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2.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performed a survey for flavivirus infection and distribution of Aedes albopictus that known as Zika and Dengue virus vector using black–light trap and BG-sentinel trap around urban area in Korea. Mosquitoes were collected in 27 cities during March to November (twice a month) year 2016. Total numbers of mosquitoes collected 102,102 including 19 species 8 genera during collecting period. Total 21,467 Ae. albopictus was collected that 20,961(24.3%) by BG-sentinel trap and 506 (3.2%) by Black-light trap in urban area. Trap index(trap/night) of Ae. albopictus was showed highest in Hamyang (TI:992.3) and lowest in Taebaek (TI:0.3) there was only collected by Black-light trap. A total of 894 pools from all collecting Ae. albopictus were performed a Flavivirus detection. Flavivirus was not detected during study period. This study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surveillance of imported diseases (include Zika virus) and vectors in Korea.
        3.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ixodid ticks in were surveyed at 10 areas from April to November 2015. We investigated tick distribution using dry ice bait trap and flagging method as a part of disease vector monitoring in Korea. As a result, ticks collected 29,992 ixodid ticks with 3 genera, 7 species. Among them, Genus Haemaphysalis, Ixodes and Amblyomma accounted for 29,751 (99.2%), 223 (0.7%) and 18 (0.1%). Haemaphysalis longicornis was accounted for 88.9%, which has become the dominant species. Some species, such as H. japonica and Ixodes persulcatus were only collected Gangwon area. Metropolitan area had the highest population of ticks 6,540 (21.8%), Chungbuk area was next 5,049 (16.8%). In environmental distribution, Genus Haemaphysalis was highly collected in grassland site (32.1%) and Genus Ixodes was highly collected in coniferous forest site (43.5%). Upon analysis of the monthly distribution, H. longicornis, the dominant species, was highly collected at nymph stage in May, and its larva was highly collected in September. These studies ma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control and management of tick in Korea.
        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falfa weevil (Hypera postica Gyllenhal) belongs to the family Curculionidae, Order Coleoptera and it is one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 In Korea environment, this species was found in 2000 first time through the Korean quarantine inspections. Although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studied in the Europe, US, China and Japan, only few research has been performed in Korea. In this study, the life cycle, morphology and the host plants of Alfalfa weevil were investigated in the natural environment. Nine plants of total 28 host plant species known as the host plants were characterized as their wild host plants in Korea (6 and 3 of 9 were naturalized and native plants in Korea, respectively).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was very wide from south (Jeju) to north (Yeoncheon) area of the peninsula and the favorite habitats were park, cultivated and grass land. This species has been found easily anywhere because it takes common leguminous plants such as clover, chinese milk vetch and alfalfa.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falfa Weevil can be one of the most-damaging insect pests of leguminous crops when it adapts to Korean climate.
        5.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전국을 대상으로 갈색날개매미충의 국내 분포, 기주식물, 잠재서식지를 조사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은 43개 시군에서 관찰되었고, 경북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기주식물은 산지 및 농작물에서 53과 113종으로 확인되었고, 선행연구를 포함하여 62과 138종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기주식물은 사과나무, 두릅나무, 때죽나무, 갯버들, 닥나무, 자귀나무, 가죽나무, 밤나무, 아까시나무, 산수유 등이었다. 종분포 예측은 Maxent 모형을 사용하였고, 12개의 모형변수(8개 기후변수, 1개 토지피복변수, 1개 임상변수, 1개 생태자연도 변수, 1개 거리변수)를 활용하였다. 모형의 정확도는 0.884로 매우 우수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여름철 강수량, 여름철 평균기온, 임상현황, 토지이용현황이 갈색날개매미충의 잠재서식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4,200원
        6.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stablishment of insect population in certain region is affected by three major characteristics, the host spectrum, the phenological plasticity and the overwintering strategy.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insect population is directly affected by their successful establishment in local environment, thus, in case of development of potential geographical distribution models, three major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In this study, we developed geographical distribution model using CLIMEX system with well-known insect species, Carposina sasakii. Its geographical distribution is limited to northeast Asia including Korea, Japan, China and the Soviet Far East. C. sasakii overwinters as a full-grown larva within spherical and compactly woven larval-cocoons in the soil. We calculated Diapause Index (DI) then incorporated DI into CLIMEX system to simulate Ecoclimatic Index (EI), which stands for ability of establishment in a certain area for further studies of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insect populations which have overwintering strategy in their life history.
        7.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린재목 방패벌레과에 속하는 해바라기방패벌레를 보고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 전국을 대상으로 형태 특징, 국내 분포와 기주식물을 조사하였다. 성충의 몸길이는 2.77-3.28 mm 이며 외관상 갈백색을 띠고 노숙약충은 황갈색을 띤다. 기주식물의 잎 뒷면에 모여 흡즙 가해하며 피해엽은 황백색으로 변한다. 해바라기방패벌레는 6월 상순부터 10월 하순까지 발생하며, 7월 상순-8월 하순에 발생최성기였다. 27개 시군에서 발생이 확인되었고 기주식물은 총 8과 24종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기주식물은 망초, 미국쑥부쟁이, 해바라기, 쑥, 원추천인국, 가지로 조사되었다.
        4,000원
        8.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강할미꽃은 미나리아재비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석회암지대에서만 발견되는 희귀식물이다. 희귀성과 화훼자원으로 가치가 높아 최근 남획과 생육지 교란이 심각하다. 동강할미꽃의 보전과 자원 개발을 위해 세 가지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분포지를 조사하며, 둘째, 기존 생육지의 입지환경과 식생을 분석하며, 셋째 동강할미꽃 미소생육지 별 형태와 개체군의 특징을 비교하는 것이다. 삼척시, 정선군, 평창군 및 영월군에서 동강할미꽃이 자생하는 것을 재확인하였고, 충청북도 단양군에서 새로운 분포지를 발견하였다. 이로써 남한에서 지리적 분포지는 강원도에서 확대되어 충북까지, 우리나라 석회암분포지와 거의 정확하게 일치함으로써 이 종이 호석회성 식물일 가능성을 제시한다. 분포하는 미소생육지의 87%가 바위틈이었다. 바위틈에서는 능선이나 사면에 비해 개체수는 적었으나, 유의하게 크기가 크고 꽃 수도 많으며 개화율이 높았다. 개체수가 적은 것은 바위지역에 잠재적 미소생육지 자체가 적기 때문일 것이다. 바위틈은 빛 조건이 좋고, 배수도 용이하며, 다른 종과의 경쟁도 피할 수 있으므로, 이 종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생장하는 적지로 판단된다. 호석회성 식물 여부, 입지조건에 따른 발아와 정착에 대한 포장 실험 및 분포지와 미분포지의 교차이식실험 등의 연구가 더 필요하다. 또한 분포지가 석회암지역에 국한되므로 종 보전을 위해 개체군 보전의 위협요인과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4,000원
        9.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SFTSV)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ixodid ticks from 25 regions of the Korea during 2011-2012. We collected 25,940 ixodid ticks with 3 genera and 7 species using dry ice bait trap and flagging. Among them, Genus Haemaphysalis, Ixodes and Amblyomma counted 25,821 (99.5%), 118 (0.5%) and 1 (<0.0%). Genus Haemaphysalis consisted of 4 species, H. longicornis (90.4%), H. flava (9.2%), H. formosensis and H. hystricis (<0.1%). Genus Ixodes consisted of 2 species, I. nippoenesis (0.4%) and I. persulcatus (0.1%). Only one Amblyomma testudinarium was collected. The highly infested sites were grassland (50.1%) and mixed stand forest (20.3%). Minimum infection rate (MIR) of SFTSV in H. longicornis was 0.5% in Korea and this rate was similar to that in China (0.46%). Our results showed that H. longicornis is a major vector of SFTSV and its surveillance will be needed at high risk area.
        10.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arth’s average temperature has risen by 0.78°C over the past century, and is projected to rise another 1.1 to 6.4°C over the next hundred years based on recent announced RCP8.5 climate change scenario. Small changes in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planet can translate to large and potentially dangerous shifts in biosphere.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local distribution of well-known species should be changed in near future. Models, if applied appropriately, give useful and rapid predictions of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the target species. CLIMEX is one of modeling systems that may provide insights into the climatic factors that limit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a species in different parts. Climatic parameters and the climate matching function of CLIMEX enable the risks of an exotic species as well as well-known species to be assessed by directly comparing the climatic condition of a given location with any number of other locations without knowing the full distribution of a species. However, CLIMEX supports only three locations in Korea (Seoul, Pusan and Kangnung province). We generated detail weather database of Korea for CLIMEX, and simulated using the data of American serpentine leafminer, Liriomyza trifolii (Burgess), a key pest and well-known species in Korea for application of future risk assessment under possible climate change condition in Korea.
        13.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충의 발생예찰자료의 분석에 있어서 지리자료처리체계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전국의 152개 병해충 발생예찰소의 해충 발생자료를 이용하여 해충지리적 분포정보를 집적하는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SPANS(Spatial Analysis Systme)로 구축하였다. 구축된 "지리분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근 10년간 이화명나방 발생량의 분포변동을 추적한 결과 일반계 품종이 확대 재배되기 시작한 80년대 중반터 고밀도 분포지가 급속히 확산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분포의 확산과 수축의 중심은 전북의 이리지역임이 확실하게 나타났다. 별멸구의 초기(7월초) 비래량의 분포를 비래후 온도조건과 결부시켜 후기(9월중)의 벼멸구 발생위험지역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성하였다. 모형에 의해 추정된 벼멸구 발생위험지역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성하였다. 모형에 의해 추정된 벼멸구 발생지의 분포도를 1990년 9월의 실재 발생분포도와 비교한 결과 경북 청도지역을 제외하고는 분포양상이 매우 유사하였다. 경사도, 고도, 재배작물 등의 분포도를 추정된 벼멸구 발생도와 함께 투시.분류(Overlay/Modeling)하는 기법을 사용한 결과 서남부지역의 벼멸구 국지적 발생위험지를 구분해 낼 수 있었다.
        4,000원
        14.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the physic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Gudle-jang Paddy-field in Cheongsando.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potential value and the assignment for the preservation of Gudle-jang Paddy-field were suggested. Gudle-jang Paddy-field is centrally distributed to Cheongsando and has various features as follows. First, it has the Ondol structure which is used Gudle-jang. Second, it has an irrigation canal which has functions of the tank and the prevention of cold-weather damage as well as the irrigation and drainage canal. The values of Gudle-jang Paddy-field are as follows; 1) It is the peculiar and inherent agricultural structure which is only found in Cheongsando. 2) It is the structure that the agricultural civil engineering and the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technique of traditional methode are applied. 3) It has the worths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4) It is the important resource creating superb rural landscape of the region. In spite of these values of Gudle-jang Paddy-field, there were little efforts to preserve it. From now on, it is needed to form of sympathy about the value of Gudle-jang Paddy-field and to make efforts for preservation of it. Also the institutional and political strategy should be provided to preserve and manage Gudle-jang Paddy-field.
        15.
        200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나 지리지형적 특성에 따른 강수량의 분포와 추세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을 포함하여 전국 56개 기후관측지점에서 1973년부터 2006년까지의 강수량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계절적 영향을 고려하여 1월, 4월, 7월 그리고 10월의 월평균 일별과 연평균 일별 강수량 추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 연구지역에 대해서 GIS 분석을 이용하여 지리지형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도시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토
        17.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반도 모시풀속 식물의 이용과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현지관찰로서 자생 분포지, 생육지 환경특성 및 혼생식물종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왜모시풀, 개모시풀, 좀깨잎나무, 풀거북꼬리는 거의 전지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었으며, 야생화된 모시풀은 충남 이남에 자라고, 왕모시풀과 긴잎모시풀은 남부지역에만 자생하고 있었다. 2. 조사대상 모시풀속 식물의 혼생식물은 평균 124.9종류였으며, 중요치가 높은 공통의 혼생식물은 쑥이었다. 3. 모시풀속 식물간에 공유하는 혼생식물은 개모시풀과 좀깨잎나무간이 49.0%로서 최고의 공통종을 나타낸 반면에 모시풀과 풀거북꼬리간이 21.6%의 최저 공통종이었다. 4. 자생지의 연평균강수량은 1100 mm~1390 mm, 연평균기온은 11.3℃~13.7℃ 범위이었으며,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pH가 평균 5.3에서 7.2 범위로서 약산성 또는 약알칼리성을 띠었으며, 유기물함량은 모시풀이 다른 모시풀속 식물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또한 K과 Na 함량은 각각의 모시풀속 식물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2O5와 Ca 및 Mg은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18.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농업 자원식물의 남한 내 분포현황 및 유전자원 보존대책 확립의 일환으로 갯방풍의 자생지 생태 및 환경특성을 해안별로 조사한 바 이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갯방풍의 분포는 갯방풍은 내륙해안과 도서지역의 해안 등 거의 전 지역의 대부분 사토에서 생육하고 있었다. 자생지는 만조선과 28.2m 거리, 해발고도 2.7m의 사구에 자생했으며, 해안별로는 동해안의 자생지가 서남해안에 비해 매우 넓고 밀도와 피도가 높았다. 2. 자생지의 혼생식물은 35여 종이었으며, 그 중 갯씀바귀, 좀보리사초, 통보리사초, 갯그령, 갯쇠보리, 띠 등의 밀도와 피도가 높았다. 3. 자생지의 연평균강수량 및 온도는 전체 평균이 각각 1250.3 mm, 12.5℃이었으며, 해안지역별로 보면 남해안이 연평균강수량 1427.3mm, 14.3℃로서 동해안의 1111.1 mm, 11.3℃보다 강수량이 많고 온도도 높은 편이었다. 4. 자생지의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pH가 전체평균 7.9로서 약 알카리를 띠고 있었으며, 유기물함량은 0.23%로 미약하였다. P2O5와 Ca 함량은 비교적 많았고, K은 극소량이었으며 Na이 상대적으로 적어 생육과 염분과의 상관관계가 크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해안별로는 동해안이 서남해안과 다소의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