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3.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Cl처리에 따른 느타리버섯균 및 푸른곰팡이균의 균사생장과 간척답 볏짚을 이용하여 느타리버섯의 재배 가능성 여부를 검토한 결과, salt 농도별 PDA배지에서의 버섯균의 균사생장은 대체적으로 0.2% 까지는 증가되며, 그 이상에서는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푸른곰팡이균은 0.5~1.0% 까지 거의 큰 차이가 없이 생장하였으며, 1.0~3.0%부터는 생장이 감소되기 시작하였고, 5.0% 에서는 현저히 감소되었다. 볏짚배지에 salt 농도별로 침수하여 버섯균의 균사생장은 한천배지와 같은 경향을 보였고, 병원균은 0.3%까지는 포자형성이 무처리구와 비슷하며, 0.5%에서는 포자형성이 감소되기 시작하여 5.0% 이상에서는 포자형성이 되지 않았다. salt 농도별로 처리된 볏짚배지에서는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aO 함량은 높아졌으며, 살균전, 후 K2O는 감소되는 경향이었고, 수분함량은 NaCl 3.0% 까지는 비슷하였고 5.0%부터는 감소되었으며, pH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볏짚배지 NaCl 농도별 처리에 따라 초발이소요일수는 차이가 없었으며, 버섯 수량은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0.3% 처리구는 2,700g으로 수량이 비슷하였고 0.5% 이상에서는 수량이 감소된다. NaCl처리에 따른 침수용액 중의 EC는 볏짚 침수전보다 침수후에 높았으며, NaO 함량은 침수전, 후 모두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볏짚종류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수량을 조사한 결과 간척답 볏짚이 일반답보다 약간 수량이 많았다.
        4,000원
        6.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의 생장에서 염류의 집적은 우량 인삼의 생산에 많은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순계 분리된 인삼의 우수 계통으로부터 NaCl 처리에 따른 생장율 조사와 ginsenoside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선발된 모상근(KGHR-8)으로부터 ginsenosides의 함량에 미치는 NaCl의 최적 농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30일간 배양한 결과 NaC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상근의 생장은 감소하였지만, total ginsenoside의 함량은 0.24M NaCl 처리구에서 높은 증가를 가져왔으며 특히 광을 조사하여 배양한 결과 높게 검출되었다. 0.24 M NaCl 농도로 광상태하에서 함량은 61.7%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Table 1). 또한 모상근의 생장을 최적 상태로 설정하기 위해 two step culture 방법을 조사한 결과, 0.05M, 0.1M NaCl 처리시 모상근의 생장율은 각각 약 62%, 76% 감소한 반면, ginsenoside의 함량은 29%, 48% 각각 향상되었다. 모상근은 방어기작의 일환으로 NaCl을 elicitor로 인지하고 2차대사산물인 사포닌의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7.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alinity on growth, inorganic ion content, and photosynthetic rate (~textrmPN ) in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with complex fertilizer (CF) and NaCl concentrations. The salinity was applied to plant using NaCl and CF, and controlled an EC as 0.0, 1.0, 2.0 and 3.0 dS ~textrmm-1 . The salinity treated three times at 35, 42 and 49 d after transplanting. The leaf area in different electrical conductivity (EC) decreased only the higher NaCl 1.0 dS ~textrmm-1 . The root growth increased with CF and especially, it was two times higher at 3.0 dS ~textrmm-1 than that of control. But the root growth sharply decreased with NaCl compared to CF. The light saturation point of Korean ginseng was around 100 ~mu~textrmmol~;~textrmm-2~textrms-1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PAR), and ~textrmPN increased as CF increased but decreased with NaCl especially at the late growth stage. The ~textrmNa+ content in Korean ginseng increased sharply with NaCl.
        8.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내염성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자포니카와 통일형 품종간에 염처리에 따른 초장, 건물중 및 무기성분 흡수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경액에 NaCl을 첨가하여 시용한 결과 N과 P2O5 은 흡수저해는 적었으나, 다른 무기염류의 흡수억제는 K2O>MgO>CaO>Tolal-N>P2O5 >> SiO2 순으로 컷으며, SiO2 는 염수조건 에서도 흡수에 큰 영향이 없었다. 2. Na2O함량은 염처리 초기에는 함유량은 적지만 무처리 대비 흡수율이 급증하여 처리 10일에는 10배. 20일에는 16배 그리고 처리30일에는 20배 정도로 증가하고 자포니카 품종보다는 통일형 품종에서 흡수율이 높았다. 3. 염수처리에 따른 건물중 감소율은 자포니카 품종들이 통일형 품종들 보다 적었고, 자포니카 품종에서는 섬진벼>신선찰벼>낙동벼>대청벼>동진벼>추청벼 순으로, 통일형 품종에서는 밀양30호>가야벼>장성벼>칠성벼>태백벼 순이었다. 4. 염처리에 의한 품종간 K/Na 비와 건물중 감소율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9.
        199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changes of photosynthetic ability and cation content in barley cultivar seedlings cultured for 10 and 30 days with different NaCl concentrations containing 1/4 Hoagland solutions. At the highest NaCl concentration, the weight of dry matter and the shoot/root ratio (S/R ratio) were decreased. Thus, shoots were affected more than roots by NaCl treatment. The S/R ratio decreased more in 'Neulssalbori' than in 'Bunong' by the NaCl treatment. The. internal Na+ concentration increased greatly with the highest NaCl concentration, but K+ concentration in plants decreased with the highest NaCl treatment. The Ca2+ concentration had a small change with NaCl concentrations. Thus Na+ /K+ and Na+ /Ca2+ ratios increased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The chlorophyll content (%/dry weight) of seedlings decreased at higher NaCl levels except for Bunong in 30 day old seedlings. The photosynthetic ability decreased only for Neulssalbori in the 10 days NaCl treatment. The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had decreased in the 10 day old seedlings, but not with 30 day old seedl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