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ny entomopathogenic fungal isolates received interests for controlling insect pests. But very few numbers of isolatesreached agricultural fields as commercial produ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grain substrates forconidial production, focusing on conidial productivity and thermotolerance. Next to efficiently use the produced conidiafor spray application, conidia need to be separated from the grain substrates. Isaria javanica and I. fumosorosea conidiawere solid-cultured on ten kinds of cereal grains. Solid-cultured grains were packed in a screen bag and immersed inwater with a variety of surfactants at 100 ppm, such as Silwet, CO-2.5, CO-12, LE-7, PE-61, TDE-3, Tween 20 or Tween80. High levels of conidial release were observed on LE-7, TDE-3 and Tween80 treatments. This work suggests thatthe screen bag can be used to separated conidia from the cultured grains with the help of surfactants.
        5.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is difficult to control using chemical insecticides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insecticide resistance. Various control agents may use for eco-friendly beet armyworm managements, Entomopathogenic fungus is one of the promising control agents as an alternative to chemical control agent. At previous study we isolated a number of entomopathogenic fungi from soil samples and selected three entomopathogenic fungi, Metarhizium anisopliae FT83, Paecilomyces fumosoroseus FG340 and Metarhizium anisopliae FG344 which had high virulence against larva of beet armyworm. To select an isolate having high virulence at high temperature against S. exigua, thermophilic pest, we conducted bioassay at five different temperatures(15, 20, 25, 30, 35℃). These three isolates showed the high mortality and low LT50 at 30℃. To select substrate for mass production these isolates were inoculated(5×10⁴/㎖, 20㎖) at barley, unpolished rice, wheat bran and rice bran and incubated for 14 days at 25℃. Wheat bran showed highest conidia production of M. anisopliae FT83 and P. funosoroseus FG340 and barley was suitable for M. anisopliae FG344.
        6.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misia tabaci, sweetpotato whitefly, has been recognized one of the most destructive insect pests worldwide because of increased resistance to some insecticide groups requiring alternative strategies for its control. We conducted a study of the influence of relative humidity, temperature and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n the susceptibility of sweetpotato whitefly to conidia of Isaria javanica isolate, which had been reported high virulence against Q biotype of B. tabaci. The mortality of tobacco whitefly was low at low constant relative humidities, but was high when kept high humidity for first 24 hours and transferred to low humidity. The Isaria isolate had wide range of temperature (15℃ to 35℃) to control sweetpotato whitefly. The isolate has virulence to the egg and all developmental stages of nymph of B. tabaci.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solate had good control effects at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is an excellent candidate to develop a microbial pesticide to control sweetpotato whitefly.
        7.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especially Q biotype, has been recognized one of the most destructive insect pests worldwide because of increased resistance to some insecticide groups requiring alternative strategies for its control. We studied the conidia production of entomopathogenic fungus Isaria javanica Pf04, which had been reported high virulence isolate against Q biotype of B. tabaci, using grain. Brown rice was most suitable for conidia mass production of the isolate of I. javanica. Conidia was produced high at 25 ~ 27.5℃. The isolate produced more spores when conidia suspension directly inoculated onto media than two-phase fermentation. When concentration of inoculum was high spore production was high, but increasing rate of conidia production was highest at low inoculum concentration (1×105 conidia/ml) as 6,700 times increase compared with 20 times increase at high inoculum concentration (1×108 conidia/m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solate can produce more conidia with cheap agricultural product and can develop as a microbial pesticide to control sweetpotato whitefly.
        8.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 species entomopathogenic fungi most widely used and valued in traditional Asian medical practice are Ophiocordyceps sinensis (formely Cordyceps sinensis) and Cordyceps militaris. Although O. sinensis may be the more famous and expensive fungus, it is also comparatively rare and cannot be grown or made to fruit readily in culture whereas C. militaris occurs worldwide, can be easily cultured, and is the easist of all Cordyceps species to fruit in culture. There is a well establihed cottage industry in Korea to produce C. militaris as a dietary supplement or even as a culinary ingredient used to promote improved health. Most of the Korean farmers raising C. militaris obtain fruiting bodies from silkworms that are injected with suspensions of hyphal bodies grown in liquid cultures. This study seeks to facilitate and to simplify the injection process used to produced this fungus by finding a simple cullture medium on which abundant supplies of the Lecanicillium conodial state of C. militaris are produced and can be used with simplified injection protocols involving spraying or dipping in conidial suspensions than the more material- and labor- intensive injection protocol. The studies to be repored include quantitative tests of conodial yields on varying carbon sources, varying nitrogen sources, and attempted to optimize the carbon/nitrogen ratio and pH of the medium for conidial production.
        10.
        198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 탄저병균(炭疽病菌)(Colletrichum denzatium f. sp. capsicum)의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양원(營養源) 및 환경요인(環境要因)의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져 slide 발아법(發芽法)으로 실시(實施)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고추 탄저병균(炭疽病菌) 분생포자(分生胞子) 발아(發芽)의 온도범위(溫度範圍)는 이고 최적온도(最適溫度)는 , pH 범위(範圍)는 이고 최적(最適) pH 는 5.5 였고 상대습도(相對濕度)는 포화(飽和)에 가까운 90% 이상(以上)의 상대습도(相對濕度)에서 발아율(發芽率)이 현저(顯著)히 좋았다. 2. 고추 탄저병균(炭疽病菌)의 포자발아(胞子發芽)는 PSB(potato sucrose broth), RPFD(red pepper fruit broth), GPFB(green pepper furit broth) 및 PLB (pepper leaf broth) 에서는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으나 살균증류수(殺菌蒸溜水)(D.W) 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이 현저(顯著)히 떨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3. 탄소원(炭素源)과 질소원(窒素源)의 투여(投與)는 발아(發芽)에 절대적(絶對的)인 영향(影響)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確認)되었으며 K,P 및 S 등(等)의 무기염류(無機鹽類)는 뚜렷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았다. 4. 탄소원(炭素源)이 발아(發芽)에 미치는 효과(效果)에서 단당류(單糖類)인 glucose 와 galactose 에서, 이당류(二糖類)인 lactose 에서 그리고 다당류(多糖類)인 가용성(可溶性) 전분(澱粉)에서 90% 이상(以上)의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다. 5. 현탁액(懸濁液)의 분생포자(分生胞子) 밀도(密度)가 일때 가장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고 이상(以上)일 때 발아율(發芽率)은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으며 의 포자밀도(胞子密度)에서는 극(極)히 낮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포자밀도(胞子密度)의 증가(增加)가 self-inhibitor 로 작용(作用)하는 것으로 추측(推測)되며 기질(基質)을 제거(除去)한 분생포자(分生胞子)의 발아율(發芽率)은 기질(基質)을 제거(除去)하지 않은 분생포자(分生胞子)의 발아율(發芽率)보다 낮은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분생포자(分生胞子) 밀도(密度)가 증가(增加)할수록 더욱 현저(顯著)한 발아율(發芽率)의 감소(減少)를 가져왔다.
        4,000원
        11.
        198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두갈색무늬병균의 포자발아(分生胞子發芽) 미치는 외부영양공급(外部營養供給) 및 self-inhibitor의 영향(影響)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갈색무늬병균의 포자발아율은 감자한천배지 및 대두잎조각을 첨가한 증류수에서는 양호하였으나 살균된 증류수에서는 극히 불량하였다. 2. 갈색무늬병균의 포자발아에는 탄소원의 외부공급이 절대 필요한 것으로 보였으며 인산, 가리 등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였다. 3. 탄소원으로서는 가용성 전분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다음이 포도당, 유당 등이었으며 포도당의 경우 농도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4. 포자발아율은 포자밀도가 높을수록 현저히 감소하여 포자농도 이상에서는 거의 발아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self-inhibitor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였다. 5. 기질(基質)을 세척한 포자의 발아율은 세척하지 않은 포자의 발아율에 비해 낮았으며 이러한 현상은 포자농도가 이상으로 증가할 때 더욱 현저하였고 건조된 한천배양기위에는 발아율 감소가 현저하였다.
        4,000원
        12.
        197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보리흰가루병(Erysiphe graminis hordei race I)에 의한 대맥엽침입부에 항균성 형광화세포를 유도하는 물질의 추출분획을 얻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 분생포자의 ethanol 추출분획이 형광화세포의 유도활성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 분획은 비친화성인 Turkey 290품종에나 친화성품종에나 마찬가지로 형광화세포 유도활성을 나타냈으나 그 유도에 요하는 시간은 Turkey 290에서 8시간 이내 Kobingataki에서 16시간이내이었다.
        4,000원
        13.
        197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밀, 보리 붉은곰팡이병균의 분생포자 및 자낭각형성에 미치는 광선의 영향을 수량적으로 연구하고, 분생포자의 제1차 전염원으로서의 가능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토양에서의 일동상태를 조사하였다. 1. 균주 진주 1은 연속광선조사구에서는 광암교호구 및 암처리구보다 분생포자 형성이 많았다. 균주 수원 3은 암처리에서도 진주 1의 광처리보다 분생포자 형성이 많았으며, 광암교호구에서는 배양일 8일후 현저히 증가하였다. 2. 두 균주 모두 자낭각 형성에는 광선이 필요했고, 수원 3은 연속광선처리에서도 미숙 자낭각만을, 진주 1은 암처리를 제외한 다른 처리에서 많은 성숙자낭각 및 미숙자낭각을 형성했다. 분생포자 형성과 자낭각형성은 균주간에 차이가 있었고, 진주 1은 분생포자 형성량은 적으나, 자낭각형성은 많았고, 수인 3은 그와 반대였다. 3. 분생포자는 각각 의 토양습도에서 겨울동안 그 수가 현저하게 감소했으나, 이듬해 3월부터 토양습도에 관계없이 그 수가 증가했다 즉 밀, 보리 붉은곰팡이병균의 분생포자는 토양에서 월동할 수 있었으며, 1차 전염원의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