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qualitative case study explores multilingual learners’ linguistic practices and how they are interrelated with their identities in the context of a Korean alternative school. The learners are two Chosunjok, and one North Korean refugee child. The data were derived from the learners’ digital storytelling videos, semi-structured interviews, stimulated-recall interviews, and observation field notes. The data were thematically analyzed and organized using Rose’s (2007) sites of visual meaning-making structure.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learners had different amounts of access to information regarding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that they depended on the resources available within the communities they belonged to. Moreover, the participants’ levels of investment in language learning were constructed around their communities and identities. Their attitudes in language learning were also interrelated with the broader English language ideologies in South Korea. By sharing the stories of three multilingual learners, the study provides pedagogical implications on the influence of resources on multilingual learners’ language learning.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oviding a space for multilingual learners to critically reflect on current and future resources, utilize their full communicative repertoire, and identify ways to increase their affordances of learning.
게임의 눈부신 산업적 성장과 함께 게임을 하나의 학문으로 체계화하려는 시도가 활발 해지고 있다. 특히 게임이 새로운 학문 분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다른 학문과 구별될 수 있는 학문 정체성을 밝혀 내는 것이 반드시 요구된다. 본 연구는 학문으로서 게임의 정체성을 알아보기 위해 학문, 지식을 체계화한 학문, 문헌, 연구 분류체계 표준에 나타 난 게임의 개념과 다른 분류요소와의 관계를 정리하고 이를 오늘날 지식체계의 철학적 근간인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을 사용하여 분류하였다. 다양한 지식분류체계에서 게임의 개념을 정리한 결과 비평의 대상, 전자화된 놀이, 문화 상품과 같이 다양하며 일치된 견 해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다양한 개념은 결국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의 삶과 지식에 대한 철학적 개념 중 만들고 제작하는 것에 중심을 두는 포에이시스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실용적 지식인 테크네로 정리될 수 있었다. 더 지식분류체계에 드러난 게임의 관계 를 포함하여 분석하면 단순하게 포에이시스의 영역이 아니라 실천을 의미하는 프락시스 의 영역에 걸쳐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를 통해 향후 이러한 두가지 개념이 다양한 게임 연구 및 교육활동에서 어떻게 구체화되거나 적용될 수 있는지 탐구함으로 써 게임의 학문정체성을 정의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