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몽골의 음주문화를 살피고 원대 새롭게 조합된 금속제 음주기의 기형, 문양, 기법 등을 분석하여 원대 음주기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원을 포함한 몽골제국에서 발견된 음주기도 함께 비교하여 기물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 그리고 이들 지역 간의 교류 양상도 탐 색하였다. 몽골이 세운 원대에 사용된 음주기는 이전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그들이 음용한 주류의 특성과 음주 취향, 그리고 몽골제국의 확장에 따른 다양한 민족ㆍ문물ㆍ문화적 요소가 융합 되면서 독특한 양상을 보인다. 원대 신유형의 음주기는 몽골제국에 속한 러시아 남부의 주치 울루스와 중동의 훌레구 울루스에서도 등장하였다. 이는 지역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거 리를 초월한 ‘대몽골 울루스’ 라는 하나의 연합체 안에서 음주문화가 공유되었다는 것을 의 미한다. 원대 음주기는 금속기와 도자기로도 두루 제작되어 재질 간의 기형을 공유했을 뿐만 아니라 고려에도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7,800원
        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의 목적은 가정 이곡(1298-1351)의 이중적 정체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몽골이 수립한 팍스 몽골리카(Pax Mongolica) 하에서 세계인과 고려인의 이중적 정체성을 가지고 방황한 이곡의 정신적 여정을 검토하려 는 것이다. 이곡은 한산의 호장 출신이다. 그는 1320년 고려의 과거에 합격했으나, 가문이 한미하여 현달하지 못했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그는 1333년 원(元) 의 과거시험인 제과에 응시해 우수한 성적으로 합격했다. 그 결과 고려인 합 격자로서는 처음으로 원 중앙 정부의 관리로 임명되었다. 이곡은 1348년 영구 귀국할 때까지, 15년간 원과 고려를 오가며 관직 생활을 이어갔다. 이곡은 몽골제국의 개방성과 보편주의를 신뢰했다. 그에 따라 국가를 초월한 평천하의 정치적 이상을 꿈꾸었다. 다른 한편 그는 고려인으로서의 정체성도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원 관리로 있으면서도, 고려 정부의 불공정한 인사 정책을 비판했다. 또한 고려 정부를 대변해, 원의 공녀정책의 부당성을 역설 하기도 했다. 그러나 원 조정에서 고관에 오르지 못한 이곡은 평천하의 이상을 실현할 수 없었다. 몽골과 고려의 정치세계에 어디에도 깊이 뿌리내리지 못한 그는 경계인에 머물렀다. ‘원유자(遠遊子)’ 또는 ‘동서남북인(東西南北人)’이란 이곡 스스로의 자칭은 경계인의 또 다른 이름일 것이다. 어머니와 황제는 그의 삶의 두 축이었다. 그는 황제의 도시 연경에 머물렀지만, 다른 한편 언제나 어머니를 그리워했다. 이곡은 몽골제국의 코스모폴리타니즘이 만들어낸 세계인 이자 동시에 고려인이었다. 그의 좌절은 어떤 의미에서 몽골제국의 보편성의 한계였다. 또한 몽골제국 아래 고려가 경험한 세계화의 외연적 경계였다.
        7,800원
        3.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raditional culture is fading away in a great speed due to the leading society. Both China and South Korea has a lunar calendar to follow a national holiday, and both don’t have much difference in the orthography. But in they looked at both Mongolian culture and South Korean culture in different seasons and concluded the difference between two cultures as following. So let’s have a look at the special features of seasonal culture in Korea. Firstly, Korea holds s special festival that is based on agriculture since ancient times. They pray for a rich year and abundance in harvesting. For example, the first full moon of the year in the spring and harvest moon festival in the autumn. Secondly, South Korea has very specific seasons so therefore they have a different festivals that fits the weather of the season. The special festivals in Mongol are; Firstly, since ancient times, Mongolians had played an archery and horse riding as they are nomads. They also have very unique traditional foods like lamb meat and dairy products because of their nature in life style. Secondly, as I mentioned before they are nomads who move around so therefore they have their own unique cultures. For examples, a tradition called ‘Nadam’ in summer. When this festival is on all the people who were separated over the country gather around for the celebration. Thirdly, they don’t divide the seasons in to four but in to two, so they have two different kinds of traditional festivals according to the seasons – summer and winter. When the countries around Mongol signifies the traditional festivals based on lunar calendar, but in Mongol they think of ‘Nadam’ as more important tradition which is held in summer, and start preparing for winter, making pelts. Even though the disappearance of traditional cultures in 21st century makes hard to find an actual tradition, I want to understand and look at the basic features for not just my own country but also the countries around myself.
        5,100원
        5.
        202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13세기 시리아 문헌인 『랍반 사우마와 마르 야흐발라하 3세의 역사』에 나타난 몽골제국 시대 칸발리크를 중심으로 몽골 기독교를 살펴보는 것이다. 좀 더 정확히 말하지만, 13-14세기 유럽의 프란치스코 선교사들(Franciscan missionaries)이나 마르코 폴로(Marco Polo)가 당시 칸발리크와 중국에서 만났던 바로 그 ‘네스토리안(Nestorians)’ 혹은 ‘네스토리오스 기독교(Nestorian Christianity)’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인은 13세기 시리아어로 기록된 『랍반 사우마와 마르 야흐발라하 3세의 역사』를 주요 문헌으로 사용하여 1) 동방에 있었던 기독교인들의 명칭을 살펴보고, 2) 랍반 사우마의 입을 통해서 드러난 몽골 기독교의 신앙기원 (사도 도마-앗다이-마르 마리 전통)과 교리를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이런 분석을 바탕으로 본 글은 『랍반 사우마와 마르 야흐발라하 3세의 역사』에 나타난 몽골 기독교는 자신들을 사도 전통을 이어 받은 동방 교회의 일원으로 이해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6.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lonal plants combine sexual and clonal reproduction, which contribute differently to plant fitness. Reproductive analyses hav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clonal growth in shaping the spatial genetic structure in Potentilla conferta Bunge, a herbaceous rhizomatic clonal distributed in hot sand dunes. We investigated the reproduction system of P. conferta at two populations in Mongol and three natural populations in Uzbekistan. The measurements of 19 quantitative or qualitative morphological characters were taken on each of total individuals directly from their natural habitats. Som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Mongolia and Uzbekistan populations showed a slight heterogeneity of variance. Especially, the length of internodes (LFI and LSI) and characteristics of root (LLR and NOR) were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countries (P<0.05). P. conferta of Uzbekistan has most ramets at short distance intervals 30~100 cm. In light conditions, P. conferta of Uzbekistan was significantly less resilience than P. conferta of Mogol. In drought conditions, although there was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P. conferta in Uzbekistan was less resilience than that in Mogol. The core analysis indicates that P. conferta in Uzbekistan is the more resistant than that of Mongol and seems to do by sexual reproduction strategy during several strong environmental disadvantages such as drought ev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