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0.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20년대 동북지방의 요양벽화묘에서부터 발굴이 시작된 한대 벽화묘는 섬서, 하남, 하 북 등에서 100여기에 가까운 수가 발굴되었다. 한대 벽화묘의 발달에서 동한 후기에는 동 북, 북방, 하서를 잇는 북부지역이 벽화묘 축조의 중심지로 떠오른다. 이들 북부지역 동한 벽화묘들은 한대 고분벽화 문화의 분포에서 동일한 소재를 공유하면서도 지역적 특징의 형성이 관찰된다. 고구려 고분벽화의 연원에 중요한 자료로 최근 북방지역에 발견된 벽화묘들의 연구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내몽고와 섬서성 북부 지역을 포함하는 중국 한대 북방지역 벽화묘의 지역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한대 고분벽화의 분포와 전파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 새로운 벽화묘들로는 섬서 북부의 陝西定邊郝灘東漢壁畫墓, 陝西靖邊楊橋畔東漢壁畫墓, 陜西 靖邊楊橋畔鎮楊橋畔二村南側渠樹壕漢墓, 陝西靖邊楊橋畔渠樹壕漢壁畫墓가 있다. 내 몽고에는 內蒙古鄂托克旗巴彥淖爾鄕鳳凰山1號墓, 內蒙古鄂托克旗烏蘭鎭米拉(蘭)壕漢 墓, 内蒙古卾爾多斯巴日松古敖包漢代壁畫墓 등이 있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북방지역 벽화묘의 구조와 벽화의 특징을 정리한 후 관중지역 서한 후기 벽화묘들과 비교하여 지역 간 연관관계를 고찰하였다. 섬북과 내몽고지역 동한벽화묘와 관중지역 서한벽화묘의 공통점은 첫째는 수렵도, 천상도와 같은 특정 주제의 공유, 둘째는 소재의 배치와 표현방법의 계승, 셋째는 벽화의 바탕면을 녹색이나 적색으로 칠한 후에 그 위에 벽화를 그리는 제작 방법의 유사성이다. 주제와 배치 및 표현방법의 연속성은 관중지역의 사민이 북방지역으로 이루어지면서 화본의 유통과 화공집단도 같이 이동한데서 배경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섬북과 내몽고지역의 수렵도와 산악도의 구성, 인물도의 구성과 배치 등은 고구려의 초기 고분벽화가 형성되는데 하 나의 연원을 북방지역에서 찾을 수 있도록 시사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8,900원
        2.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는 세계 역사에서 가자 유구한 역사를 지닌 문자 체계이며, 오랜 동안 중국, 대만, 홍콩, 일본, 한국과 싱가폴 등에 동아시아의 여러 국가와 지역에서 대표 문자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각 지역의 표준과 준칙, 체계, 서사 방법, 발음 표시법 등은 각기 다른 현상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 대륙의 간화자와 홍콩의 번체자, 일본의 한자와 한국의 한자가 그러한 예에 속하다. 한자는 표의 문자이며, 자의에 따라 구성된다. 중문 독해의 기초는 한자를 아는데서 출발하며, 한자를 앎으 로써 단어를 이해할 수 있다. 식자란 표준 자음과 자형 그리고 자의를 이해하는 심리 과정을 의미한 다. 각 국가와 지역에서는 식자량과 쓰기 한자의 양에 대해서 1006자부터 3500자까지, 825자부터 2600자까지 각기 다른 기준을 정하였다. 부건은 한자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 각기 조합되면서 한자의 기능을 보여준다. 이는 곧 부건이 한자 학습에 가장 중요한 단위 요소임을 말해주고 있다. 각 국가와 지역의 한자교육은 듣기와 말하기 능력에서 출발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한자의 발음을 판별하게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가, 이후에 식자교육을 실시하여 쓰기와 이해 능력을 발달시킨다. 그러나 각 국가와 지역의 한자 쓰기는 같은 방법이 아니어서 학생들로 하여금 동일한 한자를 다른 자형으로 인식하게 하는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는 먼저 번체자를 학습하게 함으로써 해결 할 수 있는 문제이다. 학생들의 듣기 능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먼저 한자의 발음을 익숙하게 한 후에 말하기 훈련 능력을 키우고 더 나아가 집중 식자를 실시하고 가장 마지막으로 읽기와 작문 훈련을 시행해야 한다.
        5,800원
        3.
        201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한(東漢) 비각에는 적지 않은 『시경(詩經)』의 내용이 인용되어 있으나, 직금 전해지는『시경(詩經)』과는 다른 이문(異文)을 형성하고 있다. 이문의 유형은 통 자가, 고금자, 이체자, 동의환용(同義換用), 탈문(脫文) 등이다. 동한 시기의 비문 은 주로 “삼가시(三家詩)”를 인용하고 있는 것이다.
        4,900원
        4.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東漢碑刻引用了不少《詩經》成句,與今本《詩經》形成異文。異文類型有通假字、古今字、異體字、同義換用、脫文等。本文擬對這些異文進行較為全面的整理研究,研究目的主要有兩個:第一,漢碑作為實物文字資料,保留了當時的用字情況,對於這些用字方面的差異進行研究,可以從一個角度揭示當時社會的具體用字情況。第二,通過與已有其他《詩經》版本的比較,可以從一個方面瞭解當時社會使用《詩經》版本的情況。 示例:《校官碑》:“布政優優。” 《詩經·商頌·長髮》:“敷政優優。” 按:《韓詩外傳》引《詩》同今本《詩經》。《春秋左傳·成公二年》、《春秋左傳·昭公二十年》、《春秋繁露·偱天之道》、大徐本《說文解字》“憂”下、《孔子家語·正論解》等引《詩》均作“布政優優”,與東漢碑刻相同。《史記》引《尚書》“敷”字多作“布”。“布”與“敷”通。《山海經·海內經》:“禹、鯀是始布土定九州。”郭注:“布猶敷也。《書》曰堯敷土,定高山大川。”
        5.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layout of Early Chinese Buddhist Temples from the Eastern Han Dynasty to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Eastern Han Dynasty and Three Kingdoms Period, the layout of Temples was a pagoda-centered system which had one-courtyard. The layout of Temples in this period was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Indian Temples. 2) In the Western and Eastern Jin Dynasties, the layout of Temples was still a pagoda-centered system. However, many buildings began to appear in Temples after the mid-4th century. In the Eastern Jin Dynasty, Twin pagodas started to appear in Temples. 3)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ere were many layout types, but the main form was the layout of front Pagoda and rear Buddhist Hall. The layout of Temples in this period was in a transition stage, which evolved from a pagoda-centered Temple which had one-courtyard and after developed into a Buddhist Hall-centered Temple which had multi-courtyard.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