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자 아내의 자기불일치와 속박감이 우울에 미치 는 영향에서 영적안녕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목회자 아내의 우울을 위한 치료적 개입 방법을 찾고자 하는 데 있다. 목회자의 아내 302명을 대상으로 자기불일치 척도, 속박감 척도, 우울 척도, 영적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3.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불일치, 속박감, 우울은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영적안녕감은 자기불일치, 속박감, 우울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속박감의 부분 매개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자기불일치와 속박감의 관계에서 영 적안녕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넷째, 자기불일치와 우울의 관계에서 영적안녕감에 의한 속박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자기불 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속박감의 매개효과가 영적안녕감의 수준 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 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6,900원
        3.
        2023.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udies on automatic scoring systems in writing assessments have also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machine scores for the reliability of automated essay scoring system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gnitudes of indices for inter-rater agreement and discrepancy, especially regarding human and machine scoring, in writing assessment. The mean of the overall population correlation between automated and human scoring in essay writing was .78. The overall common d effect size was 0.001. Results from this meta-analysis indicated a strong relationship with no discrepancies between automated and human scoring. Both the I2 and Q values suggested that the population correlation values studied seemed to be heterogeneous, in contrast to homogenous d effect siz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sources of the between-studies variations for r correlations. Practical implications for ways of reporting results of automatic-scoring systems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also discussed.
        5,500원
        4.
        202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장 내 경쟁 기업과 비교한 국내 신규상장기업의 상대적 성과를 기업 국제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기업행동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기업행동이론에 따르면 기업의 성과 목표와 현재의 실제 성과를 비교 해 도출되는 상대적 성과는 기업의 위험감수성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추후 전략적 결정을 설명하는 중요한 결 정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경쟁기업보다 자원을 적게 보유하는 신규상장기업 중 현재 시장 내 경쟁기업의 성과로 대표되는 사회적 성과 목표와 비교하여 음(-)의 상대적 성과를 가지는 기업일수록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위험성 이 높은 국제화 전략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것으로 예상한다. 그리고 이런 경향은 해당 신규상장기업이 소속되어 있는 기업 네트워크의 특성과 지역 클러스터(geographic cluster) 소속 여부에 따라 조절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신규상장기업을 기업 공개 후 5년 이내인 기업으로 정의하고 2012년부터 2018 년의 표본 기간 동안에 코스피,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신규상장기업 152사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 과 시장 내 경쟁기업 성과의 중간값을 하회하는 기업 성과를 기록한 신규상장기업은 그 다음 해에 국제화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은 신규상장기업이 속한 기업 네트워크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8,400원
        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If there is a difference in leg length, the center of gravity shifts unilaterally toward the short leg, causing loss of balance and secondary postural imbalance, trunk muscle tone changes, gait abnormalities and pelvic imbalance. Objectives: To investigate effects of self exercise program on leg length, balance in adults with leg-length discrepancy. Design: Sing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wenty-eight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resistance exercise, flexibility exercise, and core exercise. Each exercise was performed for 40 minutes, 3 times a week for 6 weeks. Leg length and balance before and after exercise were measured and analyzed. Results: Following the interventions, resistance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balance, but leg length difference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Flexibility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leg length difference, but balance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Core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leg length difference and bal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hree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ustomized exercise according to the patient's level is beneficial to the patients.
        4,000원
        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Leg length discrepancy (LLD) leads to many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affects daily activities such as walking. In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mild LLD is a common condition. Nevertheless, it is still controversy among researchers and clinicians on the effects of mild LLD during gait, and available studies have largely overlooked this issue. Objec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ld LLD on the gait parameters and trunk acceleration. Methods: A total of 15 female and male participants with no evidence of LLD of >.5 ㎝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ll participants walked under the following two conditions: (1) The non-LLD condition, where the participants walked in shoes of the same heel height; (2) A mild LLD condition induced by wearing a 1.5 ㎝ higher heel on the right shoe. The GAITRite system and tri-axial accelerometer were used to measure gait parameters and trunk acceleration. To compare the variation of each variable,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Results: Compared to the non-LLD condition, step time and swing phas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ild LLD condition, while stance phase, single support phase, and double support phas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hort limb (p<.05). In the long limb of the mild LLD condition, single support phase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swing phase significantly decreased (p<.05). Furthermore, significant decrease in the gait velocity and cadence in the mild LLD condition were observed (p<.05). In the comparison between both limbs in the mild LLD condition, the step time and swing phase of the short limb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e long limb, while step length, stance phase, and single support phase of the long limb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e short limb (p<.05). Additionally, trunk acceleration of all directions (anterior-posterior, medial-lateral, vertical)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ild LLD condition (p<.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 that mild LLD causes altered and asymmetrical gait patterns and affects the trunk, resulting in inefficient gait. Therefore, mild LLD should not be overlooked and requires adequate treatment.
        4,000원
        7.
        201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mpirical mass discrepancy–acceleration (MDA) relation of disk galaxies provides a key test for models of galactic dynamics. In terms of modified laws of gravity and/or inertia, the MDA relation quantifies the transition from Newtonian to modified dynamics at low centripetal accelerations ac ≤ 10−10ms−2. As yet, neither dynamical models based on dark matter nor proposed modifications of the laws of gravity/inertia have predicted the functional form of the MDA relation. In this work, I revisit the MDA data and compare them to four different theoretical scaling laws. Three of these scaling laws are entirely empirical; the fourth one – the “simple μ” function of Modified Newtonian Dynamics – derives from a toy model of gravity based on massive gravitons (the “graviton picture”). All theoretical MDA relations comprise one free parameter of the dimension of an acceleration, Milgrom’s constant aM. I find that the “simple μ” function provides a good fit to the data free of notable systematic residuals and provides the best fit among the four scaling laws tested. The best-fit value of Milgrom’s constant is aM = (1.06 ± 0.05) × 10−10ms−2. Given the successful prediction of the functional form of the MDA relation, plus an overall agreement with the observed kinematics of stellar systems spanning eight orders of magnitude in size and 14 orders of magnitude in mass, I conclude that the “graviton picture” is sufficient (albeit probably not a necessary nor unique approach) to describe galactic dynamics on all scales well beyond the scale of the solar system. This suggests that, at least on galactic scales, gravity behaves as if it was mediated by massive particles.
        4,000원
        9.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strategical lifting postures able to alleviate imbalanced EMG amplitude leading to an increase in low back muscle fatigue while lifting asymmetric load dynamically. Eleven male subjects are required to lift symm
        4,000원
        11.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analysed the discrepancy about the coronal magnetic field between solar optic and solar radio using magnetic fibril concept with filling factor and fractal structure model. The magnetic field of ~ 100 G considered in solar optics is mean value in a large scale, and that of ~1000 G in solar should be the value of fine structures inside 'macro' loop.
        3,000원
        12.
        202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에서는 통증전문 운동치료인 SNPE(Self Natural Posture Exercise) 참여 후, 통증과 우울감소에 미치 는 직접영향력과 신체상 자기차이와 신체적 자기개념의 상호작용이 우울정서 경험에 미치는 간접영향력을 함께 검증하였다. 방법: 반복측정실험설계를 통해 만성통증을 겪고 있는 참여자 104명(여자=93명)을 대상으로 12주간 SNPE 프로그램 참여 전/후 통증, 우울, 신체상과 신체적 자기개념을 측정하였다. 결과: SNPE 참여 전과 비교했 을 때, 통증과 우울은 감소하였고, 더 마른 체형을 원하는 갈망 또한 줄어들었으며, 신체적 자기개념은 좋아졌다. SNPE 참여 전 통증과 우울의 부적관련성이 SNPE 참여 후 낮아졌으므로 SNPE 참여 후 감소된 통증이 우울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리고 참여자의 체지방이 감소할 때, 신체상 자기차이가 우울 정서 감소로 이어지는 간접효과도 함께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SNPE와 같은 운동치료법은 통증감소는 물론, 신체상 자기차이로 인하여 유발되는 우울감 개선에도 도움이 되므로 운동치료법이 지닌 여러 장점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로 실용적으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과 함께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13.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피트니스 운동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신체상 자기-차이가 섭식태도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피트니스센터에서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을 표집하여 카이제곱검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이 남성보다 섭식태도의 차이를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중 긍정요인은 남성이, 우울과 불안 요인은 여성이 더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참여자의 경우 더 마른 체형을 바라는 사람의 비율이 월등하게 높았다. 셋째, 신체상 자기-차이에 따라 섭식태도를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체상 자기-차이에 따라 정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섭식태도가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섭식태도는 긍정정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 피트니스 운동 참여자의 신체상 자기-차이가 높게 나타날수록 섭식태도와 정서의 불안,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왜곡된 신체상을 가지고 있는 운동참여자들의 식습관과 그에 따른 정서를 이해하여, 건강한 운동습관의 형성과 더불어 운동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학문적이고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14.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규칙적인 운동이 섭식장애 여성의 자기불일치에 미치는 효과를 심층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섭식장애 전문병원에서 입원치료중인 섭식장애 여성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7주간의 규칙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규칙적인 운동이 시행되는 동안 수집된 질적 자료(구조화된 면담, 운동일지, 관찰일지)에 대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과 자기질문지에 대한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섭식장애 여성 A, C의 경우 규칙적인 운동 참여를 통해 향상된 신체 자기평가,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이 실제 자기평가를 향상 시켰고, 운동 참여 과정 중에 수립된 객관적 신체기준은 자기 안내자(self-guides)를 낮춰 자기불일치를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섭식장애 여성 B의 경우 규칙적인 운동참여 기간 동안 개선되지 않은 신체 불만족, 낮은 자아존중감과 개인적 특성이 자기불일치를 오히려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