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릭액세스 미디어 정책은 시청자들의 방송 접근권을 보장하고 주류방송에서 쉽게 다루지 않는 다양한 공동체와 사회소수자들의 직접적 목소리를 담아내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되었다. 이 정책의 대표적인 제도가 시청자 미디어센터이다. 그러나 이 제도는 융합미디어 시대에 기능과 역할이 재검토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융합미디어시대 미디어센터의 역할과 기능은 무엇인지를 찾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채널을 소유하고 있고 지역민의 통합적 역할을 하는 지역 MBC 시청자 미디어센터를 중심으로 사업운영의 안정성, 이용의 공평성, 보편적 접근성, 운영의 자율성, 수익의 다원성 측면에서 경영 분석과 SWOT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산지원 미비에 따른 안정성이 약화되어 있고, 각 모델별 센터의 특징은 다르지만 이용의 공평성은 양호하며 별도법인인 울산미디어센터를 제외하고 보편적 접근성은 양호하였다. 운영의 자율성 부분에서는 평가하기 힘들 정도로 유명무실했다. 수익다원성부분에서는 미디어 교육과 공모사업 등이 대다수를 이루었다. MBC시청자미디어센터가 융합미디어시대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서 예산 확보를 통한 운영의 안정성과 자율성을 유지해야할 것이며 퍼블릭액세스 개념의 확장을 통해 융합적 액세스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할 것이다.
Squid by-product like viscera has just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serious pollutants on the surrounding marine environment in Ulleung island of Korea. The effect as a marine pollutant, however, has not been examined and evaluated properly. It was carried out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marine pollution by disposing squid by-products. The sediments and water qualities were investigated in several positions, including the dumping position around Ulleung island. It is also estimated a spreading of by-product in terms of estimating the sinking speed and evaluating the attracting characteristics as a feed. As a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pollutions of the sediment and water quality. The spreading of by-product by the local current was 2-2.5 times of the depth, and it will become longer in spring tide. It was confirmed that the squid by-product has attracting ability for local fish by acoustical survey. Furthermore, it can be useful for the local fish species as feeds.
본 연구에서는 대공간의 동계시 인체발열에 따른 실내온열환경의 변화를 실측하고 난방조건 및 외부환경과 관련하여 대공간에서 형성되는 실내온열환경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공간의 실내수직 및 수평온도분포, 객석의 온도분포, 실내표면온도분포, 객석의 풍속분포, 실내온열쾌적성 등의 실내온열환경을 검토한다.
Domain decomposition method (DDM) has been widely employed for the numerical analysis of large-scale problems due to its applicability to parallel computing. DDM divides the modeling domain into a set of subdomains and obtains the entire solution iteratively until the values of each subdomain which are shared with other subdomains, such as boundary values, are converged. Therefore, in general, DDM is a memory-efficient iterative algorithm with inherent parallelism on the geometric level. APro, the process-based total system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aims for simulating the radionuclide transport considering coupled multi-physics phenomena occurring in large-scale geological disposal system, which are inevitably accompanied by huge memory burden. Therefore, DDM is applicable for the large-scale problem of APro and its performance in parallel computing needs to be examined. The DDM solvers provided by COMSOL which constitute APro can be classified into two methods. One is the overlapping Schwarz method that each subdomain overlaps its neighboring domains and the other is the Schur complement method that subdomains are non-overlapping and separated by boundary domains. For the Schwarz method, the additive, hybrid, multiplicative and symmetric methods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olution update scheme. And for the Schur method, the additive and multiplicative ordering options can be chosen for solving Schur complement system. In this study, the calculation efficiency of the DDM solvers in COMSOL and the applicability to the cluster environment were examined. In aspect of efficiency, the memory requirements with different number of subdomains and calculation schemes were compared in a single node. Then, the memory requirements with increasing number of disposal tunnels and deposition holes were investigated in multiple nodes. As a result, on the cluster environment, with the help of distributed memory architecture which enables efficient memory usage, the applicability of DDM solvers to the large-scale problem of APro was confirm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음파 검사실의 검사환경 설정에 있어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 을 두고 새로운 초음파 검사실의 검사환경을 설계함에 있어 검사실의 적정조도를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으로는 부산에 소재하고 있는 종합병원 6군데 48곳의 초음파 검사실을 대상으로 조 도와 관련된 초음파실 환경을 조사하고 초음파 검사대상자에게 초음파 검사실 환경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로는 초음파 검사실 차폐체의 종류에서는 성별, 연령별, 검사부위에 따른 분석에서 모두 Door+Curtain에서, 광원의 종류에서는 LED, 광원조절기가 필요하다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초음파 검 사실 환경조사에서는 초음파 검사실 조도 밝기는 평균 10 Lux로서 WHO와 CEC에서 권고하는 조도 밝기 범위에 포함되고 있었으며 초음파 검사 대기실 조도 밝기(초음파 검사 대기실, 복도)는 평균 300∼800 Lux 를 나타내어 KSA 3011에서 권고하는 병원의 조도환경인 300 Lux이상을 만족하였다. 결론적으로 초음파 검 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배경과 초음파 검사실 관련 환경 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초음파 검사실 환경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검사실을 설계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