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오대산 국립공원 일대의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고, 이들 가운데 경관과 학술적으로 보존가치가 있는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을 선정, 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 활용하는 방안에 필수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조사과정에서는 147개의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지형은 구조지형이며, 다음으로는 풍화, 하천, 산지, 호소, 주빙하 지형 등이다. 다양한 지질 및 지형경관 자원 가운데 4개 노두가 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고, 5개 노두는 학술연구를 위한 가치 있는 자원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조사자료는 관광지질학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질관광 대상지역의 다양성 제고를 촉진하고, 국립공원관리공단 에서 탐방객에게 제공하는 자연해설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기능성 제고를 배가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4,600원
        2.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increasing public concern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ecological aspect of landscape management is of growing importance.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delphi survey of 31 experts to evaluate the relative importance and the preference of landscape elements. Landscape components of organic farmland were classified into 2 landscape fields, 5 landscape types, 14 landscape units, and 37 landscape elements. Overall relevance score for the proposed landscape components were about 5.5 on the seven point scale. While the relative importance weight of cropland landscape field was 0.71, the weight of intra-structure landscape field was 0.29. Among the cropland landscape, relatively higher weight was assigned to farming system (0.47) and margins (0.31), as compared with hydrological system (0.22). In the farming system, crop (0.40) and farm land (0.39) were the most important landscape units. In the margins, higher weight was given to Buffer zone (0.44) and Trees (0.42). Biological habitat (0.43) ranked the highest score in the hydrological system. Preferable landscape elements were glass house, companion plants, rice paddy field, diverse crop species, small pond, and small river, which are representing ecological advantage of organic farming systems.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landscape elements identified in the study would be suitable to evaluate ecological aspect of rural landscape in organic farmland.
        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숲길 경관과 숲길 가장자리 임목밀도에 대한 대중의 관념적, 시각적 선호도를 조사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관념적 조사로 행해진 숲길 경관 선호도의 경우, 울창하고 아늑하고 좁은 숲길을 울창하고 밝고 넓은 숲길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곡선으로 구불구불한 숲길이 직선으로 곧게 뻗은 숲길보다, 포장되지 않은 숲길이 포장된 숲길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숲길 가장자리 수종 구성과 관련하여 침엽수와 활엽수가 섞여 있는 숲길의 선호도가 침엽수, 활엽수로 조성된 숲길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연 그대로의 숲길을 길가에 꽃나무나 풀꽃 등을 심어놓은 숲길보다 더 선호했고, 숲 길가를 자연 그대로 살려 둔 숲길의 선호도가 풀깎기 등으로 잘 정리된 숲길보다 높게 나타났다. 숲길 가장자리의 잣나무림의 흉고직경별 입목간격에 따른 모습을 모델링하여 시각적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일반소경재(D<25)에 해당하는 흉고직경 24(cm)의 경우, 2∼5(m) 범위의 입목간격에서 3m, 우량중경재(25≤D<40)에 해당하는 흉고직경 35(cm)의 경우, 3∼6(m) 범위의 입목간격에서 4m, 우량대경재(40≤D)에 속하는 흉고직경 45(cm)의 경우 4∼7(m) 범위의 입목간격에서 5m의 경관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재 치유의 숲 조성 정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반면, 치유의 숲 조성을 위한 산림경관의 조성 및 관리에 대한 연구와 체계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치유의 숲 조성정책에 부응하여 경관의 시각적 질 향상을 통해 치유효과를 높이기 위한 산림경관관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을 기대한다. 한편, 본 연구결과는 방문객이 기대하고 요구하는 숲길 경관의 이미지 파악은 가능하나, 가상의 풍경이나 응답자의 관념적 선호도에 기반하여 도출된 것이므로 실제 산림현장에 대한 반응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풍부한 현장감을 통해 경관반응을 도출할 수 있는 후속 연구와 더불어 선호도 파악에서 나아가 선호 경관이 실제 인체의 생리적 반응과도 일치하는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바이다.
        4.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rural landscape is considered important elements of rurality, there are many concerns about management and conserv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ave performed rural amenity resources survey project in South Korea from 2005 for verifying states and efficient management of rural amenity. There are some problems about ambiguous definition of rural landscape range and data overlap. In this research, we reviewed rural amenity resources survey focusing rural landscape and analysized elements of 50 complex landscape resources in 2008 rural amenity selection 100. Finally, we suggested landscape viewpoint resource table in place of rural landscape because it can minimize data overlap in survey project.
        5.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intended to elicit the definition of rural landscape, to classify rural landscape type, and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rural landscape, meeting the definition through delphi expert survey method. The survey was performed five times for 80 days by 20 experts. The delphi expert survey asked experts as follows: 1) to fill out open-ended questions regarding the definition of rural landscape, and classification of rural landscape types, and evaluation indicators; 2) to provide their own feasibility evaluation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previous answer; and 3) to reevaluate the feasibility of the definition, types, and indicator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is study has found the appropriate definition of rural landscape like the comprehensive complex of physical (objective) and nonphysical (subjective) factors characterizing natural and/or artificial scenary of rural village itself Also,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rural landscape in accordance with space types and landscape units classified. The developed indicators included areal ratio,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the building coverage ratio for physical landscape field, and skyline, landscape adjectives, color landscape, semantic scale.
        6.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irect payment program for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in practice since 2005. Recently it is the policy or plan of direct payment for rural landscape conservation attracts great interests as they may help rural people who are very disadvantaged. This paper presents the status of the direct payment program for landscape conservation in rural area and proposed improvements to the program as following; 1) to diversify the plant species, 2) to include other rural elements than plants, 3) to enlarge the areas of crop plantation, 4) to simplify and clarify application process. We sampled two pilot programs, one of spring flower crop and the other of autumn flower crop, and questionnaire surveyed visitors, local government officers and farmers in order to find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