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eding and nutritional status of enteral tube-fed elderly patients. Subjects included 77 elderly hospitalized patients who had received enteral nutrition more than one week before admission. Medical records on admission and actual feeding volume were used to assess anthropometric, biochemical, and nutritional status. Most patients manifested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93.5%) and the average duration of tube feeding was 13.9 months. The average feeding volume of formula was 1,107 mL per day and the mean ratios of calorie and protein (supplied vs. required) were 81.7% and 80.9%, respectively. At admission, 57.4% of the patients were malnourished according to the institutional criteria. Patients receiving less than 80% of the required calories were in worse nutritional status compared with those receiving more than 80% of the required calories. Body mass index, percent ideal body weight, serum albumin level and blood lipid levels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receiving less than 80% of the required calories. These results indicate the high prevalence of malnutrition and the need for increased attention and nutritional care of elderly patients undergoing long-term enteral nutrition.
        4,000원
        2.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field application and performance of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CRCP), constructed by using the mechanical tube-feeding method, are evaluated in this study. METHODS: The location of the rebar was evaluated by using the MIRA system. The early-age CRCP performance was evaluated via visual survey, in which the crack spacing and crack width were examined. RESULTS: The location of longitudinal reinforcing bars was evaluated via MIRA testing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ongitudinal rebars all lie within a given tolerance limit (±2.5 cm) of the target elevation. In addition, owing to the low temperature when the concrete was pured, the crack spacing in the Dae-Gu direction is slightly wider than that of the Gwang-Ju direction. Almost all of the crack spacings lay within the range of 1.0 m~3.0 m. A crack width of <0.3 mm was measured at the pavement surface. However, as revealed by the field survey, the crack spacing was not correlated with the crack width. CONCLUSIONS : In CRCP constructed by using the mechanical tube-feeding method, almost all of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bars lay within the tolerance limit (2.5 cm) of the target elevation. The concrete-placing temperature affects the crack spacing, owing to variations in the zero-stress temperature. Crack survey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crack spacing and crack width in CRCP.
        4,000원
        3.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임상 작업치료사들이 간헐적 구강식도관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준에 대한 근 거자료를 제공하고, 간헐적 구강식도관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간헐적 구강식도관 적용이 의뢰된 자 57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사가 간헐적 구강식도관을 적 용하였다. 의무기록 열람을 통해 대상자들의 특징을 조사하였고, 인지 기능 평가를 위해 한국형 간이 정 신상태 검사(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를 시행하였다. 훈련을 통해 간헐적 구강식도관 적용을 성공한 군과 실패한 군으로 나누어 두 군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결과 : 57명 중 45명(78.9%)은 간헐적 구강식도관을 적용하였으나, 12명(21.1%)은 간헐적 구강식도관 적 용을 실패하여 영양 섭취 방법을 변경하지 않았다. 실패 원인으로는 인지 저하 4명 (33.3%), 적용 방법에 대한 거부 3명(25.0%), 구역 반사 3명(25.0%), 폐렴 2명(16.7%)순으로 조사되었다. K-MMSE 점수에 서 간헐적 구강식도관 적용을 성공한 군의 점수가 실패한 군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각 군의 평균 연령, 발병일로부터 연하재활치료 시작일까지의 평균 기간, 발병일로부터 간헐적 구강식도관 훈련일까지의 평균 기간, 연하재활치료 시작일부터 간헐적 구강식도관 훈련일까지의 평균 기간, 간헐적 구강식 도관 훈련 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간헐적 구강식도관 적용은 처치 방법과 관리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들은 환자 및 보호자가 동의하였을 경우 실시가능하다. 또한, 인지 기능과 구역 반사가 간헐적 구강식도관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환자에게는 과도기적 영양 지원 방법으로 뿐만 아니라 치료적 목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폐렴, 역류 등이 의심되는 경우 적용을 제한할 것을 권고하고 장기간 안전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환자 및 보호자의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4,300원
        4.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비구강 영양법인 구강식도관의 사용법을 알아보고 구강식도관을 적용하였을 때 합병증이 발생하 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강식도관의 잦은 삽관과 제거가 구강 인두의 점막과 구조에 손상을 일으켜 삼킴 기능 및 식이 진행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A병원에 입원하여 삼킴장애 진단을 받은 환자 중 구강식도관 영양법이 가능한 31명을 대상 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선정 기준은 1) 발병 후 3개월 미만의 삼킴장애 환자로 생태 징후가 안정되어 고식적인 연 하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2) 비구강 영양 공급을 시행하고 있는 경우, 3) 구강식도관의 영양법을 인식하고 영 양관 사용에 참여가 가능할 정도의 지시 따르기가 가능한 경우, 4) 연구 참여를 동의한 경우로 하였다. 의무기록을 통해 구강식도관의 적용 전후에 생기는 합병증을 조사하였고, 식이 단계 변화를 통해 구강식도관 사용 전후 삼키 는 능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 우구강식도관 사용 기간은 30.71±51.78일 이었으며 대상자는 뇌손상(64.52%), 두경부암(19.35%), 파킨 슨과 경추손상(16.13%) 등으로 다양한 질환군에서 사용이 가능하였다. 구강식도관 사용 후 나타난 합병증은 2명 (6.46%)으로 1) 구강식도관 적용 전 비위관 사용시 폐렴, 설사, 출혈 등이 나타났던 8명(25.82%)보다 현저히 낮 은 발생율을 보였다. 또한 2) 구강식도관의 반복적인 삽입이 구강점막과 구강인두, 기도 등에 기계적인 손상을 주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식도관 적용 후에 식이단계의 변화에도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1) 초기 삼킴장애 환자에게 비구강 영양법을 시행할 경우 비위관을 사용했을 때 보다 구강 식도관을 사용했을 때 합병증의 발생율이 저하되었다. 2) 구강식도관의 적용 시 기도와 구강인두부위에 반복되는 기계적 자극으로 인한 손상은 없었고, 비위관을 대체하는 관영양법으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삼킴장애 환 자에게 구강식도관을 적용하였을 때 삼킴 기능의 호전을 보였다.
        4,200원
        5.
        198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teridium sp.의 농축추출액(濃縮抽出液)을 흰쥐에게 7주간(週間) 주입(注入)하여 혈청지질(血淸脂質)과 지질과산물(脂質過酸物) 및 간조직지질과산물(肝組織脂質過酸化物)의 변화(變化)를 분석(分析)하여 다음의 결과(結果)를 득(得)했다. 7주(週)의 혈청중성지방양(血淸中性脂肪量)은 비교군(比較群)이나, 제(第)3주(週)의 1, 2 군(群)의 그것보다 크게 많이 증가(增加)했다. 혈청체난지방(血淸遞難脂肪) 및 혈청주산화물(血淸週酸化物)(T-BA 치(値))양(量)은 각군별(各群別) 및 3주(週), 7주(週) 연령간(年令間)에 별(別) 변화차(變化差)가 없었다. 간조치(肝組熾)의 지질주산화물(脂質週酸化物)(TBA) 7주연령(週年令)이 3주(週)에 비(比)하여 크게 증가(增加)하였다. 단(但), 1, 2 군간(群間)의 차(差)는 크지 않았다. 여기서 이 추출물(抽出物) 또는 그 식품(食品)의 섭취(攝取)가 주량(週量)으로 장기간(長期間) 계속되지 않는 한(限) 생체(生體)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사료(思料)됨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