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3.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 갯기름나물의 지형적 분포와 해식애 군집구조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해안과 지형별 종조성 및 생육양상을 조사한 바 이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갯기름나물과 동반 출현하는 식물은 57과 130속에 속한 170 분류군이었으며, 과별로는 국화과가 30 분류군으로 가장 많았다.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식물은 해국(54.1%)이었고, 해안별로는 동해안과 서해안에서 해국, 남해안에서 억새의 출현빈도가 가장 높았다. 해안별 공통종은 서해안과 남해안간이 35.6%(47 분류군)로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동해안과 서해안(30.4%), 동해안과 남해안(26.4%)순이었다. 갯기름나물이 출현하는 해안지형은 경사도 17.4˚의 해식애 암석해안, 평탄면, 암괴원, 수평절리, 수직절리, 요철지형이었고 지형 별 분포지역은 암석해안이 61 지역으로 가장 많았다. 군도에 따른 갯기름나물의 생육양상은 군도계급 3이 83지역(54.6%)으로서 가장 많았다.
        4,000원
        6.
        201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재배조건(하우스재배, 노지재배), 수확시기(어린잎, 성잎) 열처리에 따른 영양성분 및 항산화활성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국가표준성분표 발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일반성분 4종(수분, 지질, 회분, 단백질), 무기질 5종(칼슘, 철,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비타민 3종(비타민 C, 엽산, 베타카로틴)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였고 폴리페놀 화합물과 DPPH 라디칼 제거능을 각각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성분의 경우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무기질의 경우 Ca, Mg, Na은 하우스 재배가 노지재배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비타민함량과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의 경우 수확시기보다는 재배방법과 열처리에 의해 함량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우스보다 노지 재배된 갯기름나물의 비타민 C, 엽산, 폴리페놀 화합물과 항산화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열처리할 경우 비타민 C, 베타카로틴, 폴리페놀 화합물, 항산화활성이 각각 증가하였다. 비타민 C의 기존 보고된 이론과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어 다양한 열처리온도와 시간을 적용한 성분 변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베타카로틴과 폴리페놀 화합물의 열처리에 의한 증가는 산화가수분해 효소의 불활성화와 세포조직의 견고성 저하로 인한 활성물질의 추출 효율증가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나물을 데쳐서 섭취할 경우 미생물 오염방지 등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물 세포조직이 연해져 베타카로틴과 같은 우리 몸에 유익한 성분의 소화흡수율이 증가될 것으로 생각된다.
        8.
        2013.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after blanching. After blanching treatment, the crude protein content decreased but did not affect the crude fat, crude ash and carbohydrate contents of P. japonicum. All the detected free sugar contents decreased after blanching, but the total free sugar content decreased by 14.8% from that of the raw P. japonicum after blanching. The total amino acid and essential amino acid contents of the blanched P. japonicum. decreased by 10.75% and 15.22% from those of the raw P. japonicum.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the total fatty acid between the raw and blanched P. japonicum. The total organic acid content decreased by 37.03% from that of the raw P. japonicum. after the blanching, and the reduction of the acetic acid was largest in the organic acid. The vitamin A, C and E contents decreased by 20.20%, 8.23% and 35.59% after the blanching. The total mineral content of the blanched P. japonicum. decreased by 21.84% after the blanching. The nutrients in the P. japonicum were essential amino acid, vitamin C, minerals, but these were reduced after the blanching. Therefore, the blanching conditions that can reduce nutrient loss of P. japonicum must be established.
        9.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Peucedanum japonicum community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of floristic composition table and cluster analysi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he vegetation of the Peucedanum japonicum community was classified mainly into 2 communities such as the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and the Lysimachia mauritiana-Rosa wichuraiana community. The Carex boottiana and Sedum oryzifolium community were classified as the lower rank of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On level 1 of the cluster analysis of plant species, they were classified into Lysimachia mauritiana and Rosa wichuraiana group, also Miscanthus sinensis, Carex boottiana and Sedum oryzifolium in Peucedanum japonicum community, which is similar to the community classification shown in the synoptic table. On level 1 of the cluster analysis of relev, inland coast with Jejudo was Lysimachia mauritiana and Rosa wichuraiana of group such as level 1 of the cluster analysis of plant species, and island coast with Geomundo was Miscanthus sinensis Carex boottiana and Sedum oryzifolium of group such as cluster analysis of plant species.
        11.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ordination of the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floristic composition table on east coast of South Korea. The vegetation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2 communities such as the Aster Spathulifolius community and the calystegia soldanella-Artemisia princeps community. Vegetation of the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with the Aster spathulifolius community was shown southward, whereas vegetation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with the calystegia soldanella-Artemisia princeps community was shown northward from the base line of Pohang at North latitude of 36" 05'. Accordingly, the Peucedanum japonicum Thunb. community was grown commonly with the Aster spathulifolius community southward of the base line of Pohang, whereas it was grown commonly with the calystegia soldanella-Artemisia princeps community northward on the east coast. All environmental conditions of habitat taken together, the optimum habitat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was at Ulsan geographically and the middle region of sea cliff topography, and was suitable for alkali. sandyloam.
        13.
        200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ve coumarins, psoralen (1), scopoletin (2), isoimperatorin (4), (+)-marmesin (5) and xanthotoxin (6), three chromones, cimifugin (3), hamaudol (7) and sec-O-glucosylhamaudol (10), one sterol, daucosterol (8) and one aliphatic alcohol, galactitol (9) were isolated from the root of Peucedanum japonicum.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identified by the physicochemical and spectroscopic data by comparing literature values. Among them, compounds 9 and 10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isolated compounds were examined on cyclooxygenase (COX), compounds 1, 2 and 7 showed inhibitory activity on COX-1 with IC50 values of 0.88, 0.27 and 0.30 mM, respectively. In the test for COX-2 activity, only compound 7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with the IC50 value of 0.57 mM. The other compounds exhibited weak inhibitory or no inhibitory activity.
        14.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약재로 이용되고 있는 육묘한 식방풍을 공시하여 육묘이식 백색비닐피복, 육묘이식 흑색비닐피복, 육표이식 무피복 처리와 노지직파 무피복처리가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아기간은 폿트육묘시 8일이었고 노지직파는 40일이었으며 출아율은 폿트육묘시 74%였으나 노지직파에서는 17%로 크게 저조하였다. 초장, 엽수, 경직경 등 지상부생육량은 육묘이식 백색비닐피복〉육묘이식 흑색비닐피복 〉육묘이식 무피복〉노지직파 무피복처리구 순으로 많은 경향이었다. 주근의 길이는 육묘이식 무피복구가 유의하게 짧았으나, 피복처리구와 노지직파 무피복구는 비슷하게 긴편이었다. 주근의 굵기는 비닐피복구가 무피복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굵었고 노지직파 무피복구가 가장 가늘었다. 지근의 수는 육묘이식한 것이 직파한 것보다 4.7~7.1개 많았다 건근비율은 노지직파 무피복구에서 30.5%로 가장 높고 육묘이식구에서는 무피복구가 높았으머 비닐피복구에서 낮은 경향이었다. 10a당 건근수량은 육묘이식 백색비닐피복 542kg, 육묘이식 흑색비닐피복 506kg, 육묘이식 무피복 419kg으로 노지직파 7kg에 비하여 각각 52, 42, 17%증가하였으며 식방풍의 재배는 육묘이식하되 백색비닐로 피복하여 재배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