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밀턴은 정치, 표현의 자유, 인권, 이혼 등에 관한 여러 가지 시민 사회의 필수적인 이슈에 대해서는 진보적인 입장을 취한 선각자였지만, 유독 젠더의 평등, 여성의 지위, 남녀의 역할 등의 문제에서는 보수적이고 최악의 경우 여성혐오적인 자세를 취했다고 비난받아왔다. 이 연구는 이런 주제에 대한 밀턴의 사상을 재해석함으로써, 그는 하나님이 남자와 여자를 그의 형상대로 창조한 행위에서 이미 젠더의 평등을 완성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결론 맺는다. 창세기 1장에 기록된 첫 창조 이야기에 따르면 하나님은 남자와 여자가 동시에 창조됐음을 선 언하고 두 성별의 우선순위를 정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밀턴의 결혼관은 바로 이 점에 기초하여 타락 이전부터 여자는 남자의 종속적인 존재로 창조 되었다는 개념을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밀턴에게 있어 남자와 여자는 상호 동반자로서 이성적 의존의 관계와 대화를 위해 창조되었으므로, 성(性)은 “혼인한 사랑”의 관계에서 우선순위가 아닌 부차적인 것이 된다.
        5,700원
        2.
        2016.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가 성경을 읽다보면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다고 나옴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이해는 각 시대와 사조에 따라 그 모양을 달리함을 알 수 있다. 본 서에서는 그러한 생각에서 출발하여 먼저 초대 교부시대의 이레니우스는 하나님의 형상을 절대로 상실되지 않는 성품으로 이해했으며, 이러한 이레니우스에게 영향을 받았지만 아우구스티누스는 이레니우스의 이분법적인 인간 이해를 거부하고 ‘형상’이나 ‘모양’이란 단어가 두 사물들 간의 유사 한 관계를 가리키는 말은 분명하나 동의어는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어지는 중세 교회시대에는 스콜라신학으로도 불리는데 이레니우스의 생각을 더욱 발전시켰 다. 당시 대표적인 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는 하나님의 형상을 신적 특질이라 할 수 있는 지성에 서 찾았다. 종교개혁시대에 이르러 신학자들은 스콜라주의의 ‘형상’과 ‘모양’을 나누는 도식을 거부하고 인간 을 철저히 하나님의 말씀의 빛에서만 이해하였다 대표적인 신학자 마틴 루터는 인간이 타락할 때 하나님의 형상을 완전히 상실된 것으로 본 반면, 존 칼빈은 하나님의 형상이 모든 인간 본성의 부 분들을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현대 신학자들의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이해의 경우, 먼저 칼 바르트는 하나님의 형상 을 찾으려고 인간 속의 구조, 성향, 특성들에 조사하려는 시도는 잘못되었다고 주장했으며 그의 초기에는 하나님의 형상은 전적으로 파괴되었다고 하였으나 후기에는 하나님의 형상이 아직은 남 아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칼 바르트처럼 벌카우워도 하나님의 형상을 인간의 지성이나 이성 속 에서 찾으려는 사상을 반대했다. 이상에서와 같이 초대교부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하나님 형상 이해의 역사적인 고찰은 초 대교부시대와 중세시대까지는 “인간이 누구인가? 하나님의 형상은 무엇인가?”라는 존재적인 측면 을 강조한 특징을 볼 수 있었던 반면 현대에 이르러서는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질 문의 답을 위하여 관계적인 측면을 강조한 특징을 볼 수 있다.
        5,500원
        4.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네 사중주』 와 기독교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형성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연구는 특히 이 작품 전체의 주제를 포괄하고 있는 두 종류의 제사만이 담고 있는 독특한 특성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그 의미가 네 사중주 전체에 어떻게 삼투되었는가를 조명했다. 제사가 중심을 잃은 현대인의 생활상에 대한 묘사를 나타내듯 엘리엇은 네 사중주 전체의 주제를 중심에서 이탈한 현대인들의 바른 중심 찾기로 일관하고 있다. 그 방법이 하나님과 완벽한 조화를 형성하는 것에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결과이다.
        5.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article, I have analyzed certain features and theological themes as found in Noah’s Ark (De archa Noe) composed by Hugh of St. Victor, an Augustinian regular canon who lived at Paris in the Twelfth Century, by collating with his Booklet on the Making of the Ark(Libellus de formatione arche). M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perspective of medieval biblical hermeneutics, the Victorine author elucidates certain senses that may be implied by the biblical image of Noah’s ark. In accordance with this exegetical method, the ark is understood, first of all, as a vessel that Noah made with wood and pitch as indicated in its literal and historical sense; also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in its allegorical and doctrinal meaning; and, finally, the ark of wisdom, as signified in its tropological or moral sense, which is to be constructed within our soul by the discipline of lectio divina. Second, Hugh concentrates on the motif of spiritual ascent as implied by the tropologia of the ark. It is a highly Augustinian theological theme about a journey of the soul which, seeing how instable a situation it is driven to by the disordered love of self, becomes stimulated to ascend to the love of God. The Victorine construes this procedure to be a process for restoring to the soul the image of God that has been shattered and dispersed by the destructive effects of the original sin. In poetic imagery reminiscent of The Song of Songs, he depicts how the uplifted and integrated soul, being liquefied by the flame of love in the final stage of contemplation, flows into the mold of the Lamb, the Lord Jesus Christ, indwelling the center and summit of the ark and is re-formed to His likeness at the end. Third, as regards Dionysius’s influence upon the formation of Hugh’s theology and spirituality, I have noticed that his treatises on Noah’s ark are built up on the Dionysian symbolic principle of proceeding from visible things(the image of the ark) to invisible realities(the inner contemplation). Additionally, I have highlighted that the three ascents starting from the respective corners of concupiscence, ignorance and goodness are certainly associated with the three hierarchical actions of purification, illumination and perfection as presented in the Dionysian Celestial Hierarchy. The Victorine master, however, understands the uplifting process in terms of tropological ascent for restoring the divine image to the soul by the practice of virtues whereas the Dionysian anagogical ascension is all about attaining to the union with the unknown God by way of negation, namely, via negativa. Concerning the topic of Dionysius-rezeption in the medieval Latin Christianity, the recent scholarship remarks that Hugh has laid the first steppingstone for affectivizing the intellectual mysticism of the Areopagite by intensifying the superiority of love over knowledge. In consideration of these observations, the Hugonian treatises on Noah’s ark, permeated with the central motif of love that gives impetus to spiritual ascent and makes possible the restoration of the divine image, should be numbered among certain textual evidences illustrating the Victorine affective reading of the intellectual Dionysi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