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꼭지나방과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Stathmopoda Herrich-Schäffer속은 전세계적으로 400종 이상, 한반도에서는 14종이 기록되 어 있다. 해당 연구에서는 미기록종 호랑무늬꼭지나방을 추가적으로 보고하여 한반도에서 해당 속의 종 다양성을 확장시킨다. 추가적으로, 해당 종 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촬영을 진행하여 그동안 보고되지 않았던 형태학적 특징을 새롭게 기술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진딧물 Phyllaphoides bambusicola Takahashi, 1921을 보고한다. 2023–2024년 야외조사 중 한국 서 부 지역의 왕대 일종(Phyllostachys bambusoides)에서 P. bambusicola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유시 성충의 상세한 형태 기재와 계측값을 제시하였으 며, 생체 및 슬라이드 표본 사진을 포함하였다. 관찰된 피해 정도로 보아 이 종은 대나무류의 주요 해충이 될 것으로 예상되어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Aulacophoroides hoffmanni (Takahashi, 1937)를 최초로 보고한다. 2024년 야외조사에서 한국의 서부 2개 지역의 등나무(Wisteria floribunda (Willdenow))에서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는 A. hoffmanni를 확인하였다. 무시성충의 상세한 형태 기재와 계측값을 제시하였으며, 생체 및 슬라이드 표본 사진을 포함하였다. 이 종은 등나무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어 관상용 등나무의 주요 해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ieris napi-complex in East Asia that comprises P. melete Ménétriés, 1857, P. dulcinea (Butler 1882), and P. nesis (Fruhstorfer 1909) has been taxonomically challenging to distinguish due to their similar appearances. In this study, P. nesis, typically found in central Japan, was discovered in the highlands on Jejudo Island, the southernmo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e conducted a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using mitochondrial COI gen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 dulcinea and P. nesis, and confirmed that P. nesis occurs in Korea. This paper provid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 nesis compared to P. dulcinea, along with DNA data.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혹좀벌속(신칭)의 미기록종인 얼룩혹좀벌(신칭)을 국내에 처음으로 보고한다. 한국산 혹좀벌속(신칭)의 목록과 검색 표, 얼룩혹좀벌(신칭)의 기재 및 주요 형질 사진, S. biguttata와 S. flavicollis, S. variegata의 외형과 날개 사진을 제공한다.
꼬마꽃벌과의 2종, Lasioglossum (Ctenonomia) kumejimense (Matsumura and Uchida, 1926) and Lasioglossum (Pyghalictus) politum pekingense Blüthgen, 1925이 한국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이 종의 암컷의 진단 특징과 분포, 형태적 형질 도해, 한국산 줄꼬마꽃벌속의 아속에 대한 분류키를 수록한다.
The genus Xylaria, a large and diverse group within Ascomycota,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est ecology as decomposers. Several new Xylaria species have been recently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Xylaria species found in Korea were analyzed based on the latest classification systems. Notably, species with characteristics similar to Xylaria cubensis and X. rogersii, which were not previously reported in Korea, were identified. X. cubensis grows on rotten wood and is characterized by brownish clavate stromata with rounded apices and small, dark ascospores. X. rogersii, found in Magnolia spp., has long stromata with a dark-brown, fine-striped outermost layer and subhyaline to yellowish single-celled ascospores. Genetic analysis using a combined dataset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β-tubulin, and RPB2 sequences revealed that these species form a distinct group separate from other known species. Further investigations included detailed macro- and micromorphological studies, as well as molecular analyses to establish their taxonomic positions more precis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