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자는 개교회의 우간다 선교담당으로 사단법인 유니온비전미 션과 함께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연합선교사역을 진행하였다. 거기 에서 연구자는 우간다 교회의 부흥을 보았다. 본 고에서 연구자는 우간다 선교의 역사를 간략하게 살펴보고 우간다 교회의 부흥에 스며들 어 있는 세 가지 요인들을 살펴볼 것이다. 그 세 가지는 바로 미국의 복음주의를 닮은 우간다 본어게인(Born-again) 기독교의 전파, 우간 다의 도시화, 그리고 오순절&은사주의의 경험중심 선교와 예배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그러한 교회성장의 요소들이 상호 영향을 주며 서로 녹여낼 수 있는 곳이 바로 교회당이었다. 유니온비전미션은 연합 선교, 집중선교, 믿음선교를 통해 낡고, 위험하고, 무너져가는 현지 목회자들의 교회당을 새롭게 건축함으로서 교회성장의 기반을 다져주 고 있다. 이들의 선교를 통해 깨닫는 것은 이제 세계선교에서 한국교회 는 우리가 선교한 나라들의 교회들이 스스로 설 수 있게 만드는 선교를 실행해야 함을 깨닫는다.
        7,700원
        2.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세기 중반 이후, 선교의 주체를 교회에서 하나님으로 새롭게 인식하는 등 선교신학의 큰 변화가 있었다. 물론, 하나님의 선교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는 매우 다양하다. 선교의 실천 영역의 변화 중 하나는 선교사 자원의 변화였다. 1980년대를 지나며 서구 선교사의 퇴조가 눈에 띄기 시작했다. 세계 교회는 넉넉한 자원을 가진 교회만 타문화권 선교를 할 수 있다는 오류에 빠져있다. 이것은 고도 근시의 시력으로 선교 역사를 보기 때문에 발생했다. 한편, 영국 특수 침례교회 의 타문화권 선교의 시작은 그렇지 않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핍박과 냉대를 받는 교회, 작고 가난한 교회, 왜곡되고 균형을 잃은 신학을 가졌던 교회, 타문화권 선교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를 가졌던 교회, 선교지를 잘 모르는 교회도 선교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단, 건전한 신앙과 신학으로 영적 갱신을 이루고, 지역 교회들이 연합하여 힘을 모은다면, 중동 이슬람권이나 부탄과 북한처럼 폐쇄국가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교회들은 타문화권 선교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8,300원
        3.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미래 선교의 중요한 독립변수들로서 인구절벽과 4차 산업혁명의 이슈들을 검토함으로써 한국 교회 선교의 미래를 조심스럽게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인구절벽 현실에서 교회 선교의 연관성을 살펴본다. 인구절벽의 문제는 세계인구 증가율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한국 인구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교인 수 감소를 받아들여야 하는 현실이 되었다는 점에서 그 실상을 살펴본다. 그 결과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데, 전체 인구수에서 그리스도인의 비율을 높이는 전략을 취해야 한다. 또한 생물학적 성장 이외의 성장방법론을 취해야 한다. 또 다른 교회 선교의 독립변수로서 4차 산업혁명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특히 인구절벽의 상황에서 4차 산업혁명의 성과물을 활용하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발굴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따라서 이 글은 고령자가 늘어나고, 디지털 기술로부터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 교회 선교 자원을 동원하여 사회봉사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려고 한다.
        6,600원
        4.
        2015.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선교는 만남의 길이요, 화해와 화목으로 가는 길이며, 한국교회의 필연적인 사명이며, 북한 동포들이 복음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로구원을 얻고 하나님의 자녀로 삶을 영위하는 것이 북한선교의 궁극적인목표다. 따라서 인간 삶의 본질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기독교 선교에있어서 북한 동포들의 사고방식이나 생활습관 등의 환경적인 요소들에 대한 연구와 분석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남북한이 공유할 수 있는 종교의 환경적 영역을 넓혀가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민족화해와 평화통일을 이룩하는 것임을 깨닫는 일이다. 그영역들을 찾아내어 분석하고 이해하는 일들이 북한선교에 선행되어야할 과제이다. 남북관계에서 본 북한선교정책전망의 개념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교회의 보수진영(한기총, CCK)과 진보진영(한국교회협의회,NCCK)의 양극으로 나누어 추구하는 선교의 개념을 하나로 이끌어낼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북한선교의 방향성을 살펴볼 것이다. 북한 지원을 목표로 하던 북한선교사역 유형 및 조선그리스도교연맹(조그련)을 단일화된 대북창구로 보았던 선교 유형들이 다양한 창구 로 변화됨에 따라, 북한선교에 기독교 정체성에 관한 문제가 서서히제기되고 있으며, 자본의 논리로 관철되는 오늘날 시대에 엄청난 분단 비용을 감수해야 하는 한국과 북한의 국민들은 어려움 가운데 서 있다.북한선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선교 명령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민족의생존적 차원에서, 그리고 자유라는 미명 아래 당연시되는 무한경쟁을 도전하는 차원에서, 기독교인들의 중요한 과제이며, 무엇보다 먼저북한선교는 기독교 정체성을 회복하는 정책으로, 대북창구가 조그련이라는 점을 인식하며 남북한의 사랑·화해, 그리고 평화의 신학적인기반들을 확립할 수 있는 영적 능력을 배양하고 회복하는 영성운동으로모아야 한다.. 기독교 단체와 비기독교 단체의 구별 없이, 민주적 차원에서 북한 선교사역을 이끌 수 있도록 평신도들을 총체적으로 활용하는 정책이 선행되어야 하고, 한국사회에 새터민이 정착된 생활을 할 수 있는 정책들이 최우선되어야 한다. 북한선교를 위한 한국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과업으로 ‘NGO를 통한 간접우회선교정책’을 우선으로 제시해 야 하며, NGO를 통한 북한선교전략은 기독교에 대한 이미지를 향상시 키는 데 크게 기여하지만 복음을 직접 증거하는 일에 있어서 직접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장기적 입장에서 NGO를 통해 북한과 좋은 관계를 형성하여 상호 신뢰 가운데 선교의 기초를 닦는 것이 효과적이다. 남북관계에서 본 북한선교정책은 북한선교를 목표로 하는 선교단체들의 환경변화 요인과 문제점들을 살펴보면 핵 위기론으로 한국교회 내에 갈등과 분열의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북한 내의 자본주의 경제체제 모방이 가속화되면서 북한을 지원하는 창구가 다변 화되어 북한 선교사역의 방향과 전망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 로 가장 큰 문제는 직접 선교를 할 수 없다는 것이며, 또한 개 교회와 선교단체의 협력문제, 북한선교에 대한 들뜬 감정의 문제로 인하여 북한선교의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미래지향적인 북한선교정책의 기본원리는 성경적 인간성 회복사 역과 성육신 선교사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북한선교의 정책기조로 본 전환에서 개인적인 차원의 북한선교, 개교회적인 차원의 북한선교, 교파적인 차원의 북한선교, 한국교회 에큐메니컬적인 차원의 북한선 교, 북한선교의 마중물로 통일선교를 준비해야 한다. 북한선교의 총체 적인 전망과 대책에서 북한선교의 전망은 첫째, 한국교회와 기독교단체 들 안에서 북한 선교지원자들의 이탈 현상을 교단적 차원으로 전환시켜 야 한다. 둘째, 북한선교의 전략이 단순형에서 총체형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셋째, 북한선교를 북한물자지원차원에서 남북한 교회를 통한 영적 갱신의 차원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북한선교의 대책으로 통일 을 위한 전략으로 남북한이 어떠한 상황에 놓이게 될지는 논하기 힘들지 만 정부의 끈질긴 노력과 기독교의 북한선교 정책으로 어느 시점에서 북한 지역에 복음을 자유롭게 선포할 수 있는 길이 열렸을 때, 체계적이 고 동시적이며, 효과적으로 그 일을 수행하기 위한 통일 후의 선교 전략을 모색했다. 북한선교정책의 유형에서 조그련을 단일화 대북 창구로 보았던 선교의 유형들이 다양한 창구로 변화됨에 따라 북한선교에 기독교 정체성에 관한 문제가 서서히 제기되었다. 또한 지구화, 세계화로 대변되는 오늘의 시대는 모든 것이 자본의 논리로 관철되고 있다. 이로 인해 가난한 국가들과 가난한 사람들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되고 있고, 엄청난 분단비용을 감수해야 하는 한국과 북한의 국민들 역시 어려운 상황 가운데 놓여 있다. 이러한 시점에 우리 기독교인들은 북한선교에 힘을 모아야 한다. 북한선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선교 명령 의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민족의 생존적 차원에서, 그리고 자유라는 미명 아래 당연시되는 무한경쟁을 도전하는 차원에서 기독교인들의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므로 한국교회는 미래 북한선교 사역에 있어서 먼저 북한을 더 이상 ‘한국과 북한이 서로 대립되는 관계로 머무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함께 주도할 동반자’로 인식해야 한다. 그렇게 될 때 한국교회의 미래는 민족 모두에게 진정한 희망이 될 것이며,바로 이 일을 위한 기독교인들의 북한선교는 큰 의미를 창출할 것으로 본다.
        8,300원
        5.
        2015.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올해 2015년은 헨리 게어할드 아펜젤러(Henry Gerhard Appenzeller, 1858-1902)의 한국선교 130주년이 되는 해이다. 한국에서 그의 활동은 당시 다른 선교사들과 비교해 볼 때(예를 들어 언더우드의 31년 사역, 1885-1916) 비록 17년(1885-1902)이라는 짧은 기간동안에 이루어졌지만, 아펜젤러는 한국감리교회의 주춧돌을 놓았을뿐만 아니라 한국 개신교의 발전과 한국 근대화를 위해 크게 기여하였다. 이 글에서 필자는 아펜젤러의 삶과 사역을 주로 다루었는데, 그의생애는 두 개의 특성으로, 그리고 그의 사역은 총 일곱 개의 특성들로설명하였다. 우선 아펜젤러는 중생을 경험한 후 감리교인이 되었고,그의 아버지는 아펜젤러가 장로교 목사가 되기를 원했지만 그는 감리교선교사가 되었다. 한편, 아펜젤러는 초기 한국에 온 개신교 선교사들 중의 한사람으로서 선교 초기 미국과 한국 정부의 조언을 수용했던 착한 사람이었다.아펜젤러는 쌀(rice) 혹은 명목상의 그리스도인이 아닌 진정한 기독교인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사역했다. 물론 여전히 논쟁적이기는 하지만, 아펜젤러는 한국에서 교회를 세운 초기 설립자들 중의 한 사람이었다. 또한 그는 한국의 근대화와 기독교 교육의 발전을 위해 공헌했던교육가였을 뿐만 아니라, 당시 한국에 거주하던 선교사들을 포함 대부분의 외국인들을 이끌었던 유능한 지도자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중요한 점은 아펜젤러가 계몽운동가와 독립운동가로서 한국의 근대화,민주화, 그리고 독립을 위해 기여했다는 점이다. 요컨대, 아펜젤러는 영적인 회심을 경험했던 진정한 기독교인이었다. 그리고 당시 외국인들, 한국인들과 사회적으로 좋은 관계를 맺고있었던 착한 사람이었다. 게다가 그는 수용과 저항의 때를 분별할 줄 아는 사람이었다. 즉 그는 한국 사람들이 복음을 들을만한 준비가 될 때까지 미국과 한국 정부의 지시를 받아들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미국이 일본과 같은 강대국들의 한국 점령을 암묵적으로 허락하거나 고종이 근대민주국가로의 변화에 대해 거부했을 때는 미국과 한국정부에 당당히 저항하였다. 그러므로 아펜젤러의 한국선교 130주년을 기념할 때, 한국의 모든 개신교회들은 반드시 그의 열정적인 영성,따뜻한 사회성, 냉철한 분별력에 관해 반드시 재고해야만 한다.
        9,000원
        6.
        201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선교적 교회론의 기원 및 배경을 간략하게 살펴본 후, 선교적 교회론의 바탕이 되는 그리스도의 지상명령, 하나님의 선교, 통전적 선교, 그리고 상황화의 이슈들을 살펴보면서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본 선교를 논의하였다. 선교적 교회론은 이미 레슬리 뉴비긴과 데이비드 보쉬와 같은 선교신학자들에 의하여 논의되었으며 1998년 대럴 구더를 비롯한 “미국 복음과 우리의 문화 네트워크”에 속한 연구자들에 의하여 더욱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은 하나님의 선교의 중추라고 볼 수 있으며 이 전도명령에 따라 교차문화적 선교와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가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나 교회가 아니라 삼위일체 하나님이 주체가 되는 하나님의 선교는 복음을 토착민의 심성과 다양한 문화적 형태들에 따라서 전해야 하는 토착적인 교회의 개척과 성장은 물론 제 4의 자아, 즉 토착화 신학의 개발을 요구한다. 더 나아가서, 하나님의 선교는 하나님의 나라를 이 땅에 임하게 하기 위하여 복음전도와 사회적 책임을 통합할 수 있는 통전적 선교를 추구한다. 이 통전적 선교는 선교적 교회가 캐리그마, 코이노니아, 그리고 디아코니아를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가 당시에 행하신 선교를 그분이 다시 오실 때까지 계속하는 것이다. 특히 오늘날 이 시대에 선교적 교회는 모든 경계를 뛰어넘어 예수 그리스도의 증인이 되어야 하며 변화와 화해의 사신이 되어야 한다.
        9,300원
        7.
        201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세계선교운동에서 상황화 패러다임으로의 전환과 전개를 인식론의 시대적 변천과 연계해 추적하면서 교회 본연의 선교적 삶을 확증하고 강화하는 상황화의 존재 의미와 가치를 다각도로 탐구한다. 교회의 선교적 생명성은 상황화를 통해 구체적으로 활성화된다. 문화적 진공상태 가운데 형성·전파·정착되는 복음은 결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음의 전수(傳授)적 측으로부터의 탈(脫)문화적이며 동시에 복음의 수용적 측으로의 재(再)문화적인 상황화는 선교적 교회에게 존재론적으로 부여된 해석학적 과제이다. 그러나 세계선교운동에서 상황화가 교회의 선교적 삶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본질적 요소로 중시되어 적극 활용된 것은 탈기독교세계 시대의 출현 이후이며, 이것은 복음과 문화에 대한 인식론적 전이와 밀접히 관련된다. 다시 말해 상황화는 계시와 이성, 본체와 현상, 주관성과 객관성, 실증주의와 상대주의를 통전적으로 아우르는 비판적 사실주의 관점에서 복음의 경계 한정성 대신 중심 지향성이, 문화의 자족적 폐쇄성 대신 유기적 상관성이, 그리고 타종교의 문화적 우연성 대신 문화적 필연성이 강조되는 탈기독교세계적 사유의 산물이다. 이와 같은 인식론의 시대적 변천과 맞물려 1970년대 초 에큐메니칼계 신개념으로 등장한 상황화는 1980년대에 그 유형과 방법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와 연구를 거치면서 세계선교운동의 주류 패러다임으로 부상하였다. 그 결과 오늘날 세계선교운동은 ‘상황화는 함의상 과정성이, 유형상 포용성이, 그리고 방법상 적합성이 요청되는 교회의 선교적 실존의 필연이다’라는 공동의 선교신학적 인식 속에 단일문화적인 기독교세계가 아닌 다문화적인 하나님 나라를 추구하며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고 있다.
        7,700원
        8.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s George G. Hunter’s church growth insights revealed in his classic, To Spread the Power: Church Growth in the Wesleyan Spirit. On the basis of his insights and interpretations of collected data including interviews, letters, and observation, this study evaluates the mission programs of Anjung Church of the Nazarene. Hunter adopted John Wesley’s ideas and the church growth theories developed by Donald A. McGavran and C. Peter Wagner to produce his own church growth theory.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Hunter’s church growth insights to a local church, Anjung Church of the Nazarene. This church represents the Korean Nazarene Church (KNC) in this evaluation. (KNC was organized in 1948, although some Nazarene churches were already planted in Pyong Yang and Seou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unter’s church growth insights were translated into six “mega-strategies.” The six mega-strategies are: 1. Identifying receptive people, 2. Reaching across social networks to people, 3. Organizing new recruiting groups and ports of entry, 4. Ministering to the needs of people, 5. Indigenizing the ministries to fit the culture of the people, and 6. Planning to achieve their intended future. This study discovered some strengths and some weaknesses of the Anjung Church of the Nazarene. The church was comparatively strong in evangelism and outreach, although DGR showed diversity between “poor” growth and “good” growth. The church has grown steadily since it was planted in 1947. In particular, the church was very aggressive in church planting work. However, the church was comparatively weak in cross-cultural missions, although it tried to build two church buildings, one in the Philippines and another in North India. This study presents seven suggestions to Anjung Church of the Nazarene based on missiological analysis and evaluation. In summary, the church needs to carry out holistic mission programs to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proclamation / evangelism and social action / social service. Anjung Church of the Nazarene has a great potential to fulfill the Great Commission and to implement the Great Commandment. The classical purposes of missions are conversion, church planting, and the extension of God’s kingdom. God will be glorified by the local church.
        6,100원
        9.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dissertation was embarked upon for the historical examination and the missiological academic analysis of ‘The state-political character of the mission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hich has been mentioned widely without any academic examination. This kind of study is necessary to understand rightly the Eastern Orthodox world which was drawn to the Korean church immediately after the collapse of USSR, and to establish the proper relationships between the old USSR and the Eastern European people as well as how best to evangelize them. The researcher analyzes the Russian archives in relation to the missions of Russian Orthodox Church. He carefully examines and analyzes closely the historical materials from 1860 till 1917(Bolshevik Revolution) including the mission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to the immigrant Koreans and those between 1897 and 1925 in relation to the mission to the Koreans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t could be said that the mission of Russian Orthodox Church was a reverse movement to the mission of Trinitarian God transcendent to man-made boundaries. It was mission as an instrument not for serving the interest of God toward the whole world, but for serving the interest of his or her own country alone. It was a distorted mission far from demonstrating the love of God because of absolutizing the nationalistic political ideology ‘russiani-zation’ As a result, it became heterogeneous apart from the right motif, goal and method of God’s mission. I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became possible to describe concretely the character and mode of the state-political mission of Russian orthodox church which has been vaguely mentioned and to have a theoretical prospect the general results which might happen in the process of the state-political missions. This study could probably be an available knowledge not only for those who are participating in missions to the people who has lived in the state-political mission world, but also for those who wish to evangelize it, cooperate with the Eastern Orthodox churches as well as offer invaluable suggestions to the mission scholars around the world.
        8,100원
        10.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세기에 중국에서 활동한 개신교 선교사들은 가톨릭교회의 선교에 비 해서 그들의 선교가 여러 측면에서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었음을 인식하 였다. 그러므로 그들은 선교현장에서 의도적으로 개신교회가 ‘성서의 종교’ 임을 강조하고, 성서를 번역하는 일에 최우선 순위를 두었으며 성서를 보 급하는 일에 노력하였는데 이는 개신교 선교부의 가톨릭교회와의 차별화 전략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가톨릭교회가 초기에는 ‘선교보호권’(宣敎保 護權)을 중심으로, 1622년부터는 포교성성(布敎聖省)을 중심으로 하여 국 가 및 교황청을 중심으로 하여 아시아 및 중국선교를 수행하였던 것과는 달리 개신교 선교사들은 대체적으로 자발적 선교회 등을 중심으로 하여 국 가 또는 강력한 교회중심체제로부터 벗어나 선교를 수행하였다. 일부의 현 상이나마, 가톨릭교회가 기독교를 선점한 중국에서 그리고 당시 직접적 복 음전도의 자유가 없던 중국에서 개신교 선교사들의 최선의 전략은 성서원 문으로부터의 성서번역과 보급이었으며 이는 종교개혁의 후예로서 자신들 의 정체성과도 일치하는 일이었다. 로버트 모리슨의 번역본을 시작으로 첫 100여년동안 8개의 다른 중국어번역본을 출판한 개신교의 열정이 그들의 성서에 대한 관심을 증거한다. 그러나, 대립되는 성서판본을 출판할 수밖에 없었던 개신교회의 불일치성은 오늘날 진지한 성찰을 요구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