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서식 환경에 따라 구분된 3화기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 Drury)을 숙주로 하는 기생파리의 종과 기생률의 차이를 확인했다. 조사 기간은 2023년 10월 24일부터 29일까지로, 방제를 실시한 서천군 국립생태 원과 방제를 실시하지 않은 군산시 근린공원에서 숙주인 미국흰불나방의 유충을 채집하였다. 유충은 기주식물 인 수국을 급여하여 실내 개별 사육하였다. 각 조사지에서 미국흰불나방의 기주식물은 국립생태원에서 8종, 근린공원에서 6종이 확인되었다. 총 숙주 380마리 중 기생파리는 106개체로 총 27.9%의 기생률을 보였고(유충 92개체, 미동정 알 14개체), 기생률은 근린공원이(39.6%) 국립생태원(12.5%)보다 더 높았다. 성충의 우화율은 63.0%로, 동정 결과 4속 92개체가 나타났다. 전체 종과 가장 많은 개체가 확인된 Exorista japonica (Townsend, 1909)의 조사지에 따른 유충 생존율과 성충 우화율은 모두 근린공원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조사결과 E. japonica가 미국흰불나방의 생물적 방제제로 유효할 것이라 판단되며, 근린공원에서의 더 높은 기생파리 유충 생존율과 성충 우화율을 통해 인간에 의한 교란이 적은 환경에서 기생파리를 이용한 미국흰불나방 방제가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고려된다. 또한 숙주의 생존율과 기생파리의 우화율을 비교한 결과 해충 방제가 이뤄지지 않는 환경에서 천적 개체군이 유지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사료 된다.
        6.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rphology of antennal sensilla and their distribution were investigated in male and female adults of Gymnosoma rotundatum, a parasitic fly to hemipteran specie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overall length of antenna was not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Antenna of G. rotundatum was composed of scape, pedicel and funiculus in both sexes. Three types of sensilla (sensillum basiconica, s. chaetica and s. coeloconica) were identified from both sexes, in varying numbers and distribution along the antennae. The two sensillum types were further divided into different subtypes; s. basiconica into three subtypes and s. chaetica into two subtypes. Among sensilla, s. basiconica subtype 1, 2 and 3 were multiporous, indicating that the ir primary function is olfactory, and others were not. The s. basiconica was most numerous on the antennae in both sexes. The number of subtype 1 of s. basiconica was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The morphological information obtained in our study provides a basis for electrophysiological and behavioral studies of the olfactory sensory function of each morphological type of sensilla. (Supported by PJ011756022018, RDA)
        7.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멸강나방 (Mythimna separata) 유충 및 번데기로부터 채집한 긴등기생파리의 알부터 성충우화까지 발육 기간을 담배거세미나방 (Spodoptera litura) 5∼6령 유충을 숙주 곤충으로 하여 7개 항온조건 (16, 19, 22, 25, 28, 31, 34±1℃)에서 조사하였다. 알부터 번데기까지 발육 기간을 보면 16℃ (23.4일)에서 가장 길었고 34℃ (8.3일)에서 가장 짧았으나, 번데기부터 성충까지 발육기간은 28℃ (7.3일)에서 가장 짧았다. 선형 발육율 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한 알부터 성충우화 까지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7.8℃, 370.4DD였다. 4개 비선형 발육율 모델 (Briere 1, Lactin 2, Logan 6, Performance) 중에서는 Briere 1 모델 ( = 0.96)이 가장 높은 해석력을 보여주었다. 동일 연령 집단의 발육완료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3개 모델 (2-parameter Weibull, 3-parameter-Weibull, Sigmoid)은 모두 같은 결정력 ( = 0.90)을 보였다.
        8.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몇 가지 살충제에 대한 독성을 썩덩나무노린재를 대상으로 단감원에서 잔효독성으로 검증하였고 끈끈이 트랩에 유인된 뚱보기생파리 성충 을 대상으로 직접분무처리 방식으로 검증하였다. 썩덩나무노린재는 흑색유아등으로 채집하였고 뚱보기생파리 성충은 갈색날개노린재 집합페로 몬인 methyl-(E,E,Z)-2,4,6-decatrienoate을 사용해서 끈끈이트랩으로 포획하였다. 비펜트린수화제, 뷰프로페진・디노테퓨란수화제, 클로티아 니딘액상수화제, 디노테퓨란수화제, 티아메톡삼입상수화제 등 5종의 살충제 중에서 비펜트린수화제가 72시간 케이지 내 잔효독성 검정결과 썩 덩나무노린재에 대해 93.1%의 사충율을 나타내었고 여타 살충제들은 다양한 사충율을 보였다. 뚱보기생파리에 대한 사충율은 55.3~74.3%이 었다.
        3,000원
        9.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뚱보기생파리는 노린재과(Pentatomidae)에 속하는 해충에 기생하는 천적으로서 갈색날개노린재(Plautia stali)의 집합페로몬(methyl (E,E,Z)-2,4,6- decatrienoate)에 유인된다. 이 페로몬을 이용하여 뚱보기생파리의 발생패턴을 2009년부터 2012년까지 4년간 수행하였다. 매년 4월부터 11월 초까지 경남 진주의 단감원과 경상대학교 캠퍼스에 페로몬을 부착한 황색 끈끈이 덫을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2011년과 2012년에 트랩에 유인된 뚱보기생파리의 암컷은 난소 크기를 측정하고 난소 내의 성숙란 수를 조사하였다. 뚱보기생파리는 4월부터 10월까지 꾸준히 유인되었으며, 발생최성기가 뚜렷하지는 않았지만 5월말, 7월초, 9월초 등 연 3회 정도 많이 발생하는 시기가 있었다. 이 페로몬에는 뚱보기생파리의 암컷과 수컷이 동시에 유인되는데, 암수의 성비에 따른 발생량이나 발생패턴의 차이는 없었지만 발생 밀도가 점차 낮아지는 10월 이후에는 수컷이 더 많이 유인되는 경향이었다. 난소 크기나 성숙란의 수는 시기에 따른 차이보다는 개체별 편차가 컸고, 발생이 시작하는 4월과 발생 밀도가 낮아지는 11월까지도 성숙란을 보유하고 있어 연중 내내 성숙란을 갖고 있는 특징이 있었다. 해에 따라 발생량 차이가 커서 연간 세대 수 추정에 어려움이 있다.
        10.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process of revising the tachinid subgenus Linnaemya Robineau-Desvoidy of South Korea, three species are recognized as new to the country: Linnaemya pallidohirta Chao, L. scutellaris (Malloch) and L. lateralis (Townsend). They belong to the oralis species group of the subgenus. L. scutellaris (Malloch) and L. lateralis very closely resemble each other so that they need to be identified with caution. We here provide detailed re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with their diagnostic characters indicated.
        11.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process of revising the tachinid genus Linnaemya Robineau-Desvoidy in Korea, we have discovered two speci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y closely resemble each other and need to be identified with caution. We here provide detailed re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with their diagnostic characters indicated. L. atriventris can be distinguished from L. hirtipennis by the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abdomen black in ground color; 2) wing vein R1 without setulose; 3) hypandrium without secondary posterior lobe; 4) male with antero-basal 1/3 of flagellomere I distinctly swollen; and 5) postgonite very weakly curved dorsally.
        12.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Linnaemya Robineau-Desvoidy (Diptera: Tachinidae: Linnaemya) is one of the largest genera of the subfamily Tachininae including 149 recognized species worldwide. We reviewed Korean species of the subgenus Ophina belonging to the genus Linnaemya. As a result, we recognized three species, L.(Ophina) microchaetopsis Shima, L.(Ophina). picta (Meigen) and L.(Ophina) zachvatkini Zimin. Among them, the latter two specie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They belong to the haemorrhoidalis species group of the subgenus Ophina. We provide a generic key,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the species.
        13.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innaemya Robineau-Desvoidy (Diptera, Tachinidae) is one of the largest genera of the subfamily Tachininae with more than 149 described species in the world. In Korea, only three species have been known to date. In this study, the genus Linnaemya in Korea was reviewed. All available material was examined to identify the species of the genus. Based on the present study, we described a new species. Also ten specie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L. comta, takanoi, tessellans, ambigua, kanoi, zachvatkini, picta, pallidohirta, scutellaris, and lateralis. We provide a generic key, illustrations, and photos of the species of the genus. A phylogenetic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infer interspecific relationships among Korean Linnaemya species using a software, PAUP, with an outgroup Lypha dub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