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arryover effects of high-forage to concentrate (F: C) diet in bred heifers on feed intake, feed efficiency (FE) and milk production of primiparous lactating Holstein cow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589 days (d) from onset of pregnancy through to the end of first lactation. Twenty-four bred heifers (Body weight: BW= 345.8 ± 45.4 kg and 15 ± 1.2 mon of ag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of 3 pens containing 4 heifers each and fed high forage (HF) diet with F: C ratio of 91.7: 8.3% and low forage (LF) diet with F: C ratio of 77.8: 22.2% throughout the pregnancy period. After calving, lactating cows were fed total mixed ration (TMR) based diet. No differences (p > 0.05) were observed in dry matter intake (DMI) of bred heifers and primiparous lactating cows in both HF and LF groups. The FE of mid-to-late lactation period was higher (p< 0.05) in HF than LF group. However, the HF group showed higher (p < 0.05) milk yield, 4 % fat corrected milk (FCM) and energy corrected milk (ECM) than LF group during the 305 d lactation. The LF group showed higher (p < 0.05) milk fat, crude protein (CP), milk urea nitrogen (MUN), solid not fat (SNF) and somatic cell count (SCC) than HF group. It is concluded that restriction of F: C ratio to 91.7: 8.3% to bred heifers has the potential carryover effects to maintain higher milk yield and FE with no adverse effect on feed intake and milk composition of primiparous lactating Holstein cows.
본 연구는 사료 내 총NDF 수준과 조사료에서 기인된 NDF 수준(fNDF)이 착유우에서의 영양소 섭취량과 유생산 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분만우 36두를 대상으로 6개의 처리구를 나누어 2×3 요인실험으로 설계를 하였고, 각 처리구별 사료는 건물기준 NDF 38%에 1) fNDF 18%, 2) fNDF 15%, 3) fNDF 12% 와 건물기준 NDF 34%에 4) fNDF 18%, 5) fNDF 15%, 6) fNDF 12%로 구분하여 분만 후 3주부터 20주까지 급여하였으며 결과의 처리는 분만 4주부터 영양소 섭취량 및 산유성적을 분석하 였다. 사료 내 총 NDF 함량과 fNDF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건물섭취량, NEl 섭취량 그리고 비구조탄수화물 섭취량이 유의적으로(p<0.01) 증가하였고,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 나 유생산량 또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유지방율은 감소하였다(p<0.01). 건물섭취량의 증가에 따른 NEl 섭취 량의 증가가 유발되었고, NDF 섭취량은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NDF 함량이 낮은 처리구와 높은 처리구간의 비 교에서 유지방율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 다. 총 NDF와 조사료유래 NDF의 사료 내 함량변화는 유 단백질율과 무지유고형분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 만, 유단백질 함량과 무지유고형분 생산량에 있어서는 유 량 증가에 의한 영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 사료유래 NDF 섭취량과 유지방율 간의 상관관계는 저수준 NDF 함량에서 고수준 NDF 함량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유 량과 영양소 섭취량간의 상관관계 또한 저수준의 NDF 처 리구에서 고수준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계사료 작물과 혼파한 총체보리사일리지를 흑염소에 급여하였을 때, 사료섭취량, 일당증체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흑염소에 대한 혼파 총체보리의 사료가치 평가 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흑염소 12두 (male)를 4처리구 {총체보리 단파 사일리지 첨가구 (T1), 헤어리베치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T2), 사료용 완두 (forage pea)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T3) 및 이탈리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good livestock production in comparison with 3 different pasture mixture (Control : TI = Potomac orchardgrass + Bastion perennial ryegrass + Fawn tall fescue + Regal white clover, T2 = Potomac orchardgrass + Bastion 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