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resent year there has been research on benefi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for human health. The effect of a fat supplement made from seaweeds meal plus palm olein meal (FS) and replacement of concentrate on milk production, and milk fatty acid (FA) profiles of dairy cows fed grass silage based diets was evaluated. Ten Holstein lactating cows were divided into a two groups. The cows in a group were fed concentrate at 40% on TDN basis (control). The cows in another group (Treatment) were supplemented 0.5㎏/day/cow of FS as a substitute for 2㎏/day/cow of concentrate. The medium chain fatty acids and DHA content of FS were 345 ㎎/g DM and 35 ㎎/g DM, respectively. Total DMI, DM digestibility and milk production as well as milk composit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The intake of ether extract was higher (P<0.01) in Treatment than control group (1.1 ㎏/day/cow vs. 1.3 ㎏/day/cow). The short and medium chain of FA in the milk did not differ between two groups. The trans11C18:1vaccenic acid, cis9trans11CLA and C18:3 concentrations in the milk were higher (P<0.01) in Treatment than control group(1.88 g/100gFA vs. 1.03 g/100gFA, 0.93 g/100gFA vs. 0.51 g/100gFA and 0.48 g/100gFA vs. 0.48 g/100gFA). However, the C18:2 concentration in the milk was lower (P<0.05) in Treatment than Control group (1.38 g/100gFA vs.1.17 g/100gFA). There were detected 0.13 g/100gFA of DHA in the milk in Treatment group. Results indicated that addition of the FS has the potential of increasing CLA and DHA in cow's milk.
        2.
        200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젖소(Holstein종)의 mtDNA D-loop 영역 염기변이 다형성과 경제형질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젖소의 mtDNA D-loop 영역에서 단일염기의 치환에 의해 총 35개의 polymorphic site가 확인되었다. 그중 주요 Polymorphic site의 염기변이 빈도는 106, 169, 16057, 16231 및 16255 지역에서 높은 빈도의 염기치환이 검출되었다. 169 지역은 A가 G로 염기치환이 일어났고 그 빈도는 0.555로 높게 나타났으며 염기치환에 의한 산유량 효과는 1259.6 kg(P<0.05)로 나타났다. 유지방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16118 지역은 A가 G로 치환되는 빈도가 0.02로 검출되었으며, 16135 지역은 T가 C로 치환되는 빈도가 0.02로 검출되었고, 16302 지역은 G가 A로 치환되는 빈도가 0.04로 검출되었다. 이 지역들이 유지방에 미치는 변이 효과는 - 156, - 118.15 및 - 67.77 kg(P<0.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검출한 젖소 mtDNA내 D-loop 영역의 염기서열 변이 빈도와 유량, 유지방과의 연관성 분석 결과 등은 젖소집단의 유전적 변이성 추정과 좀 더 다양한 경제형질과의 관련성 분석으로 다양한 유전적 지표인자 발굴에 도움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해 분자유전학적 기법을 이용한 젖소의 육종전략을 확립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는 것은 물론 분자육종학적인 연구에 기초 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