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수민족의 민속학은 성 역할과 민족 정체성 간의 관계에 대한 귀중한 통찰을 제공한다. 문화 보존과 혁신의 주요 참여자로서, 여성은 사회 변화 속에서도 소수민족 전통의 회복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 을 한다. 본 연구는 소수민족 여성들을 중심으로, 의식, 전통 의복 및 예 술적 표현에서의 상징적 역할을 탐구한다. 역사적 문서 분석과 현장 조 사를 결합하여, 다양한 공동체의 전통 노래, 춤, 구술 역사를 질적 방법 으로 분석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성은 문화적 관행을 계승할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성 역할과 현대적 영향을 통합하여 문화적 적응과 결속 을 이끄는 혁신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 연구는 소수민족 민속학 형성 에서 여성의 핵심적인 역할을 강조하며, 다양한 사회에서 문화 통합의 역동성에 대한 폭넓은 통찰을 제공한다.
The study investigates Atlas fabrics, the Ikat weaving method used by the Uygur People in Xinjiang, China.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papers and other literature, different cultural characteristics of Ikat fabrics from various regions are compared. Following a theoretical investigation, characteristics of fabrics from the Indian Patola, Indonesian Ikat, Japanese Kasuri, and Uzbekistan Adras are summarized and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attern, color,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Atlas silk from Xinjiang China (also an Ikat fabric).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weaving process used for Ikat fabrics differs from country to country according to different national cultures, lifestyles, colors, patterns, and usage methods, they are all Ikat dyed fabrics. Therefore, they are all regarded as precious objects symbolizing a certain social status, and are used as a gift for special occasions, such as weddings. Second, the form of the pattern varies. Indian Patola has clear outlines and regular patterns, while the patterns of Japanese Kasuri are mainly inspired by folk life ideas. Indonesian Ikat contains influences from indigenous tribes, and Uzbekistan’s and China’s Atlas textiles are influenced by geography, religion, and national culture, including bright colors and pattern designs inspired by plants, musical instruments, and geometric figures. Finally, the patterns and colors of Xinjiang Atlas fabrics present strong ethnic characteristics. Unlike the Uzbekistan fabric which is mostly influenced by Islam, human and animal patterns would not feature in Xinjiang Atlas patterns, which mostly consist of long strips, repeated in a neat and orderly form.
Existing literature provides strong evidence to suggest that e-commerce adoption is subject to the effect of culture. In this stream, researchers adopting Hofstede’s framework (1980) conceptualise culture at the aggregate level, and thus they assume country’s cultural homogeneity. Yet, the argument emerges that this view does not seem to be appropriate anymore, as every country having its unique mix of ethnic groups portrays cultural diversity (Cleveland and Laroche, 2007). Research exploring the adoption of e-commerce by ethnic minority consumers however, is scarce (Lacka and Yip, 2018). Considering growing migration levels, and particularly intra-European migration as well as the increase of ethnic consumers internet use (Kizgin et al, 2018), the investigation of migrants’ attitudes and behavioural intentions toward adopting e-commerce, as well as factors affecting adoption decision are important research topics for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policy makers. Although technology adoption has been extensively researched, previous studies on e-commerce adoption suffer from two limitations, which this study aims to address. First, most research on e-commerce adoption considers consumers to be a homogeneous group. However, within group differences exist, and they have an impact on the e-commerce adoption decision. So far however, only a handful of studies have explored the role of consum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behavioural intentions to adopt e-commerce (e.g. Hasan 2010). Second, although the effect of culture on e-commerce adoption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the simultaneous impact of various cultural influences that migrants are subject to has not been examined. To address these research gap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rol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e-commence adoption, and to reveal the impact of contact with heritage and host cultures on ethnic minority consumers’ attitudes towards behavioural intentions to adopt e-commerc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mpact of vocational training on wages of ethnic minority labors in emerging countries; Vietnam is the case study. The study uses secondary data from 2014 to 2018 collected through Vietnam Household Living Standards Surveys (VHLSS) conducted by the General Statistics Office.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f vocational training on wages of ethnic minority areas in Vietnam, this research creates ethnic area variables. According to Vietnamese regulations, ethnic areas are communes of 51 different provinces, inhabited by ethnic minority people. The statistics from VHLSS in 2018, show that the proportion of labors of working age with a certificate was 22.5%. The research employs Heckman Sample Selection Model to estimate the impact of vocation training on wage of labors in ethnic minority areas. The results show that vocational training plays a crucial role in improving the wages of ethnic minorities and has a positive impact. However, apart from the achieved outcomes, vocational training and job creation for ethnic minorities are not without limitations and shortcomings. Based on the findings, some recommendations to ethnic minority labors, enterprises and the Government are proposed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efficiency of the labor market.
베트남 북부 산악지형에 거주하는 소수 부족민들의 생계개선이 베트남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 사업에도 불구하고 현 재까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특히 지속가능한 개발 및 인적자원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는 베트남 경제사회개발정책(2011~2020)의 하위전략인 신농촌 개발정책(New Rural Development)에 의한 사업들이 적절히 수행되고 있는지 의문이 대두되었다. 한편, 베트남 라오까이성 행복프로그램은 한국 코이카 재원으로 새마을운동 경험과 정신을 바탕으로 설계되었으며 심각한 빈곤상태에 있는 성내 8개 소수부족민 마을에 마을특성과 주민 의견이 반영된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계획실행의 주체인 마을주민들과 현장 공무원에게 다양한 훈련 사업들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생계개선에 대한 이론 고찰 과 함께 한국 및 베트남의 농촌개발 경험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다양한 역량강화 사업들이 8개 소수부족 주민들 의 의식변화와 생계자산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프로그램에서 제공한 다양한 역량강화 훈 련들이 주민의식의 긍정적인 변화와 소수 부족민들의 생계자산에 대하여 상당한 만족도를 가져왔는바, 신농촌 개발정책은 직접자재 위주의 지원을 줄이는 대신 주민들의 자신감 고취를 위한 주민의식 교육과 주민들의 생계활동 능력향상을 위한 다양한 훈련 사업을 확대해야 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영국사회에서 교육결손집단이자 사회취약계층인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체제의 특징과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는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이 확산되고 있는 우리의 교육환경에서 교육소외계층으로 전락하고 있는 중도입국아동 및 청소년을 포함한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는 교육방안을 마련하는데 시사점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우선, 다문화가정 학생 지원을 위한 교육 기조와 방향을 살펴보았고, 구체적인 교육지원사업 및 프로그램과 교육지원체제 성공 사례를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영국의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체제는 전 국가적인 ‘교육수월성 강화(excellence in education)’와 ‘사회적 통합(social inclusion)’을 도모하는 교육복지를 기조로 전개되고 있었다. 둘째, 중도입국 이주학생의 성공적 통합은 학교-가정-지역 커뮤니티의 다자간 파트너십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배경을 가진 이주학생을 지원하기 위해 영국의 학교는 전담인력 배치를 통해 체계적인 교육역량강화프로그램을 전개하였다. 넷째,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생활지도 및 보살핌(good pastoral care)사업을 병행하였다. 이상에서 본 연구는 우리의 교육체제가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모든 학습자들의 잠재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학교 ‘안’과 학교 ‘밖’의 다양한 교육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