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otal knee arthroplasty (TKA) recovers the alignment of the knee joint, but fails to automatically restore the alignment and function of the hip and ankle joints. It may affect the alignment and stability of the knee joint, therefore therapeutic intervention in hip and ankle joint is necessary for the rehabilitation process after TKA. Obj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he two exercise methods on the coronal plane alignment after TKA.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by dividing subjects into a lower extremity isometric co-contraction group (LEIC) and a quadriceps isolated isometric contraction (QIIC) group. Methods: A total of 37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LEIC (n1=19) or the QIIC (n2=18). Exercise was applied to five times per week for three weeks, starting on the eighth day after surgery. Range of motion exercises were performed as a common intervention and then each group performed quadriceps isometric contraction exercises with 10 sets of 5 repetitions. Radiological imaging was performed prior to surgery, one month and six months after surgery. In addition, the hip-knee-ankle angle (HKA) and tibiotalar angle (TTA) were measured. Results: The HKA was close to neutral in the LEIC rather than the QIIC (p<.05). The LEIC showed varus and the QIIC exhibited valgus TTA (p<.05). In a comparison of HKA and TTA over tim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either group (p>.05).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the TTA before surgery, the LEIC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varus direction (p<.05),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QIIC (p>.05). Conclusion: The LEIC method triggered changes in the TTA and brought the HKA close to the neutral. Thus, LEIC is more effective than QIIC in creating stability in the coronal plane alignment of the knee and ankle joints after TKA.
        4,200원
        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자기공명 담췌관조영술(MRCP)에서 관상면(Coronal plane) 확산강조영상의 프로토콜 적용을 위한 최적의 b-value 값을 영상분석으로 산출하고, 축상면(Axial plane) 확산강조영상과의 비교를 통해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 검사를 시행한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용장비는 3.0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장치(Achieva, Philips medical system) 장비와 32-channel SENSE Cardiac coil을 사용하였다. 영상은 b-value(0s/mm², 400s/mm², 800s/mm²)값을 다르게 하여 관상면 single-shot echo-planar diffusion weighted image(SSEPDWI)로 획득하였다. 영상획득의 매개변수는 TR/TE : 1280/ 60msec, Slice Thickness/Gap : 5/2mm, FOV : 220x220x220mm³, Matrix : 92x124, NEX : 3, EPI factor : 33, Acquisition Time : 3min로 하여 조영 후 영상을 얻었다.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을 Philips사의 EWS(Extended MR workspace 2.6.3.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b-value 마다 총담관 및 담낭과 주변조직인 간 실질의 신호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신호 대 잡음 비, 대조도 대 잡음 비를 산출하였다. 더불어 현성확산계수 영상(ADC map)을 통해 정량적 분석과 함께 정성적 분석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 v12.k을 사용하여 ANOVA와 Pair T-test 통해 검증하였다. 결 과 :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의 b-value가 증가함에 따라 총담관과 담낭의 경우 대체적으로 신호 대 잡음 비, 대조도 대 잡음 비, 현성확산계수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총담관 종양과 담낭 결석이 있는 환자에게서는 b-0와 b-400의 차이가 적었으며 일부에서는 b-400이 더 높게 나왔다. 신호 대 잡음 비 평균값은 b-0에서 담낭이 407.9로 가장 컸으며 b-400에서는 이보다 조금 낮은 304.0이 나왔다. 대조도 대 잡음 비에서는 b-400과 b-800에서 큰 차이를 보였으며, b-800보다는 b-400이 더 높게 나왔다. 현성확산계수 평균값은 b-value 값이 증가할수록 ADC 평균값은 약간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b-0는 확산경사자장이 인가되지 않은 영상이므로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b-800보다 b-400의 신호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자기공명 담췌관조영술에서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은 총담관, 췌관 및 담낭 등의 해부학적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양의 진단을 다양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적정한 b-value값이 적용 된다면 축상면 확산강조영상과 함께 기타 복부검사에도 확대 적용이 가능하기에 관상면 확산강조영상의 프로토콜 적용은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
        199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effective rehabilitation of the shoulder, physical therapists must have correct knowledge of shoulder mov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houlder movements and the rotation of the humerus in the sagittal, coronal and scapular planes. Fifty normal subjects(25 male, 25 female) were tested using a Dualar-plus digital goniometer and an air-splint. The subjects performed active shoulder elevation in each plane with the humerus rotated in both medial and lateral directions. The range of motion(ROM) of the glenohumeral joint was measured three times.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ROM between medial and lateral rotation of the humerus. Results showed that, in the sagittal and the coronal plan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 < 0.01) in ROM of the shoulder between medial rotation and lateral rotation which was greater. But in the scapular plan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edial and lateral rotation. Physical therapists should consider these results when the goal of treatment is to increase ROM of the shoulder.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