 5월부터 10월까지 한국 서남부 지역인 전라남도 나주시, 무안군, 해남군 등지의 산림과 농촌경관내 산림지역에서 UV등 트랩을 사용하여 나방을 채집하였다. 조사는 농경산림지대와 자연산림지대를 선정한 뒤 나방을 채집하였으며 각 지점별 산림 특성에 따라 다양성 양상을 비교 분석 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같은 지역에 위치한 나방군집이 경관구조의 이질성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알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육상 및 해양 생태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농업생태계 역시 이들 생태계에 의존하고 있는 생물 및 인간에게 생물학적, 경제학적, 사회학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주고 있다. 기후변화를 쉽게 감지할 수 있는 지표종은 기후변화에 비교적 민감하게 반응을 나타내기 때문에 농업생태계와 같은 경제 사회적 영향을 많이 받는 곳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2017년 농업과학원에서는 농업생태계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식물과 무척처동물 30종을 지표종으로 선정하였다. 30종 중 나비목에 속하는 종으로는 배추흰나비(Pieris rapae), 남방노랑나비(Eurema mandarina), 노랑나비(Colias erate), 호랑나비(Papilio xuthus) 4종이다. 이 연구는 나비 지표종 중 농업생태계에서 가장 풍부하고 확인이 쉬운 배추흰나비를 대상으로 전남, 충북, 경기, 강원지역에서 4월부터 월 1-2회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생물계절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조사는 각 지역에서 논과 밭, 산림 등을 포함하는 경로를 선정하여 30분간 이동하면서 좌우 5m내외 출현하는 나비를 조사하는 선 조사법을 실시하였다. 4월 이후부터 조사한 결과 전남에서는 4월초인 14째 주에 이미 많은 수가 관찰된 반면 충북, 경기 등지에선 15째 주 이후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강원도에서는 6월 중순인 24째부터 관찰되어 위도별 출현 양상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9월말까지 관찰된 생활사 수는 전남에서는 5회, 경기도에서는 4-5회, 충북에서는 4회, 강원에서는 2회로 지역별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농업생태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배추흰나비가 위도별로 출현시기와 출현횟수를 달리하면서 나타나는 것을 통해 기후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지표종으로 적절하다고 여겨지며 앞으로도 전국적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정밀한 출현양상과 미래 분포 변화 모델링 작업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농업생태계에 따른 지표배회성 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한반도 동부의 3개 행정권역내에 분포하는 논, 밭, 과수원을 대 상으로 선정하였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매년 2회에 걸쳐 pit-fall trap법을 사용하여 채집된 무척추동물을 통해 군집분석을 하고 기상자료를 포함하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체 채집된 무척추동물은 13목 58과 172종 6,420개체이며, 분류군 중에서 벌목(38.26%), 메뚜기목 (16.28%)이 우점하였다. 경상남도 출현 개체수가 2,983개체(46.46%)로 가장 많았으며, 경상북도가 풍부도(1.96), 다양도(1.51) 모두 높게 나타 났다. 농업생태계 유형 중 논에서 69종 3,299개체(51.39%)가 조사되었으며, 종다양성 지수도 높게 확인되었다. 특히 우점종인 개미과의 포함유 무가 종 다양성지수 분석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보여진다. 곤충 분류군과 환경요인과의 정준상관분석 결과, 토양 pH, 토양온도와 토양 함수율의 영향에 의해 매미목, 바퀴목, 흰개미목, 딱정벌레목과는 양의 상관관계로 구분되었고, 기온, 강수량, 전기전도도, 상대습도, 최저초상온 도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무척추동물 군집은 계층적 군집화를 통해 생태계 유형별로 패턴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 과는 공간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가 무척추동물의 분포에 다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Field research was undertaken for recovering mosquito larval mermithid parasite, Romanomermis species in rice fields in 54 different areas in period of May through October, 2009. Of 54 area rice fields surveyed, Romanomermis sp. recoveries were made from 4 areas. 32 Anopheles mosquito larvae, malaria disease vector were infected and died from samples collected in Pochon area, and a total of 10 Culex mosquito larvae, house frequenting mosquito were infected to death in 3 different areas, Gimpo, Sangju and Gurae,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positive natural infection record, an intensive host-parasite occurrences and/or population study was surveyed in foci area of Pochon in small pond (P) and Rice paddies (A and B) during 5 months till end of October. The natural mermithid infection was continuously occurred from June through October in weekly samples, however the rate of infection was appeared higher in June-July, thereafter the rate gradually decreased in progress of the season. The highest natural infection rate was observed from the Pond 9.1% followed by Rice paddy "A" 5.2%, Rice paddy "B" 2.4%, respectively. Including 2 other Rice paddies "C" and "D", a total mosquito larvae collected was 3,270, an overall average natural infection rate was recorded as 3.7% (121 Anopheles mosquito larvae infected).
2007년 8월과 10월 동안 서해안 선유도의 농생태계 작물재배지역 15지점에서 조사 채집된 지렁이는 3과 4속 12종 1,025개체이며 종 구성은 다음과 같다. Amynthas heteropodus 29.7%, Aporrectodea tuberculata 22.6%, Aporrectodea caliginosa 19.5%, Drawida japonica 11.3%, Amynthas agrestis 5.0%, Amynthas hupeiensis 3.6%,
농업생태계의 환경별로 깔따구류의 분포를 밝히고 우점종을 이용한 유기물 분해능을 평가하고자 대단위경작지, 친환경농업지, 생활하수 유입지, 축산폐수 유입지 및 주변수로 등의 5개 서식처별로 나누어 '04~'06년까지 각 구획을 대표하는 총 78개 지점에서 깔따구과 및 공서 무척추동물을 정량 채집하였다. 그 결과, 농업지대의 깔따구류는 총 16종으로 동정되었다. 서식지 유형별로 출현한 종수를 보면, 축산폐수 유입지에서 11종, 대단위 농경지는 8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