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척수손상 임산부를 위한 기능적인 욕창예방방석을 개발하기 위한 사전연구이다. 여성 척수손상 장애인 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해 욕창예방방석에 대한 사용 경험을 조사하여 제품의 개선 방향에 대한 욕구와 제품 개발과 관련된 중요한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욕창예방방석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여성 척수손상 장애인 총 7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 중 임신 중 방석을 이용한 연구참여자는 5명이다. 연구는 총 6단계로 1단계는 대상자 선정, 2단계는 사전준비, 3단계는 포커스그룹인터뷰, 4단계는 자료 전사, 5단계는 자료 분석, 6단계는 결과 도출 순으로 진행하였다. 포커스그룹인터뷰 진행 과정을 모두 녹화한 후 3명의 연구자가 각각 전사하여 공통된 주제에 대해 합의하고 개념, 범주, 주제로 분류화하여 분석하 였다.
결과 : 포커스그룹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 15개의 개념, 6개의 범주, 3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3개의 주제는 욕창예 방방석의 구조, 디자인, 서비스로 도출되었다. 방석의 구조에서는 적정한 강도의 소재로 제작되어야 하며, 욕창 호발부위 와 이승을 고려하여 디자인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방석의 기능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과 센서 기반의 피드백이 가능한 제품으로 제작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특히, 임산부 특성상 체중의 측정이 중요하고, 실금의 횟수가 많아질 수 있다는 점이 반영되었다. 추가적으로 서비스 관련해서는 방석을 지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방문서비스 및 커버 여분에 대한 사후관리 관련 욕구와 질 좋은 방석이 공적급여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제도 관련 의견이 도출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척수손상 임산부가 겪을 수 있는 고충을 이해하고 건강하게 아이를 출산하고자 하는 욕구를 반영하여 보조기기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개발될 척수손상 임산부 를 위한 욕창예방방석은 추후 임신 과정에서 저해될 수 있는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임산부의 상호작용 기술 증진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임산부 13명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10일부터 31일까 지 상호작용기술 증진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을 위해 아동-성인 상호작용 코칭척도(CICAIO)로 SPSS 21.0를 활용하여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임산부의 상호작용 중 코칭 기술 활용 빈도를 측정하기 위해 TREASURE Talk 코딩 시스템(TTCS)을 사용하여 전문가 간 일치도를 보았다. 연구결과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프로그램으로 놀잇감 선정, 스크립트, 동영상을 제작하여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관심가지고 따라가기(T), 반영하기(R), 격려하기(E), 긍정으로 이해하기(U), 기억하고 표현하기(R1), 축하하기(E2)의 TREASURE Talk 코칭 기술이 증진된 것으로 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임산부들이 적극적으로 사회적 보호와 배려를 받을 수 있도록 LED를 이용한 임산부 배려 LED 엠블럼(이 하 LED 엠블럼)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조사자는 LED 엠블럼을 착용한 연구원과 그 반응을 확인하는 연구원 2명으로 2015년 1월 20∼30일 사이에 서울지하철에서 실시하였다. 실험 방법은 LED 엠블럼을 착용 후 2가지의 다른 착용위치(ⓐ목걸이식 착용 ⓑ가방 부착)와 LED엠블럼의 빛의 활용 상태는 3가지의 경우로(①빛을 일정하게 켰을 경우, ②빛이 없는 경우(일반 임산부 배려 엠블럼과 같은 상태), ③빛의 밝음 상태가 1초 간격을 두고 서서히 점멸하는 경우)로, 각각 10번씩 총 60번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빛의 상태에 따라 양보 받음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장 많은 양보를 받은 빛의 상태는 ①빛을 일정하게 켰을 경우로 8번(12.4%)의 양보이며, ③빛의 점멸상태에 서는 2번(3.4%)의 양보가 있었고, ②빛이 없는 경우에는 전혀 양보를 받지 못하였다. 한편 착용 위치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이 밖에 시간대, 혼잡정도, 남녀 성별의 차이에 대하여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LED 엠블럼을 통해 임산부를 위한 좌석양보의 자발적 배려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빛을 일정하게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iron status at the third trimester and fetal birthweight, maternal serum iron, ferritin, total iron-binding capacity (TIBC), and complete blood count values were measured at 36-weeks gestation. Delivery database on mothers who delivered babies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8 and March 2013 was extracted. A total of 353 uncomplicated term babies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d ANCOVA. Maternal ag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β=0.115, P<0.05), height (β=0.108, P<0.05), BMI (β=0.210, P<0.001), and gestational age (β=0.298, P<0.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irthweight. However, birthweight was not associated with maternal iron parameters. After adjusting for maternal age, height, BMI, and gestational age, babies born to mothers with lower mean values of hemoglobin, hematocrit, and serum ferritin were heavier than those born to mothers with higher values. Babies born to lower hemoglobin (11 g/dL) mothers were heavier than those born to higher hemoglobin (12 g/dL) mothers. However, birthweigh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others with 10 g/dL or 13 g/dL of hemoglobin. Comparing birthweight according to 30 ug/dL of serum iron, 360 ug/dL of TIBC, 15 ng/mL of serum ferritin, and 10% transferrin saturation, babies born to mothers of the lower group were heavier than those born to mothers of the higher group. Therefore, maternal serum iron status at the third trimester seems to not be associated with birthweight.
본 연구는 숲속에서의 태교활동이 임산부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피험자로는 과거 병력이 없는 51명의 임산부(28±3.0세)가 참가하였다. 실험 참가 전날 도시환경에서의 심리적·생리적 변화를 측정하였으며1박 2일의 숲태교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도시환경에서의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측정이 이루어졌다. 심리지표로서BDHI(공격성 척도), BHOP(무망감 척도), STAI-X-1(상태불안 척도), DIS(역기능성 행동척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생리지표로서는 심박변동성과 코티솔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1박 2일의 숲태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임산부들의공격성과 불안감이 감소되고 부정적인 사고가 감소하여 심리적 안녕감이 증진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숲속에서의 태교활동이 산모의 임신 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심리적 안녕감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Fish contain both the neurotoxin methyl mercury (MeHg) and nutrients important for brain development. The developing brain appears to be most sensitive to MeHg toxicity and mothers who consume fish during pregnancy expose their fetus prenatally. Although brain development is most dramatic during fetal life, it continues for years postnatally and additional exposure can occur when a mother breast feeds or the child consumes fish. This raises the possibility that MeHg might influence brain.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ish consumption and mercury exposure levels in umbilical cord blood of the pregnant women of the city of Tongyeong city, Korea. A total of 159 pregnant women residing in the city of Tongyeong, Korea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between October 2010 and March 2011. Fish consumption was evaluated using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including detailed questions on fish consumption. We used ANOVA to estimated the particular relevance between the frequency of fish consumption and the umbilical cord blood mercury concentration, and other various factors. The average mean concentration of mercury levels in umbilical cord blood of pregnant women who participated in our study were 2.69 ± 2.50 ppb, ranging from 0.01 to 14.80 ppb. The mean concentration of umbilical cord blood mercury exposure was lower than the level recommended by WHO (5.0 ppb), but the mercury exposure level exceeded the WHO recommended in 17 (10.7%) cases of umbilical cord blood. Mercury levels in cord blood of pregnant women were 2.04 ± 2.00 ppb, ranging from 0 to 8.00 ppb in below 29 years old and 3.18 ± 2.74 ppb, ranging from 0.01 to 14.80 ppb in more 30 years old. In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frequency of eating fish between the groups (p < 0.01). The level of the groups that ate fish 3 to more times per week (4.15 ± 4.02 ppb) was significant higher as compared with the level of other groups that ate fish 1 to times per week (2.63 ± 2.22 ppb) and none per week (1.06 ± 1.44 ppb), respectively. We found that the mercury concentration of umbilical cord blood associate with fish consumption and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is fact revels that fish consump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mercury levels in the umbilical cord blood. We need systematic and periodic research on the general population to prevent mercury poisoning, which can be cause by low-level mercury exposure from dietary intake such as chronic fish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roper tread of stairs using kinematic factors and moments of the lower-limb joints in the stair decent with the 3 different treads with boimechanical method in ergonomics. 9 subjects (body masses; 59.41±7.49, 64.03±6.65, 67.26:±7.58, heights; 160.50±6.35 ages; 31.22±2.99; parity; 1.67±0.71) participated in three experiments that were divided by physiological symptoms (the early (0-15 weeks), middle (16-27 weeks) and last (18-39 weeks). and they walked at self-selected pace on 4 staircases 3 trials. As extending the pregnancy period, cadence was shorter but cycle time were longer more and more. As extending treads of stair decent during pregnancy, speed, stride lengths and cycle time were increased. As extending the treads of stair decent, hip and ankle moments increased but knee moments decreased in sagittal plane. There were increasing or decreasing of moments by means of treads. These changes may account for relation between the treads of stair and moments in pregnant women. The main changes of pregnant women were joint moments and kinematic factors during pregnancy period because pregnancy makes them physical changes. It is possible that joints have connection with compensation each other to maximize stability and to control gait motion.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tread of stair is longer than 26cm tread. and exercise programs to improve muscle activity were necessary where joint moments were 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