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lfiporia cocos is a widely known traditional medicine in China, Japan, Korea, and other Asian countries due to its various medicinal effect. Aiming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 for W. cocos fruit body induction, we cultured 10 strains of W. cocos on potato dextrose agar medium (PDA) in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12, 16, 20, 24, 28oC). KFRI 1105 exceptively formed fuitbody in low temperatures (12 and 16oC), but in other strains, fruit body induction was restricted. in 12 and 16oC. Fruit body formation started 20oC, and formation rate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the temperature increase. 5 strains induced fruit body in 20oC, 7 strains in 24oC, and 9 strains in 28oC. This is the first research to identify a fruit body formation in vitro cultured W. cocos in Korea. This investigation will enable further studies of W. cocos physiology and breeding. In summary : 1. We identifi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W. cocos fruit body induction in the PDA plate. 2. The fruit body was best induced when it was cultured in 28 oC for 32 days. 3. The fruit bodies showed a honeycomb-like structure, and the average spore size was 7.55 μm in height and the average width was 3.35 μm.
Wolfiporia cocos is a well-known traditional medicine in China, Japan, Korea, and other Asian countries owing to its numerous therapeutic properties. With the aim to determine the morphology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W. cocosten strains of W. cocos were cultivated in vitro, and subsequently, rapid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was performe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morphology of fruit bodies of W. cocos in Korea. W. cocos were cultured on PDA agar at different temperatures (12, 16, 20, 24, and 28oC) under 12-hour light (600 Lux) / 12-hour dark photoperiod condition for 1 month. Appearance of fruit body was the highest at 28°C condition in all the strains investigated. Honeycomb-like structure on sclerotia was observed in Andong 01, Andong 02, Andong 03, KFRI 1104, KFRI 1105, KFRI 1106, KFRI 1107, KFRI 1108, and ASI 13007 strains of . The KFRI 1103 strain formed cosmos petal-like structure on sclerotia. The average size of basidiospores was recorded as 7.55 μm in height and 3.35 μ in width.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Cordyceps pruinosa butanol fraction (Cp-BF) were investigated by determining inflammatory responses of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RAW264.7 macrophage cells and by evaluating HCl/ethanol (EtOH)-triggered gastric ulcers in mice. The molecular mechanisms of the inhibitory effects of Cp-BF were investigated by identifying target enzymes using biochem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approaches. Cp-BF strong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and TNF-α, release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hagocytic uptake of FITC-dextran, and mRNA expression levels of interleukin (IL)-6, inducible NO synthase (iNOS), and tumou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n activated RAW264.7 cells. Cp-BF also strongly down regulated the NF-κB pathway by suppressing IKKβ according to luciferase reporter assays and immunoblot analysis. Furthermore, Cp-BF blocked both increased levels of NF-κB-mediated luciferase activities and phosphorylation of p65/p50 observed by IKKβ overexpression. Finally, orally administered Cp-BF was found to attenuate gastric ulcer and block the phosphorylation of IκBα induced by HCl/EtOH.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p-BF may be mediated by suppression of IKKα and its downstream NF-κB activation. Since our group has established the mass cultivation conditions by developing culture conditions for Cordyceps pruinosa,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may be useful for developing new anti-inflammatory agents.
2010년 6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고등균류를 조사한 결과, 총 2계 3문 6강 15목 34과 59속 107종이 동정되었으며, 담자균문은 28과 51속 99종, 자낭균문은 5과 7속 7 종 및 아메바문은 1과 1속 1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외생균근성 버섯을 조사한 결과 총 10과 17속 49종 총 801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이 중 애기꾀꼬리버섯이 198개 체로 가장 많이 발생되었고 꾀꼬리버섯 66개체, 색시졸 각버섯 53개체 순이었다. 종 분포가 높은 균류는 광대버섯과가 14종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물버섯과 12종, 무당버섯과 11종 순 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시기별 분포에서는 7월과 8월에 가장 다양한 외생 균근성 버섯이 발생되었는데 이는 높은 온도 및 강수량 이 많은 시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구별 분포에서는 조사구 I인 소나무 군락 (8과 13 속 30종)과 II인 참나무 군락 (8과 12속 30종)에서 가장 높았고, 조사구 IV (1과 1속 1종)와 V의 곰솔 식재지 에 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외생균근성 버섯 발생에 영향을 주는 기후환경 요인으 로는 대기온도 (평균온도, 최저온도, 최고온도)에서, 토양 환경 요인으로는 토양 산도와 유기물함량에서 밀접한 관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은 우리나라 국민에 기호성이 매우 높으며, 가장 많이 생산 소비되는 대표적인 버섯이다. 소비적 측면에서의 영양학적 가치 증진과 생리대사적인 측면에서의 흡수기작에 대한 특성을 확인하기위하여 배지내 당첨가에 따른 자실체의 당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느타리버섯 톱밥 배지에 4종의 당을 첨가한 배지에 수한1호, 여름느타리, 춘추2호를 재배하여 자실체를 분석한 결과 단당류로는 Fructose, Glucose, Ribose, Xylose, 이당류는 α-Lactose, Tre-halose, 당알콜류는 Glycerol, Mannitol, myo-Inositol, Sorbitol의 성분이 검출 되었다. 모든 처리에서 발견되는 성분으로는 Trehalose, Mannitol, α-Lactose, Fructose, Glucose, Ribose, myo-Inositol 등이며, 나머지 성분은 일부 처리에서만 발견되고, 많은 함량의 순서는 품종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었다. 자실체 내의 단당류는 함량 자체가 낮고, 공시품종 중에서 수한1호가 다른 품종에 비하여 약간 높았다. 처리된 당종류 및 처리함량의 증가에 따라 자실체의 성분함량이 뚜렷이 증감되는 경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배지에 처리된 성분중 Lactose는 처리량의 증가에 따라 모든 품종에서 뚜렷이 증가하였으며, 자실체의 Trehalose 함량은 품종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배지의 첨가량에 따른 영향은 보이지 않았다. 자실체 내의 당알코홀류는 수한과 춘추2호에서는 높은 편이나 여름느타리버섯에서는 낮아 품종간 차이가 있었다. 자실체의 Mannitol 함량은 배지의 당첨가량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없었으며, myo-Inositol은 수한과 춘추2호에서 처리량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여름느타리에서는 일정한 경향을 확인 할 수 없었다. 배지에 처리한 당류중에 처리량 증가에 따라 자실체의 함량이 품종에 관계없이 증가하는 것은 α-Lactose 뿐이었으며, 자실체에서 발견되는 성분들은 배지성분의 흡수보다는 자실체 내의 대사기작 내에서 합성 또는 전환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앞으로 더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