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unkeunheugchal’ is a waxy black rice variety that has a large embryo. The quality of black rice depends on the anthocyanin content of the rice seed coat, which is mainly determined by cultivation environment. Factors that affect the anthocyanin content include nitrogen level, planting density, transplanting date and harvesting dat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um black rice cultivation condition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different nitrogen levels and planting densities. An initial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nitrogen level in which four levels of nitrogen were applied to the field (0, 4, 8 and 12 kg/10a). As the nitrogen contents were increased up to 8 kg/10a, there was a concomitant increase in rice yields. However, nitrogen levels greater than 8 kg/10a, the yield was maintained at the same level.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optimum nitrogen level for maximum yield was 9.6 kg/10a. In addition, anthocyanin levels showed a trend similar to that of yield, with correlation analysis indicating that the optimum nitrogen level for maximum anthocyanin content is 10.6 kg/10a.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 second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mbination of planting density and nitrogen level. The planting densities investigated were 30 × 12, 30 × 14, 30 × 16cm and nitrogen levels were 7, 9 and 12 kg/10a. A high planting density (30 × 12cm) was shown to produce higher numbers of tillers and yield. As calculated in the first study, a nitrogen level of 9 kg/10a shown to produce the highest anthocyanin content and yield. Coll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 planting density of 30 × 12 cm and a nitrogen level of 9 kg/10a is the optimal combination in terms of maximizing both rice yield and anthocyanin content.
        2.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눈큰흑찰은 최근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2012년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에서 육 성한 품종이다. 눈큰흑찰은 씨눈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 함량 이 높은 벼 개발을 목적으로 get를 모본으로 하고 흑찰벼인 조생흑찰 부본으로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육성되었다. 선 발된 YR25277-B-B-314-2 계통을 밀양263호로 계통명을 부 여하고 2010~2012년 3년간 지역적응시험 실시하여 2012년 12월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품 종으로 선정되었으며 눈큰흑찰로 명명하였다. 눈큰흑찰의 출 수기는 전국 평균 7월 30일로 조생흑찰과 비슷한 조생종이다. 벼 키는 65 cm로 조생흑찰과 비슷하며 포기당 이삭수와 이삭 당 벼알수도 각각 13개와 73개로 조생흑찰과 비슷하다. 천랍 중이 17.8 g으로 조생흑찰보다 1.7 g 정도 가벼운 편이다. 도 복 및 도열병에는 강하나 흰잎마름병, 바이러스병 및 해충에 약한 편이다. 쌀수량은 3.54 Mt/ha로 조생흑찰의 4.12 MT/ha 보다 낮은 편이다. 현미모양은 장폭비 1.93으로 조생흑찰과 비슷한 중장립형이며 종피에 안토시아닌이 함유된 흑색찰벼 이다. 눈큰흑찰은 거대배 품종으로 씨눈무게가 1.46 mg으로 조생흑찰 보다 3배 정도 무거우며, 이에 따라 씨눈에 많이 포 함된 GABA 함량이 높다. 눈큰흑찰의 적응지역은 중부 및 남 부 평야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