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대학생의 시각기능을 설문 조사를 통해 평가하여 시력교정 상태에 따른 시각기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19년 3월부터 5월까지 안질환이 없는 대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시각기능(시력관련 삶의 질)을 한국 어판 미국 국립안연구센터 시각기능 설문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착용목적에 따른 시각기능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대학생의 시각기능 총점은 시력교정이 불필요한 군이 94.1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미교정 군은 85.33 점으로 낮았다. 시력교정이 불필요한 군은 VFQ-25의 모든 문항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시력 미교정 군은 전반적 건강, 전반적 시력, 눈 통증, 근거리 시력, 원거리 시력에서 다른 군에 비해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시력교정이 불필요한 군은 VFQ-13 문항에서 점수가 높았고, 시력 미교정 군은 근거리 시력과 역할의 제한을 제 외한 모든 문항에서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결론 : 대학생의 시력교정 상태에 따른 시각기능을 확인한 결과, 미교정 상태 군의 시각기능은 다른 군에 비해 낮았으며, 특히 전반적 건강과 전반적 시력이 많이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미교정 상태가 시력관련 삶의 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운전에 필요한 외부 정보를 얻기 위한 감각 중 가장 중요한 감각은 시각으로써, 시각은 운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주행 중 충돌사고와 시기능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운전면허 취득을 위해서 필수적인 검사가 시력임에도 불구하고, 저하된 시기능이 사고를 더 일으키는지에 대한 부분은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에 진행된 연구의 내용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시기능과 운전과의 관계에 있어서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에 대하여 전체적인 개요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4,300원
        3.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안 중 기능변에서 주도권올 갖는 이안(利眼)과 시기능과의 관계훌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은 성인 남녀 169명을 대상으로 문진표률 이용하여 이수와 이족이 어느 정 도 이안과 일치 하는지를 비교 하였고, 이안 검출방법의 한가지언 폭주근점 측정시의 비개산 되는 이안과 접안렌즈에 접안하는 이안이 서로 얼치하는지 비교하였다. 또한, -2.ooD 이상의 굴절이상올 가진 성인남녀 100명올 대상으로 과거 1 년 -6개월전의 처 방과 현재의 처방올 비교하여 이안과 시기능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Hole in the card test로 정해진 이안은 이수, 이족과 거의 일치(오른쪽)하였고, 폭주근점 측정 시 비이안이 개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접안렌즈에 대는 눈은 거의 이안이었다. 양안의 시력 변화를 비교했을 때 이안의 경우가 나안 시력이 낮았으며, 시력 저하 폭 과 난시도수도 이안이 높았다.
        4,000원
        4.
        202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ittlemore (2015) claims that metonymy can perform a wide range of communicative functions in different forms and modes of expressions. This paper examines the visual metonymies observed in Green Book, the 2019 Best Picture Oscar Academy Award-winner, elucidating how the movie integrates its narrative with visual metonymy to express abstract and profound themes. Exploring various types of visual metonymy utilized in this movie, this paper reveals how the visual metonymy contributes to the communication effect of a movie. The paper also demonstrates that analysis of visual metonymy in movies enriches the current research on both visual metonymy and movi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