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usceptibility of the Cigarette beetle, which are pests in tobacco, to methyl bromide and phosphine fumigants was evaluated. Five concentrations of each methyl bromide were selected for all stages and treated for 4 hours. As a result, 100% larvae were observed in eggs CT 51.20, late larva CT 73.61, pupa CT 71.87 and adult 52.87 mg h / L, respectively. The LCT50 values for methyl bromide were 13.896 for eggs, 36.038 for late larvae, 25.172 and 21.758 mg / l, respectively. The phosphine treatment was carried out for 5 to 6 concentrations (0.025, 0.051, 0.099, 0.501, 0.999 and 1.500 mg / L) for 20 hours. As a result, egg and late larvae showed 100% larvae at CT 5.137 and 6.435 mg h / L, respectively, and 61.9% and 98.9% of larvae and adult larvae were similar to each other. Pupae showed 86.4% larvae at CT 10.520 and 100% larvae at over 13.777 mg / h of CT. The LCT50 values for phosphine were 0.317 for eggs, 0.649 for late larvae, 3.748 for pupa and 0.703 mg / l for adults.
        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ontact toxicity and residual toxicity of the 26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against cigarette beetle, Lasioderma serricorne and maize weevil, Sitophilus zeamais adult. Among 26 insecticides, seven insecticides (chlorpyrifos, chlorpyrifos-methyl, 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 cypermethrin, α-cyhalothrin) against L. serricorne adult and five insecticides (chlorpyrifos, chlorpyrifos-methyl, 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 against S. zeamais adult showed perfect mortality. LC50 (ppm) values of those selected insecticides were appeared lowest value on α-cyhalothrin (1.46 ppm) against L. serricorne adult and chlorpyrifos-methyl (0.64 ppm) against S. zeamais adult, respectively. However, chlorpyrifos-methyl still remain high toxicity until 90th days after treatment against both L. serricorne and S. zeamais adults. From above results, it will be useful information to select insecticides effective against L. serricorne and S. zeamais adults.
        3.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궐련벌레(Lasioderma serricorne F)가 제품담배내 오염되었을때의 방제방법으로 감마선 이용법을 선전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Gelatin capsules에 공시충을 넣은 다음 감마선을 조사해 본 결과 0.8kGy이상의 선량에서 난태는 모두 살충되었고 용태나 성충때 및 유충태는 0~30%가 살충되었다. 몇가지 제품담배값내에 공시충을 함유한 gelatin capsules이 삽입된 궐련을 넣은후 감마선 조사시의 궐련벌레 충태별 방제효과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감마선의 영향을 받은 궐련벌레의 성충 및 유충태를 인공먹이로 사육해 본 결과 차세대 개체군 증식이 확인되지 않았다. 감마선에 노출된 궐련벌레의 각 충태는 선량이 높아질수록 생존기간이 짧아졌으며 4령 유충이 처리 공시충중 가장 오래 생존하였다. 감마선에 노출된 제품담배의 고유향기나 맛은 선량 증가에도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감마선이 처리된 제품담배의 포갑지나 궐련지 및 은박지 등은 고유의 색도 또한 변화하지 않았다.
        4,000원
        4.
        198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장중(貯藏中)에 있거나 제조(製造)된 담배를 가해(加害)하는 주요해충(主要害蟲)인 궐련벌레(Lasioderma serricorne F.)의 유충(幼蟲)에 기생(寄生)하는 궐련벌레살이주머니응애 (Pyemotes tritici L.-F. & M.)는 응애아목(亞目)(Trombidiformes)의 Pyemotidae(주머니응애과(科))에 속(屬)하며 국내(國內)에서는 처음으로 한국인삼연초연구소(韓國人蔘煙草硏究所)에서 발견(發見), 분류(分類) 동정(同定)되어졌다. 본종(本種)을 개체사육(個體飼育)하면서 조사(調査)한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과 일부(一部) 생활사(生活史)의 요약(要約)은 다음과 같다. 1. 궐련벌레살이주머니응애는 4개(個)의 배판(背板)을 갖고 있으며 첫째 등판에는 세쌍, 두번째에는 두쌍, 세번째에는 한쌍, 네번째에는 두쌍의 센털이 나있고, 첫째 등판에는 한쌍의 기관(氣管)이 있다. 네쌍의 다리에는 사이판(板)과 두개의 발톱이 있고, 특히 맬 앞쪽 발에는 발달된 발톱이 있다. 2. 수컷이 먼저 태어나며 암컷이 태어나는 즉시 교미(交尾)한다. 암컷이나 수컷은 어미의 복부내(腹部內)에서 성적(性的)으로 성숙(成熟)된 상태로 태어난다. 3. 교미(交尾)가 끝난 암컷은 숙주의 체표(體表)에서 일(日) 이 지나면 새끼를 낳기 시작한다. 4. 새끼를 낳는 기간(期間)은 일(日)이고 한마리의 암컷이 낳는 새끼의 수(數)는 마리였다. 5. 암컷과 수컷의 출생(出生) 직후(直後)의 크기는 같았고 체장(體長)은 , 체폭(體幅)은 이었다. 6. 수컷은 48시간(時間) 이내(以內)에 모두 사망(死亡)하였고 암컷은 자라면서 복부(腹部)는 커져 구형(球型)을 이루며 다 자라면 직경(直徑)이 , 체적(體積)이 가 된다. 7. 복부(腹部)의 직경(直徑)은 숙주체액(宿主體液) 흡즙후(吸汁後) 일(日)경에, 체적(體積)은 일(日)경에 증가폭(增加幅)이 가장 컸다. 8. 새끼를 낳기 시작한 후(後) 4일(日)경에 가장 많이 낳았고 9일(日) 이후(以後)부터는 낳기를 중단하였다.
        3,000원
        5.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The current regulations regarding the storage of medicinal herbs do not define the storage temperature; instead, but the only requirement is that the plastic bags used for storing the medicinal herbs should be tightly sealed during storage. The practice of storing medicinal herbs at room temperature (28℃), causes many problems, including growth of insect pests on the stored medicinal herbs. Thu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ffect of insect pests on the quality of medicinal herbs stored at room temperature (28℃) for the improving the relevant regulations. Methods and Results: Cnidium rhizome and Angelica radix were infested with Lasioderma serricorne F. adults and incubated at 28℃ for 2.5 and 5 months. The population of L. serricorne was established rapidly, and left many holes, cadavers, and feces on the stored medicinal herbs, thereby greatly damaging the product appearance and hygiene. In addition, active ingredients of the medicinal herb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robably reducing their medicinal quality as well.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urrent regulations are not sufficient to prevent the establishment of storage insect pests and guarantee the quality and hygiene of stored medicinal herb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ise proper storage protocols and upgrade the current relevant regulations to maintain the quality of medicinal herbs during sto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