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20세기 조선 사회는 격변의 사회였다. 개화기 시점에서 서양 과의 무역통상 조약을 맺음으로 강제화 된 개방을 해야 했다. 조선개화 와 더불어 19세기 서구 선교사들은 조선에 복음을 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입국했지만, 폐쇄적이고 서구 종교에 대해 배타적인 자세 로 일관했던 조선에서 선교는 상당한 어려움을 맞았다. 이러한 입장에 서 19-20세기 서구 개신교 의료선교사들은 조선에 입국하여 병원을 세우고 가난하고 병든 조선 사람들을 치료하고 보살핌으로 조선에서 기독교 형성의 발판을 마련했다. 의료선교는 조선 개신교 형성의 출발 점이 되었으며 신앙 공동체의 모체가 되었다. 또한 조선 사회를 새롭게 변혁시키는 변혁의 주체가 되었다. 의료선교사들은 조선에서의 선교적 헌신을 통해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했으며, 근대 병원 건립을 통해 선진화된 의료기술을 전수했다. 교육의 불모지지였던 조선에 위생교육 을 통해 복음의 접촉점을 마련했다. 나아가 조선간호협의회를 만들어 여성 리더십을 고취시키는 일 등을 마련함으로 조선 개신교 형성과 선교 사역에 지대한 공헌을 하게 되었다.
        8,000원
        2.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한국전쟁이 한국 개신교 교회에 준 영향을 규명하고, 이러한 규명을 바탕으로 한국 개신교 교회의 평화선교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범위는 한국전쟁이 한국 개신교 교회에 준 영향이다. 이 연구의 방법론은 문헌 연구와 메츠(J. B. Metz)의 위험스러운 기억과 역사의 주체로서의 희생자이다. 희생자의 입장에서 한국전쟁의 결과를 제시한다. 한국 개신교가 한국전쟁으로부터 받은 영향으로 교회 재건과 국가 재건, 개신교 교회의 구조와 성격, 개신교와 국가의 관계, 교회분열과 사이비이단 발흥 등을 다룬다. 한국전쟁의 영향을 받은 한국 개신교의 특징으로 친미반공 이데올로기의 보루, 기복적 신앙, 신학적 성찰 없는 교회성장주의, 교회와 국가의 관계, 개신교 우파의 등장과 정치참여, 신학적 영향을 제시한다. 한국 개신교의 평화선교 과제로 죄고백, 회심, 전쟁 기억 치유를 통한 민족화해,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 올바른 한일관계 수립, 희년을 이루는 교회 10년, 베트남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과 사과, 평화신학과 평화선교신학 수립, 평화교육, 민족의 코이노니아, 군축과 평화체제로의 전환 등을 제시한다.
        8,300원
        4.
        200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imism was prevalent among people when Protestant missionaries first came to Korea. Since then, Protestant mission brought in great results among Koreans characterized by worshipping spiritual beings. Therefore, by examining the conversion pattern carefully in the materials written by missionaries as well as Korean Christians, one can easily find the significance of “power encounter”. Korean animists are very conscious of “power,” which is believed to be located in the spiritual beings, i.e. gods, ancestors and ghosts. Korean animists believe that the world is populated with lots of spiritual beings surrounding their environment. They not only have lots of traditions related to spiritual beings, but also serve many spirits in homes as well as in their villages. They are afraid of the spiritual beings and try to have good relationships with them. They also believe that anger or jealousy from the spiritual beings cause their everyday calamities. To overcome the problems, they either have to propitiate the spiritual beings with food or materials or coerce them through more powerful spiritual beings. In this context of spirit worship, the Gospel was very difficult to be accepted wholeheartedly by Korean animists. When they thought about accepting the Gospel, they had to deal with the retaliation from the spiritual beings they had formerly served. To accept Christ, they had to confront those spiritual beings. As soon as they accepted the Gospel, the title of the spiritual beings became negative such as “Satan” or “devil”. So they burnt fetishes like clothes, potteries, papers which were considered as the locations where the spiritual beings reside. Burning those fetishes terrorized lots of people who gathered around. Those who accepted the Gospel through such confrontation initially met persecutions from their family as well as their neighbors. But the early Korean Christians had persevered and ultimately overcame persecutions. Only when the family which had burnt those fetishes survived and ever thrived through the processes did family members confirm that God is more powerful than the spiritual beings. The story of the “power encounter” ran rapidly through relatives and neighbors. These kinds of illustrations of “power encounter” resulted in a paradigm shift among the people. They decided to accept the Gospel and became Christians. In short, “power encounter” engendered “people movement” toward Christ. Missiologist Alan R. Tippett’s thesis, the conversion of the animists are through the power encounter types of evangelism, is firmly proved by examining the Korean animists. As Tippett mentioned through his research among Melanesians and Polynesians that “power encounter” brought about “people movement” toward Christ, so did “power encounter” among Korean animists also result in “people movement” toward Christ. Although the animistic beliefs among Koreans nowadays are reduced in comparison to the period of first Protestant missions, many Koreans still resort to divinations and shamanistic rituals. Even many Buddhists seem to have animistic belief rather than the pure Buddhistic concept or perspective. So to approach the Buddhistic people with the Gospel, one has to be prepared with God’s power rather than with one’s knowledge about Buddhistic philosophy. Lessons we received from the Korean animists’ conversion experiences could be wisely applied when we evangelize the Buddhistic people. However, many cases of syncretism and backsliding to heretical movements are also found in Korean church history. When the process of “power encounter” is neglected or by-passed, chances of falling into such pitfalls are high. Without vivid confrontation with the deities which were served before, they cannot commit wholeheartedly to Christ. They can easily slide back to their traditional beliefs and become victims to heretical movements. To escape such negative influence from traditional belief systems, God’s servants working among animists have to examine carefully not to miss nor by-pass the process of “power encounter”. Also they have to consider carefully how to nurture believers with animistic backgrounds. Without appropriate nurturing, new believers with animistic backgrounds can easily backslide to their traditional beliefs. Upon the Word of God, their animistic perspectives and value systems have to be transformed to fit into the Biblical ones. Korean people were blessed when they accepted the Gospel and became God's people. They realized their mission sincerely and have tried to fulfill the great commission. They tried to be used by God especially for the worldwide evangelization. Even today there are many animists all over the world. For them, Koreans' experiences of turning from animists to God's people, can be utilized strategically. One who is thinking about evangelizing the animists over the world can use the “power encounter“ tactics and become a faithful servant of God. The conversion patterns of the Korean Christians can be used effectively in evangelizing the animists of the world when they get wisdom from early Korean Christians’ experiences.
        9,000원
        5.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arly state of modern architecture, specifically mission architectur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Christianity, and for the goal it deals with the architectural activities of pioneer missionaries. Especially it is a piece in a series of those researches after on Graham Lee, and it is focused on the other representative missionary, R. M. Wilson, A. M. Sharrocks, and C. A. Clark. Although coming in the capacity of a medical doctor or an educator, they should play all kinds of roles, such as carpenters, educators, and officers. For this mission, even they didn't have a professional knowledge for construction, they should carried on to establish mission compounds, only with their experience and informations. In this process they needed to be assisted by Korean carpenters, surely. The architectures born by them-selves are designed with a unique eclectic style compounded with those of Korean traditional and occidental. That is to say, the pioneer missionaries made a profound influence to create a new tradition of modern architecture in Korea, which is called as Korean-occidental eclectic style in the period of transition. Moreover, some pioneer missionary, such as Sharrocks, took a part in education of architectural skills. The educated carpenters seemed to be called from outside, and the unique styles could get spread away. On this point this paper has the meaning to clarify historically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Korean architecture through the survey on their activities, on the contrary of the existed recognition that Korean modern architecture has been evaluated to be imported from outside; therefore having a crevice with the its own architectural tradition.
        4,800원
        6.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Korea disclaimed to open the ports, Korean architecture has met the impetuous transformation. Although there would be various factors of this transformation, the new-coming architecture by missionary seemed to be a significant one, and many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on this theme in diverse viewpoints. However, because these researches have preponderated on the Catholic tradition, it is deficient for clarify the whole history of mission architecture. Therefore, this research has the meaning to enrich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architecture by making balance. First of all,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one missionary, Graham Lee. He is a practical missionary at the beginning, his architecture made a critical influence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Graham Lee was born in Rock Island, Illinois, 1861, and he determined to become a missionary through grown up. He spent his boyhood by working as a plumber for his purpose and studied in a university afterward. Graduating of McComick Theological Seminary, he was nominated as a pioneer of Pyeng Yang Mission Station and set foot in Korea, September of 1892. Since then he started to erect missionary facilities in Pyeng Yang, such as Well House(1898), Pyeng Yang Central Church(1900-1901), Pyeng Yang Academy(1902). These all his works are designed with eclectic style which shows western and Korean traditional style intermingled. This unique characteristic made a profound influence to the Korean mission architecture afterwards. Especially, the L-type plan of Pyeng Yang Central Church, which is first shown by him, is recognized very unique, and this plan type had been spread all over the country. Therefore the L-type plan became the peculiar feature of the early Korean churches. Furthermore, working with Korean carpenters, he taught them new skills of modem buildings. After that, they were expanded out northern part of Korea and took the roles of master builders. According to this expansion, his particular style had got spread and had been settled as a unique eclectic style in Korean modern architecture. In the conclusion, he is evaluated to be a critical pioneer missionary, who left a big influence on the frame work of Korean modern architecture in the transitional times.
        4,600원
        7.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세기에 중국에서 활동한 개신교 선교사들은 가톨릭교회의 선교에 비 해서 그들의 선교가 여러 측면에서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었음을 인식하 였다. 그러므로 그들은 선교현장에서 의도적으로 개신교회가 ‘성서의 종교’ 임을 강조하고, 성서를 번역하는 일에 최우선 순위를 두었으며 성서를 보 급하는 일에 노력하였는데 이는 개신교 선교부의 가톨릭교회와의 차별화 전략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가톨릭교회가 초기에는 ‘선교보호권’(宣敎保 護權)을 중심으로, 1622년부터는 포교성성(布敎聖省)을 중심으로 하여 국 가 및 교황청을 중심으로 하여 아시아 및 중국선교를 수행하였던 것과는 달리 개신교 선교사들은 대체적으로 자발적 선교회 등을 중심으로 하여 국 가 또는 강력한 교회중심체제로부터 벗어나 선교를 수행하였다. 일부의 현 상이나마, 가톨릭교회가 기독교를 선점한 중국에서 그리고 당시 직접적 복 음전도의 자유가 없던 중국에서 개신교 선교사들의 최선의 전략은 성서원 문으로부터의 성서번역과 보급이었으며 이는 종교개혁의 후예로서 자신들 의 정체성과도 일치하는 일이었다. 로버트 모리슨의 번역본을 시작으로 첫 100여년동안 8개의 다른 중국어번역본을 출판한 개신교의 열정이 그들의 성서에 대한 관심을 증거한다. 그러나, 대립되는 성서판본을 출판할 수밖에 없었던 개신교회의 불일치성은 오늘날 진지한 성찰을 요구하기도 한다.
        8.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기독교 선교의 기원에 관해 관심을 갖고 있는 몇몇 개신교 단체들은 최근 올해 2014년을 한국기독교 130주년으로 정하고, 이를 기념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대한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기 전에, 우리는 1) 용어 사용의 문제, 2) 역사관의 중요성, 그리고 3) 첫 번째 선교사에 대한 논쟁 등과 같은 문제들을 주의 깊게 연구해 보아야 한다. 가장먼저 우리는 ‘기독교(Christianity)’의 의미를 고려한 후, 우리가 사용하는 용어가 과연 적절한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기독교란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는 사람들의 모임이나 그 상태’를 의미한다. 그래서 기독교는 로마 카톨릭 교회, 동방정교회, 성공회, 그리고 개신교회를 모두 다 포함하는 매우 포괄적인 용어이다. 만일 한국에서 가장먼저 선교역사가 시작된 천주교의 역사의 시작점인 1784년을 한국기독교의 시작점으로 본다면, 올해는 한국기독교 130주년이 아니라 230주년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만일 올해 2014년도를 한국 기독교 전체가 아닌 개신교 차원에서만 기념하려 한다면, ‘한국기독교 130주년’이 아닌, ‘한국개신교 130주년’이라는 슬로건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들은 역사를 이해함에 있어서 역사관의 중요성에 관해서 반드시 인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한국에서는 한국교회사 혹은 한국선교역사를 연구함에 있어서 크게 ‘선교사 중심의 역사이해’와 ‘한국인 중심의 역사이해’라는 두 개의 역사관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인 중심의 역사이해를 하려는 사람들은 1884년 이전에 주로 중국이나 일본에서 초기 선교사들과의 만남을 통해 개신교 신앙을 접한 초기 한국인들(예를들어, 백홍준의 아버지, 이응찬, 김진기, 서상륜, 서경조, 이수정)에게 관심을 많이 갖고 있다. 물론 이들 한국인들은 한국 개신교 신앙의 개척자들로서 한국개신교 선교를 위해 다방면에서 공헌을 한 점은 인정한다. 그러나 그들이 진정한 기독교인 이었는지, 그리고 한국에 교회를 설립한 것이 맞는지는 의심의 여지가 있다. 바로 이런 점들 때문에 어떤 이들은 한국개신교 역사의 시작은 외국 선교사들의 한국입국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한국에 온 첫 번째 개신교 선교사가 누구인가에 관해서는 여전히 논쟁점들이 존재한다. 찰스 귀츨라프는 1832년에 그리고 로버트 토마스는 1866년에 한국에 처음 도착한 것은 역사적으로 분명한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과연 진정한 선교사였는가에 대해서는 명확한 입장이 아직 정리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들이 한국에 올 때, 서구 제국주의 혹은 식민주의자들과 함께, 그리고 그들의 조력자로 한국에 왔기 때문이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한국 교회사학계와 교회들에서는 1880년대에 한국에 온 선교사들 가운데에서 그 첫번째 선교사를 찾으려고 한다. 한국감리교의 초대 총리사였던 양주삼은 1880년대 한국에 온 선교사들 중에 로버트 매클레이를 첫 번째 개신교선교사로 보고 있다. 왜냐하면 매클레이가 1884년에 고종으로부터 감리교를 포함한 모든 개신교 선교사들의 선교(의료, 교육)에 관해 공식적으로 허락을 받았기 때문이다. 특히 매클레이가 보여준 한국정부와 한국 사람들을 대하는 정중한 태도는 오늘날 한국 개신교회들에게 매우 긍정적인 교훈을 주기 때문에, 우리는 매클레이를 한국에 온 첫 번째 개신교 선교사라고 고려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