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ithium silicate, a lithium-ion conducting ceramic, is coated on a layer-structured lithium nickel manganese oxide (LiNi0.7Mn0.3O2). Residual lithium compounds (Li2CO3 and LiOH) on the surface of the cathode material and SiO2 derived from tetraethylorthosilicate are used as lithium and silicon sources, respectively. Powder X-ray diffract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ith energy-dispersive spectroscopy analyses show that lithium silicate is coated uniformly on the cathode particles. Charge and discharge tests of the samples show that the coating can enhance the rate capability and cycle life performance. The improvements are attributed to the reduced interfacial resistance originating from suppression of solid-electrolyte interface (SEI)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Ni and Mn due to the coating. An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study of the cycled electrodes shows that nickel oxide and manganese oxide particl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and that greater decomposition of the electrolyte occurs for the bare sample, which confirms the assumption that SEI formation and Ni and Mn dissolution can be reduced using the coating process.
        4,000원
        2.
        2015.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sintering temperature on the microstructure, electrical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V, Mn, Co, Dy, Bi)- codoped zinc oxide ceramic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n increase in the sinter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average grain size from 4.7 to 10.4 μm and decreased the sintered density from 5.47 to 5.37 g/cm3. As the sinter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breakdown field decreased greatly from 6027 to 1659 V/cm. The ceramics sintered at 900 oC were characterized by the highest nonlinear coefficient (36.2) and the lowest low leakage current density (36.4 μA/cm2). When the sinter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donor concentration of the semiconducting grain increased from 2.49 × 1017 to 6.16 × 1017/cm3, and the density of interface state increased from 1.34 × 1012 to 1.99 × 1012/cm2. The dielectric constant increased greatly from 412.3 to 1234.8 with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4,000원
        3.
        2006.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n-Fe oxide and Mn-Fe oxide/(50wt%/50wt%) were prepared by ball milling method. XRD data of the prepared samples revealed that hematite and ferrite phase coexisted. Water splitting at 1273K, after thermal reduction at 1573K, was performed 4 times for the samples. Hydrogen production amount was analyzed by GC with TCD detector. Water splitting capacity of Mn-Fe oxide was improved by ball milling with .
        4.
        1999.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판온도 320˚C에서 알루미나 기판 위에 형성한 NTC 써미스터용 Mn-Ni계 산화물 박막의 산소가스 농도 변화와 막 형성 후 열처리에 따른 미세구조, 결정상 비저항, B정수 변화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미세구조는 주상 구조(columnar structure)를 지녔으며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700˚C 부근에서 등축 결정립 (equiaxed grain) 형태의 미세구조로 바뀌기 시작하였다. 박막의 결정상은 대부분 입방 스피넬 (cubic spinel) 상과 입방 Mn2O3, 상이 공존하였으며 산소농도 0.16%~0.7%의 경우 800˚C에서 열처리하였을 때 입방 스피넬 상만이 존재하였다. 분위기 산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저항과 B정수도 급격하게 감소하다가 다소 증가하였으며, 600˚C-700˚C 로 열처리할 경우 이 값들이 대체로 낮고 안정된 특성을 보였다.
        4,000원
        5.
        1998.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F magnetron sputter로 알루미나 기판 위에 증착한 NTC 써미스터용 Mn-Ni계 산화물 박막의 기판온도 변화와 열처리에 따른 미세구조, 결정상, 비저항, B정수 변화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미세구조는 178˚C이하에서 증착한 막의 경우 fibrous microcrystalline이었고, 320˚C와 400˚C에서는 columnar grain 구조로 바뀌었다. 또한, 900˚C에서 열처리한 박막의 경우 equiaxed grain 형태의 미세구조를 나타내었다. 박막의 결정상은 대부분 입방 스피넬(cubic spinel)상과 Mn2O3 상이 공존하였고, 400˚C에서 증착한 경우 700˚C이상에서 열처리하면 입방 스피넬의 단상으로 바뀌었다. 기판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저항과 B정수도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600˚C~700˚C로 열처리할 경우 이 값들이 대체로 낮고 안정된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박막 시편들은 모두 NTC 써미스터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
        6.
        1998.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재충전이 가능한 Li/PEO-LiClO4-PC/LIMn2O4구조의 전고상 전지를 제작하였다. LIMn2O4박막은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법으로 제작하였으며, 750˚C 부근에서의 급속열처리를 통하여 스피넬 상으로 결정화시킬 수 있었다. 상온 충.방전 시험을 행한 결과, 평균 전압 4V(vs. Li)의 평탄한 방전 전압과 우수한 재충전 능력을 나타내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