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inkgo nut powder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gel. Mung bean starch gel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inkgo nut powder (0, 1, 3, 5, and 7%).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inkgo nut powder and mung bean starch gel was estimated through measuring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henolic acid content. For analyzing quality characteristics several factors were considered: syneresis, pH, color, texture profile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s. In the results, syneresis in the treated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pH, b values, total phenolic acid conten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ung bean starch gel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ginkgo nut powder. In contrast, the L values and a values of mung bean starch gel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ginkgo nut powder. In the texture profile analysis, the mung bean starch gels with 5% and 7% ginkgo nut powder showed significantly lower degrees of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On the other hand, cohesiveness was highest in the mung bean starch gels with 5% and 7% ginkgo nut powder. The consumer acceptability score for the mung bean starch gel prepared with 5% and 7% ginkgo nut powder rank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in flavor and taste.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kgo nut powder is a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the consumer accep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mung bean starch gel.
        4,000원
        2.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순천지방에 재배되고 있는 밤나무 품종의 과실 특성을 파악하여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품종별 밤송이의 착과수는 축파가 평균 122.5개로서 가장 많은 착과수를 나타내었고, 품종별 변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 밤송이당 평균 함과수의 범위는 1.3 (국견)~2.4 (평기)로 품종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었다. 입중은 17.5 (출운)부터 28.1 g (국견)까지로 품종간 변이가 컸다. 밤나무 과실 수확량은 상림의 1,000.4 g부터 축파의 5,479.5 g까지 품종간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전과의 비율이 가장 높은 품종은 창방감율 (90.8%)이었으며, 80% 이상의 건전과 비율을 나타낸 품종은 국견, 단택, 축파, 대보, 평기, 신이평의 6품종이었다. 열과율은 0.0~26.1%로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창방감율이 0.0%로 가장 낮았으며 광덕이 26.1%로 가장 높았다.
        4,000원
        3.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밤나무 품종개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남부지방에 재배되고 있는 밤나무 주요 품종의 과실 특성을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조사하였다. 품종별 착과수는 37.7 (광주조율)~183개 (주옥)로 품종 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밤송이 내에 들어 있는 평균 함과수는 1.2~2.0개로 품종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대 (Idea)는 1.2개였고, 산대와 광은은 2.0개였다. 입중도 품종간 차이가 많았는데, 광덕이 31.3 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광주조율은 14.1 g으로 가장 소립품종이었다. 건전과의 비율이 가장 높은 품종 은 창방감율 (89.9%)이었으며, 건전과 비율이 80% 이상인 품종은 국견, 유마, 축파, 광은, 평기 5품종이었 다. 부패과에 있어서는 신이평과 출운이 각각 10.8, 16.8%의 비율을 나타내어 수확 후 저장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열과율에 있어서는 0 (창방감율)~20.6% (세일)로 품종별로 많은 차이가 나타났으며, 산 대, 이평, 주옥, 광덕, 세일은 15% 이상이었으나 국견, 유마, 축파, 만성, 창방감율, 축파변이, 출운은 3% 이 하로 나타났다.
        4,000원
        4.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장원’은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당도가 높으면서 종피가 잘 벗겨지는 과실 특성을 가진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수령 60년 생 이상의 노거수를 대상으로 선발하여 개발한 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1년에 처음으로 선발되었고 2007 ~ 2009년까지 과실 특성에 대한 안전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특히 이 품종의 수확시기는 9월 둘째주이며, 8년생을 기준으로 나무당 수확 량은 약 3.9 kg이다. 이 품종은 과실 특성으로 당도 17.5%, 경도 9.6 kg/cm2, 종피 박피율 98.6%로 대조 품종인 유마 보 다 과실품질이 우수하여 군밤용으로 특화되어 이용 될 수 있 다. 또한 다른 품종의 종피 박피율 향상을 위한 수분수로도 활용 가능성이 크다.
        5.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호도나무 교잡종 과실의 양적 및 질적형질의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입중 및 인중, 인중비 등 과실의 주요형질에 의한 품질이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여 신품종을 육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입중이 13g 이상이고 인중비가 50%이상의 양적형질의 선발기준에 의해 산성4호×Concord 8번 개체 등 4개체가 우량개체로 가장 유망시 되었다. 특히 봉합선 폭은 인중비가 높은 우량과실 및 개체를 선별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인중과 입중이 무거울수록 인의 길이가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격막의 두께는 두꺼울수록 인의 분리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 인의 분리용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질적형질은 개체 및 교배조합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모든 형질에 대하여 동일개체 내에서 다양한 특성이 동시에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