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은 초급성기 뇌경색 진단과 뇌종양 진단 및 치료에 매우 유용하지만 뇌줄기 주변에 자화 감수성 인공물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 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확산강조영상은 에코평면영상(echo planar image)을 사용하고 서로 다른 자화 감수성을 가진 구조물들이 인접한 경계면에서 영상의 왜곡을 나타낸다. SENSE(sensitivity encoding) 기법은 자화 감수성 인공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뇌 줄기의 해부구조를 모방한 팬텀을 만들어서 확산 강조영상 시 자화 감수성 인공물을 감소시키는 최적의 SENSE 인자(factor)를 알아보았다. 산출된 최적의 SENSE 인자와 현재 임상 값으로 만든 영상을 비교 분석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여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팬텀 실험 결과 SENSE 인자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자화 감수성 인공물은 감소하였다. SENSE 인자 2.5, 3.0, 3.5, 4.0을 적용한 영상은 기준 영상 과 같은 크기의 왜곡이 발생하였다. 산출된 SENSE 인자 2.5의 실험군과 1.5을 적용한 대조군 각각 40명의 영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SENSE 인자 1.5를 적용한 대조군은 SENSE 인자 2.5를 적용한 실험군에 비해서 자화 감수성 인공물이 더 크게 발생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뇌 확산강조영상 획득 시 SENSE 인자 2.5를 적용한다 면 진단적으로 더욱 가치가 있는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200원
        2.
        2017.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use of pigs in neuroscience has increased over the past years because the pigs are closely related to humans in terms of anatomy and physiology. Especially, the blood-brain barrier (BBB) maintains the homeostatic microenvironment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and they can provide a valuable tool for studying the neurobiology. However, only a few putative blood-brain barrier (BBB) models have been generated by co-culture of porcine primary cells. The fundamental problem is that they lose some of their phenotypes when maintained in vitro for long-term culture. To establish improved in vitro porcine BBB models, we differentiated novel brai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BMECs) from porcin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 using a modified human-based protocol. Briefly, the dissociated single cells from iPSCs were seeded in Geltrex. For differentiation, cells were maintained for 3 days of expansion and then switched to unconditioned medium (UM) lacking bFGF for 6-7 days. Then, we subcultured cells onto collagen/fibronectin coated plates and changed BMEC medium for 2-3 weeks. About two weeks later, we observed a cluster of round cells surrounded by spindle shaped adherent cells termed as colony-forming units (CFU) of putative BMECs. Over time, the cluster of cells disappears and remained adherent spindle-shaped cells showed properties of endothelial cells. Although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his study would be a great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orcine and human in vitro BBB model.
        7.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ynaptosome에 의한 [3H]-serotonin의 일반적인 흡수특성과 이 과정에 납이 미치는 영향을 in vitro와 in vitro에서 관찰하였다. 흰쥐의 대뇌와 뇌간에서 각각 분리한 synaptosome의 흡수친화력은 대뇌가 Km=0.5μM, 뇌간이 Km=0.1μM로 모두 고친화성 흡수였고 뇌간에서 더 높았다. 또한 이 흡수과정에 sodium과 potassium이온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ynaptosome이
        4,000원
        8.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DWI 검사 시 자화율 차이로 인해 뇌줄기에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을 새로운 SS-TSE를 적용하 여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15년 7월부터 동년 9월까지 DWI 검사를 검사한 30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SS-EPI 기법과 새로운 SS-TSE를 적용하여 기법에 따른 뇌줄기의 왜곡과 오차율을 비교평가 하였 다. 연구결과, 새로운 SS-TSE 적용 시 왜곡이 감소된 것을 볼 수 있으며, 오차율 또한 b0 영상은 2.4%(11. 1%에서 8.7%), b1000 영상은 1.2%(11.4%에서 10.1%)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뇌줄기의 D WI 검사 시 본 연구의 SS-TSE를 이용하면 기존 기법 사용 시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어 진단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9.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뇌줄기 확산강조영상검사 시 뒤틀림을 줄이기 위한 SS-TSE 기법의 신호대잡음비 감소를 수치 적으로 정량화하여, 낮은 신호대잡음비로 인한 SS-TSE 기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 15년 7월부터 10월까지 뇌줄기 확산강조영상검사를 검사한 3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존의 SS-EPI 기법 과 SS-TSE 기법을 적용하여 기법별 숨뇌의 신호대잡음비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b=0 영상의 신호대잡음 비는 새로운 SS-TSE 기법(314.41±42.96) 적용 시 SS-EPI 기법(514.84±48.97) 보다 38.9% 감소하였으며, b=1,0 00 영상의 경우도 SS-TSE 기법(117.33±14.04) 적용 시 SS-EPI 기법(208.65±25.70) 보다 43.8%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미세 병변을 진단하기 위한 뇌줄기의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뒤틀림을 줄이기 위해 SS-TSE 기법을 적용할 경우 신호대잡음비가 저하됨으로 기존의 SS-EPI 기법이나 MS-EPI 기법을 병행하여 검사하는 것이 진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11.
        2010.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senchymal stem cells (MSCs) has been reported as multipotent progenitor cells that can be expanded rapidly in vitro and differentiated into multiple mesodermal cell type. Human MSCs have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neural differentiation especially in the cholinergic phenotype in several neural syste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bility of MSCs derived human aipose tissue to differentiation into neural cells expressing Islet-1 and further differentiates into cholinergic neurons in cholinergic differentiation media. Immunocytochemistry was performed to detect the expression of Islet-1 and demonstrate characteristic of neurons and cholinergic neurons. Islet-1 was massively detected in the induction stage. Following cholinergic differentiation from Islet-1-expressing MSCs, Cholinergic neuron marker ChAT was higly expressed. Also we examin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and neural differentiation of transplanted human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T-MSCs) in ischemic stroke. For transplantation, after 3days after MCAO. animal were divided into 2 group: Group A : injected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5 ㎕ n=10), Group B: transplanted AT-MSCs (5×105 cells, n=10). Each animal received an injection into the right penumbra region (from bregma : AP;-1.3 ㎜, ML;-4.0 ㎜, DV;-5.9 ㎜). In all animals, behavior test were performed at 1, 3, 6, 9, 12, 15 days after MCAO, that was conducted by investigators who were blined to the experimental groups. mNSS test demonstrated that motor, sensory, and balance behavior were impaired after MCAO ischemic insult. Ischemic rats that received AT-MSCs exhibited significantly improved functional performance compared with PBS injected animals and histological analysis revealed that transplanted AT-MSCs expressed marker for neur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T-MSCs can be differentiated into neuron especially in cholinergic neuron and may be a potential source of treatment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 such as stro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