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다목적 암맹상자(multi-purpose blind box)를 개발하고 이의 효과성 검증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향상을 위한 훈련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 대상자는 광역시 소재 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33명을 선정 하였다. 연구도구로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감각과 시지각 기능향상 훈련용 다목적 암맹상자를 활용하였으며, 평가 도구는 Semmes Weinstein Monofilament(SWM), Two-point Discrimination Test(TD), Modified Moberg Pickup Test(MPT), MVPT-3와 QUEST 2.0을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은 무작위 할당을 통해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한 후 초기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에게는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프로그램을 1회당 30분간 주 3회를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받도록 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6주간 훈련 후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SWM, TD, MPT 및 MVPT-3 점수 차이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5). 또한 실험군에서는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시행 후 SWM과 TD 수치의 감소, MPT 시간의 감소 그리고 MVPT-3 점수는 향상됨을 보였다. 다목적 암맹상자 활용 후 사용성 평가는 모든 문항에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대답하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 다목적 암맹상자를 이용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고, 향후 훈련도구뿐만 아니라 평가도구로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We investigate how two concurrent multimodal sensory primes affect consumers’ evaluation of green products. More specifically, we study how an action of physical cleansing—which enables consumers to smell cleaning scents and offers them a sensation of physical cleanliness—influence their subsequent green detergent choices. Based on the theory of embodied cognition (Barsalou, 2008), we theorize that the two sensory inputs can simultaneously prime morality and cleaning effectiveness—two related yet different concepts—, which can be diagnostic for green product evaluations. The results of two studies show that both the cleaning effectiveness and the primed morality affect how consumers judge a green detergent. On the one hand, consumers infer how effective the detergent is from its scent strength and artificiality – the milder and the more natural the scent is perceived to be, the ―greener‖ and the less effective the detergent is judged to be compared to a regular, non-green alternative. On the other hand, the act of physical cleansing primes the sense of moral superiority of consumers relative to ―others.‖ The consumers who feel morally superior to others then underestimate how attractive the green detergent is going to be to ―other consumers‖ in the market (i.e., to the rest of the market). Our research contributes to both the psychophysiology and the green marketing literature. Regarding the former, we demonstrate a novel multisensory interaction effect by investigating how the brain deals with two competing primed concepts at the same time. Regarding the latter, our findings explain why making people feel moral does not always promote green or ethical consumption (Khan & Dhar, 2006; Mazar & Zhong, 2010). Apart from the account of moral licensing, we further identify that self-based green choices are largely utilitarian and driven by a pragmatic self-interest rather than by morality.
본 연구에서는 fMRI 기법을 활용하여 제품과 공감각적 은유가 적용된 제품 디자인에 표현된 미각적 요소와의 적합성 수준이 제품에 대한 신경학적 반응과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해 미각적 요소와 제품 간의 적합성 정도에 따라 제품디자인을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총 40개의 제품디자인이 실험자극물로 사용되었다. 총 15명의 건강한 오른손잡이 대학생들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실험은 총 2세션으로 구성되어 있고, fMRI scanning session에서 참가자들은 제품디자인을 관찰하였고, post-scanning session에는 제품디자인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적합성이 높은 제품디자인이 낮은 제품디자인보다 선호도, 구매의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뇌 반응의 경우 긍정적 보상과 관련된 미상핵(Caudate nucleus)과 피각(putamen) 영역이 적합성이 높은 조건의 제품디자인에서 더 많이 활성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