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모기류는 흡혈을 통해 원충, 바이러스, 사상충 등 다양한 병원체를 보유하며 말라리아, 일본뇌염, 웨스트나일 열, 뎅기열 등을 사람에게 매개하는 위해성이 있는 위생해충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해외유입 모기류 감시를 위해 경남 고성지역에 설치한 스마트 고공포집기를 이용하여 2022년부터 2023년까지 모기류들을 모니터링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3속 5종 43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이중 삼일열 말라리아를 매개하는 Anopheles belenrae를 경남 지역에서 처음으로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해외유입 모기류에 대한 감시망 구축의 최초 시도로서, 고공 포집기를 활용하여 모기류 감시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s, including aphids, caterpillars, and beetl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iodiversity, ecology, and the economy by consuming various plant tissues like leaves, stems, and fruits, leading to issues such as holes, defoliation, and impaired growth. Consequently, our study's primary goal was to establish a model system capable of identifying and tracking insects, covering aspects like their behaviors, movements, sizes, and patterns. Our research has successfully produced a 3D monitoring system specifically designed for continuous insect tracking by applying it to brown planthopper. This technology allows for in-depth exploration of insect behavior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plants and crops.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this technique are highly promising, offering valuable assistance to researchers in unraveling insect behavior and ecological dynamics and driving further advancements in these crucial research areas.
        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침입우려 고위험 해충 9종(Aceria diospyri, Bactrocera dorsalis, 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 Cydia pomonella, Lobesia botrana, Proeulia sp., Solenopsis invicta, Stephanitis takeyai)에 대한 예찰조사를 2020년 4월부터 10월까지 전국 7개 권역, 78지역, 222지점에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12,045개의 트랩운용/달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9종 모두 발견되지 않았다. 침입우려 고위험 해충 9종에 대한 예찰조사는 2018년부터 시작되었으며, 3년동안의 조사연구를 통해 7개 대학이 참여하는 전국단위의 외래해충 감시체계가 구축되었고 예찰조사 거점 지역들을 확보하였다.
        4,000원
        9.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침입우려 고위험 해충 9종(Aceria diospyri, Bactrocera dorsalis, 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 Cydia pomonella, Lobesia botrana, Proeulia sp., Solenopsis invicta, Stephanitis takeyai)에 대한 예찰조사를 7개 권역에서 실시하였다. 총 7권역, 87지 역, 288지점에서 총 12,285개의 트랩운용/달관조사를 완료하였으며, A. diospyri, B. dorsalis, B. minax, B. tsuneonis, C. pomonella, L. botrana, Proeulia sp., S. invicta, S. takeyai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조사 연구는 2018년부터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고위험 해충의 전국단위의 감시 체계를 구축 및 예찰조사 거점 지역을 확보하였다.
        4,000원
        1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위험해충의 국내 유입 및 발생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예찰협력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7개 대학(경상대학교, 군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순천대학교, 안동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북대학교)이 참여하여 고위험해충 9종(Aceria diospyri, 오리엔탈과실파리(Bactrocera dorsalis), 일본과실 파리(Bactrocera minax), Bactrocera tsuneonis, 코드린나방(Cydia pomonella), 포도애기잎말이나방(Lobesia botrana), Proeulia sp., 붉은불개미 (Solenopsis invicta), Stephanitis takeyai)에 대한 예찰조사를 2018년 6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전국을 7개 권역으로 구분한 뒤, 105개 지역 내 315개 지점에서 총 7,560개의 트랩운용/달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 A. diospyri, 오리엔탈과실파리, 일본과실파리, B. tsuneonis, C. pomonella, 포도애기잎말이나방, Proeulia sp., 붉은불개미, S. takeyai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조사 연구를 통하여 고위험해충을 조기 탐지할 수 있는 전국단위의 감시체계를 구축하였으며, 국경 이후 외래침입해충들의 예찰조사를 위한 거점 지역을 확보하였다.
        4,000원
        1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conducted quarantine insect species diversity monitoring using DNA barcoding with 517 lepidopteran samples that were obtained from quarantine inspections of foreign vessels entering Korea. The DNA barcode of each sample was treated as a molecular operational taxonomic unit (MOTU). For species delimitation and species identification of the analyzed samples, we applied a 2% cutoff rule and then identified with using BLAST of NCBI GenBank and BOLD System ver. 3.0. Consequently, 517 analyzed samples were delimited as 214 putative species across 20 families. Of these 214 putative species 145 (368 samples) were considered taxonomically identified if the closest BLAST match was no more than 2% different. Therefore the number of samples that were identified to the species level was relatively low, at approximately 71%. 115 of the 145 species were known in Korea. Of the 30 species that were not known in Korea, three, i.e., Noctua pronuba (Noctuidae), Orthosia hibisci (Noctuidae), and Pieris brassicae (Pieridae), were checked as ‘Regulated pests’ in Korea. We suggest that the three regulated pest species could be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to Korea if monitoring of the vessels that pass the navigation route that contains these three species is performed consistently.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monitoring of quarantined insect pest enables the prevention of the introduction of alien species.
        1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est insect pests monitoring provides essential information for forest management against their outbreaks. Long-term monitoring data for forest insect pests have been collected by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at national level since 1968. Forest insect pests for long-term monitoring include pine needle gall midge, black pine bast scale, fall webworm, pine moth, spotted lanternfly, etc. The monitoring data were analyzed effect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the outbreaks of sporadic forest insect pests. Our results showed that meteorological factors can influenced on outbreak of forest insects. The species including Lepidoptera has more occurred when fall and winter temperature were relatively high during the period, suggesting that their outbreaks depends on mortality rate during winter diapause. In Diptera, species abundance was positively related with amount of precipitation in spring but negatively related with summer temperature. The species belong to Hymenoptera was also more abundant when spring temperature was relatively warm. These result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predict potential forest insect pests from climate change.
        15.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외래 과실파리에 대한 모니터링은 검역에 필수적이다. 과실파리 유인물질을 왁스 재질로 제형화하여 비교적 장기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이 금지급 과실파리 모니터링에 유효하였다. 본 연구는 이 왁스 제형의 유용성을 확장시키기 위해 금지급 과실파리가 자생하고 있는 태국 현지에 적용하였다. 포획된 개체들을 분자 동정한 결과 기존에 유인력이 입증된 오리엔탈과실파리(Bactrocera dorsalis)와 오이과실파리(Zeugodacus cucurbitae)는 물론이고 Zeugodacus caudata의 검역 과실파리가 유인된다는 것을 밝혔다.
        4,000원
        16.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해충 발생 추이를 보고자 시설토마토, 노지고추, 복숭아, 포도에서의 해충 발생 및 밀도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작물의 주산지를 중심으로 2015년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조사 진행 중이며, 본 결과는 2017년 조사를 토대로 작성하였다. 토마토는 온실가루이, 총채벌레, 아메리카잎굴파리 등 3종의 해충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가루이와 총채벌레는 4월 하순부터 밀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 하순경에 최성기를 보였다. 고추는 6월 중순부터 총채벌레, 진딧물, 가루이의 발생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6월 하순에 가장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포도는 애무늬고리장님 노린재가 모든 농가에서 발생하여 주요 해충으로 판단되며, 총채벌레는 여름 이전에 고밀도를 보였으나 재배에 영향을 줄 정도의 피해 증상은 보이지 않았다. 복숭아는 복숭아순나방, 진딧물, 총채벌레 등이 관찰되었고 복숭아순나 방과 총채벌레는 모든 농가에서 높은 밀도를 보였다. 같은 지역 내에서도 농가 간에 차이가 컸으며 이는 농가마다 방제 시기와 방법에서의 차이로 보여 진다.
        17.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 insect is a ectothermal animal that is vulnerable to the temperature change. As climate change accelerated, the distribution of insects have been rapidly changed. Rice is the most important crop in Korea as it is a staple for Korean people. In the rice paddy, migratory pests from south-east Asia have seriously damaged on the crop. As climate chang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est and their effects on rice paddy may be changed. Therefore, monitoring the pest populations is a basis for establishing further research for pest management strategy against these migratory insect pests. As the first year for this monitoring project, we set 20 rice paddies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as continuous monitoring sites for five major migratory pests and summarized the first year’s data. Based on it, we will develop better monitoring plan as well as analysis methods.
        18.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속적인 대형 개발 사업에 노출되어 있는 수도권 서부의 습지 주변 6개 비오톱에 서식하는 육상곤충을 대상으로 2005년부터 2015년 까지 총 11년간 장기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지역의 행정구역은 경기도 시흥시 및 화성시 일대였으며, 습지 주변 비오톱 6곳을 지정하여 조사지역으로 선택하였다. 조사시기는 4, 6, 8, 10의 2개월 간격을 최대한 유지하였으며, 매회 스위핑법(sweeping)을 활용한 주간조사를 하였고, 6월 조사에서는 1개 지점에서 유아등과 스크린을 이용한 야간채집을 함께 수행하였다. 2005년 총 10목 76과 255종 출현을 시작으로, 2006년 10목 83과 273종, 2007년 13목 86과 282종, 2008년 13목 110과 354종, 2009년 12목 107과 338종, 2010년 10목 97과 295종, 2011년 12목 106과 337종, 2012년 11목 75과 220종, 2013년 9목 85과 232종, 2014년 조사결과 총 10목 101과 314종, 2015년 조사결과 총 11목 99과 361종이 출현하였다. 2005년부터 연도별 출현종수를 비교하면 2005년 10목 76과 255종으로 시작해서, 2008년 13목 110과 354종으로 최대종수를 기록하였고, 이후 감소추세가 이어져 왔으나, 14년도부터 다시 증가 추세를 보였다. 본 연구는 향후 기후변화 및 생물군집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