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대중문화에서 두드러지는 점은 두 가지 이상의 요소가 합쳐진 크로스오버 현상이다. 음악 분야 또한 마찬가지로 그중에서 일렉트로닉 음악은 세계 여러 민속음악 요소와의 크로스오버를 통하여 다양한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그러한 융합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민속음악 중에는 우리나라의 국악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크로스오버 음악가 양방언의 작품 중 일렉트로닉과 국악의 크로스오버 곡 ‘정선아리랑 엮음아라리’의 리듬 구조를 분석하고 국악 장단의 활용 방법을 연구 하였고‘정선아리랑 엮음아라리’의 리듬 제작 방식을 확인하기 위해 리듬의 각 파트를 악보화하고 접목된 국악 장단과 비교 분석하였다. 리듬 구조를 단계별로 악보화 하여 제작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으나 분석에 한계는 존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일렉트로닉 음악과 국악 장단을 접목한 리듬 제작 방법의 새로운 접근법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일렉트로닉 음악의 경우 위상 간섭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점들을 방지하고 확실한 타격감과 선명함을 확보하고자 저음역대 사운드 관리를 중요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로 인해 많은 프로듀서들이 모노 프로세싱, 리듬악기 튜닝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저음역대 성분을 관리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음역대 사운드 디자인 방법으로 모노 프로세싱을 적극 활용한 아티스트 하드웰의 작품 중 ‘Spaceman’을 분석하고 저음역대 사운드 디자인 방법을 연구하였다. 스테레오 음원의 한 쪽 채널을 위상 반전한 상태에서 모노로 재생하는 방법을 통해 개별 사운드를 모노/사이드 성분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Spaceman’ 저음역대를 담당하는 사운드는 모두 완전한 모노 성분으로 구성하고, 중고역대를 담당하는 사운드는 사이드 성분을 많이 포함시킨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믹싱/마스터링 단계에서 일정 주파수 이하를 모노로 좁혀 처리한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이펙스 트윈은 컴퓨터 기반의 전자음악 아티스트로, 각각 특성이 다양한 앨범을 발표하는 동안 샘플을 이용하여 원본과 다른 느낌의 음향효과를 표현하려는 실험적인 시도가 두드러졌다. 본 연구에서는 ‘Windowlicker’ 및 ‘AFX237 V7’에서 나타난 샘플의 여러 기법들을 이용한 표 현 기법 및 음향효과를 분석하고 자작곡에서 적용하였다. 더 나아가 웨이브테이블 신세시스와 노이즈 LFO를 이용한 비주기적 비브라토 및 트레몰로를 표현하여 샘플을 이용해 표현할 수 있는 실험적 기법을 제시했다. 이 연구를 통해 샘플은 그 종류 및 기법에 따라 다양한 효과로 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표현 방법의 범위 또한 넓어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Nam June Paik’s first solo exhibition, entitled ≪Exposition of Music-Electronic Television≫ which was held in 1963 at Galerie Parnass in Wuppertal, Germany. This was Paik’s first exhibition on the work of electronic television. Furthermore, this exhibition has provided the initial point of Video Art and that counts as an important meaning for researching Paik’s works. In 21st century many art museums are attempting to reproduce Paik‘s first exhibition itself. For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exhibition installation and its effects of the ≪Exposition of Music-Electronic Television≫. Paik has solely organized and directed this ≪Exposition of Music-Electronic Television≫ and also designed the poster. At Galerie Parnass Paik had made the exhibition with operated electric television, scenarios staged with prepared piano and mechanical sound objects along with record players and audio tape installations. Through this exhibition it turned the space of exhibition into an art work. The audience could freely experience the individual spaces which holds its own characteristics by operating the installed art works. All the different materials and physical effects installed in different rooms, all kinds of objects making sound or noise, and furthermore the works that needed audience participation have shown that characteristics of Paik’s major interest about the ‘space’, ‘sound of everyday life’, and ‘Audience participation’. Moreover, Paik has directed this ≪Exposition of Music-Electronic Television≫ not only dependent on standardized visual part but also multilateral experience approach for open exhibition. Paik’s intention for his exhibition was that the audience could be free inside exhibition space and this intention aroused the unknown artist Joseph Beuys to have spasmodic happening performance in his show. Joseph Beuys have smashed the lying piano on Paik’s show through this performance and Paik was satisfied with Joseph Beuys’s unforeseeable performance. This performance was not only about wrecking the art work but rather ‘homage to Nam june Paik’. For this kind of exhibition circumstance, Paik has made the television which was the linear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to the ‘art work that is completed by the audience’. The passive viewers of television have become active viewers through making sound in front of television or operating the images with the sound volume while they are participating on Paik’s exhibition. Moreover, Paik has transformed the main classical instrument piano to attempt Art as a ‘playful’ thing, which was a priority only for the privileged classes. ≪Exposition of Music-Electronic Television≫ was Paik’s unique exhibition that holds ‘space and the sound’, ‘audience participation’, ‘experimenting new medium’. Paik has made the exhibition space as a one united space environment and did not segregate the ‘Art and everyday life’ and ‘Artist(subject) and Audience(object)’ which have made ‘space’, ‘audience’, ‘new medium’ as an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