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4.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5.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port describes the sex differentiation of the Korean rose bitterling, Rhodeus uyekii, from hatching to 170 days post-hatch (DPH) in relation to total length (TL), body weight (BW), and integral water temperature (IWT). The growth curve of TL from just hatching to 83 DPH was 5.144e0.045t (R² = 0.961; t, time), and that of BW was 2.398e0.086t (R² = 0.725). Primordial germ cells (PGCs) were observed at 17 DPH (7.9 mm TL, 3.74 mg BW, 374°C IWT), and thereafter began to protrude into the peritoneal cavity. At 21 DPH (9.2±0.14 mm TL, 4.8±0.07 mg BW, 462°C IWT), some PGCs contained condensed chromatin and oocyte were observed in meiotic prophase. In contrast to the ovaries, which grew gradually after sexual differentiation, testes began multiplying at 25 DPH (10.1 mm TL, 5.42 mg BW, 550°C IWT), when testicular differentiation was first identified, and multiplied continuously thereafter. At 33 DPH (11.2 mm TL, 10.5 mg BW, 726°C IWT), the developing testes contained spermatogonia that exhibited mitotic activity. No spermatocyte or sperm cell was observed until 83 DPH (18.9 TL, 48.2 mg BW, 1,826°C IWT). At 170 DPH (32.5 mm TL, 270.1 mg BW, 3,740°C IWT), which was the end point of this study, the mature ovaries showed germinal vesicle breakdown, while the mature testes contained observable spermatocytes and sperm cells. These results allow us to identify the sex differentiation type of the Korean rose bitterling as differentiated gonochoristic.
        6.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describ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gonads in chameleon goby, Tridentiger trigonocephalus from the stage of hatching to 100 days after hatching (DAH). Based on histological observation, the primordial germ cells were observed in mesentery between mesonephric duct and gut at 15 DAH (total length, TL: 6.8±0.2 mm). At 20 DAH (TL: 7.9±0.1 mm), the primordial gonad began to protrude into peritoneal cavity and developed between mesonephric duct and gut. Initial ovarian differentiation was identified by the presence of ovarian cavity and oogonia in the gonads at 55 DAH (TL: 21.1±1.3 mm). Testicular differentiation started at 65 DAH (TL: 23.7±0.9 mm) with appearance of spermatogonial cells in the gonad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ex differentiation in T. trigonocephalus occurs earlier in females than males, suggesting that this species can be classified as an undifferentiated gonochorist.
        7.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e gonadal sex management of younger longtooth grouper (Epinephelus bruneus), this work investigated the timing and histological process of ovary differentiation and oocyte development of longtooth grouper larvae and juvenile. Specimens (from 1 to 365 DAH) were collected for gonadal histological study from June 2008 to August 2009. Rearing water temperature was ranged from 20 to . The primordial germ cells could be observed from 10 to 15 DAH, while undifferentiated gonad occurs from 20 to 50 DAH in longtooth grouper. The initial ovarian phase was 60 to 110 DAH with the formation of ovarian cavity and the increased in size of gonad. The ovarian phase started at 140 DAH with appearance of oogonia. The gonad at 365 DAH appeared to have full of oogonia and primary growth stage oocyte. Formation of ovarian cavity indicates that the ovarian differentiation beginning at 60 DAH in longtooth grouper. The gonads in longtooth grouper differentiated directly into ovaries in all fish examined.
        9.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의 성분화 과정을 밝히기 위해 부화 직후부터 250일령까지 생식소의 분화 및 발달을 조사하였다. 원시생식세포는 부화 후 1일(전장: 6.63~6.95 ㎜)에 나타났으며, 부화 후 5일(7.50~9.36 ㎜)에 생식융기를 형성하는 원시생식소 구조를 나타내었다. 부화 후 25일(11.58~13.21 ㎜)에서는 생식소 후단부 한쪽 끝에서 신장된 체세포 돌기가 생식소와 융합되어 작은 난소강이 형성되었다. 부화 후 30일(12.19~13.72 ㎜)에는 생식소 하단부에 정소관 원기가 출현하여 정소의 분화가 시작되었다. 부화 후 50일째 자어(16.28~17.06 ㎜)의 난소내에서는 주변인기 난모세포로 채워지기 시작하였으며, 정소내에서는 정원세포(spermatogonia, SG)의 활발한 증식을 관찰할 수 있었다. 부화 후 250일째 자어(35.49~51.12 ㎜)에서는 난소의 크기가 더욱 커지고 난모세포들로 가득 채워져 있었고, 정원세포의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이상의 결과 눈동자개의 성분화 양상은 자웅이체형 중 분화형이었다.
        10.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웅이체형 어류의 성결정 및 성분화는 일반적으로 각 개체의 유전형을 따른다. 자연환경에서는 자신이 가진 유전정보의 조절에 따라 성분화 시기에 아로마테이즈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거나 감소하고, 그 결과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의 조성이 결정되어 각기 다른 방향으로 성분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산 태생 어류인 조피볼락(Sebasts schlegeli)의 ovarian type aromatase (P450aromA)와 brain type aro
        11.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내분비 교란물질들이 연안 어류의 정상적인 성적 발달을 위협할 수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해산 어종에 대한 이러한 위협을 파악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적절한 시험 어종은 아직 개발되지 못했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성분화 초기에 어류의 생식소가 외형으로나 조직학적으로 암수 구분이 불분명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피 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자연 성비, 생식소 구조, 그리고 외인성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의한 성분화
        12.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어류의 체내에서 성분화를 유도하는 물질이 성스테로이드호르몬(sex steroid hormone)이라는 사실이 잘 밝혀져 있으며, 성스테로이드 생합성 효소의 하나인 aromatase도 성분화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적으로 암컷인 틸라피아 자어(larvae) 집단을 aromatase 저해제(aromatase inhibitor, AI)인 Fadrozole로 침지 처리하여 초기 발생단계 중 어느 시기에 aromatase가
        13.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환경호르몬(내분비계 장애물질)이 하등동물의 생식기 및 생식 기능 이상을 초래한다는 최근보고는 포유동물도 그 영향하에 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2-bromopropane(2-BP)이 생쥐 차산자의 성별에 미치는 영향과 성 분화 과정 중에 발현되는 유전자를 조사하였다. 생쥐를 2-BP로 3주일 동안 주입한 암수를 4종류 조합으로 교배시 킨 후 태어난 새끼들의 성별을 이유시기에 결정하였다. 성관련 유전자들은 수태 후 10일에 어미 생쥐를 희생시켜 RT-PCR
        14.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점농어, Lateolabrax maculatus의 성분화 과정을 밝히기 위해 부화 직후부터 365일령까지 생식소의 분화 및 발달을 조사하였다. 원시생식세포와 생식융기는 부화 후 30일령(전장: 11.7~13.2 mm)에 나타났으며,40일령 자어(12.5~14.0 mm)에서 서로 융합되어 미분화 생식소를 형성하였다. 60일령 치어(23.6~27.0 mm)에서는 생식소 양쪽 끝의 체세포조직이 분열ㆍ신장되어 난소의 분화가 개시되었고, 80일령 치어(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