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한·중 감각어 중 하나인 시각어에 대한 원형 의미와 의미 확장 그리고 특 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중 한국어의 시각어 중 토박이말을 대상으로 주요 시 각 동사와 시각 형용사를 살펴보고, 이에 상응하는 중국어의 시각 동사와 시각 형용 사를 살펴보고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어의 주요 시각 동사로는 ‘보다’를, 시각 형용사로는 ‘밝다·어둡다, 희다·검다·붉다·푸르다·누르다’를, 이에 대한 중국어의 시각 동사는 ‘看’을, 시각 형용사는 ‘亮, 暗, 白, 黑, 红, 蓝, 黄’을 살펴보고 비교 분석 하고 자한다.
인도의 토착신 나가는 중국에 전해지면서 용으로 번역되고, 기존의 용과 결합되면서 불교 미술에 표현이 됐다. 실제 존재하는 생명인 인도의 나가는 중국과 동북아시아에서 재현되지 않았다. 동남아에서 나가는 토착신으로서의 뱀 신앙에 더해져 다양하게 변모되었고, 힌두교 신화 속의 나가와 토착신 나가가 융합하기도 했다. 나가는 물과 관련이 깊어서 화재나 수재 (水災)를 막기 위한 비보(裨補)를 목적으로 건물에 조각됐다. 중국과 동남아의 건축물에 용 과 나가가 표현된 것은 같은 맥락에서, 같은 속성을 지닌 영험한 존재로 받아들여졌음을 의 미한다. 동남아시아의 나가와 중국의 용은 물과 관련된 속성, 인간에게 위협적인 반신(半神) 과 같은 존재, 종교와 신화의 세계에서 하급 신격(神格)으로 간주되는 공통점이 있다.
본 논문은 창의적 시각발상 프로세스에서 컨셉을 시각화하는 과정에서 언어의 자극이 주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다. 피실험자들에게 게임 디자인 발상을 위한 컨셉과 함께 발상을 도와주는 연관검색어를 제공하였다. 컨셉에서 단어 들을 뽑아 구글에서 검색했는데, 특별히 원더힐을 이용하여 5단계까지의 연관 검색어들을 제공하여 아이디어를 전개 하도록 했다. 구글의 연관 검색어는 집단지성이라는 철학이 숨어 있다. 다수의 사람들의 기여와 공헌이 모여 새로운 지식과 정보가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지식과 정보는 계속해서 갱신되고 새로운 가치가 부여되기도 한다. 즉 변 화하지 않는 정보와 지식이 아닌 사람들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단어들을 시각 아이디어 발상에 제공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실험결과 전체적으로 여러 단계의 연관검색어들을 사용했으며, 주어진 컨셉과 연관성이 높은 단어들이 연관성이 적은 단어들 보다 많이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2) 연관검색어를 제공한 경우와 제공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해 보았을 때 연관 검색어를 제공하는 것이 특별히 아이디어의 완성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완성도가 높은 결과물에서는 상위 단계의 검색어 즉 컨셉과 연관성이 높은 단어들을 하위 단계의 검색어보다 많이 사용하는 중요한 특징을 볼 수 있다. 4) 여러 개의 연관검색어들을 사용한 결과들을 분석해 보니 복수의 연관검색어의 사용은 의미 있는 결과들과 연관 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5)복수 검색어와 의미 있는 결과를 조사한 결과 같은 단계의 검색어들을 사용하기 보다는 상위와 하위 단계의 검색어들을 함께 사용하는 주요한 특징을 볼 수 있다. 결국 시각 아이디어 발상에 있어서 연관검색어의 제공이 아이디어 발상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복수 연관 검색어의 사용과 상위 단계의 연관 검색어가 발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We cannot imagine textbooks without visual image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What are their roles and fuctions in language teaching? Are they simple decorations for just visual effects? Or are they presented to facilitate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sion? To answer to these questions,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se the relations between visual images and texts i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based on communicative approach, and to argue that visual images are means of conveying their own autonomous meanings.
교과서는 시대적 이념과 가치를 반영하고 있는 공식적인 지식 전달의 매체이다. 학습자는 교과목에 대한 첫 이미지를 교과서의 표지를 통해서 갖는다. 교과서 표지는 교과목에 대한 인지가 시작되는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충분히 연구되어 오지 않았다. 초등학교 국어과는 언어 학습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고 더불어 창의적 사고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기초 교과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초등 국어교과서 표지의 시각이미지에 대한 조형성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국내 초등 국어교과서 표지 디자인의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국내외 초등 국어교과서 표지의 시각이미지를 시각적 ⋅상관적 요소의 6가지 항목인 형상, 크기, 색채, 방향, 레이아웃, 배경으로 분석한 결과, 국내의 경우, 단일한 메인 오브제를 강조하고 제한된 색채를 적용하여 시각적 아이덴티티를 분명하게 만들어야 한다. 학습자의 창의력을 유발하기 위하여직 접적인 그래픽 모티브와 구체적인 공간과 상황의 묘사보다는 추상적 발상에 근거하여 시각이미지가 구성되어야 한다.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와 동시다발적인 인터넷 사용, 급속도로 발전하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라 이미지의 상대적 파급력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지식과 정보의 시각적 표현과 함께 시각언어를 생산하고 구축하는 시각디자이너 역량강화에도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 정보의 홍수 속에서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시대에 맞는 소통방법이 시각언어임을 밝히고 창의적이며 유연한 사고확산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VCD(Visual Communication Design)교육 방법론을 콘셉트 매트릭스 활용으로 논의하였다. VCD교육과 시각언어, 콘셉트 매트릭스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그 의미와 가치를 탐색하고 콘셉트 매트릭스를 활용한 해외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정신교육, 문제해결기반교육, 협업교육, 실무중심형 교육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여줌을 알 수 있었으며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시각언어를 기반으로 둔 VCD교육은 일반교육이 아닌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철학의 콘셉트를 정확히 설계하여야 한다. 둘째, 양적인 교육 성과만을 지표로 삼는 것보다 질적인 면에서 전문교육이 진행되어야 함으로써 관련 전문가와 교육자로서의 역량 강화도 필요하다. 셋째, 체계적인 단계의 장기 계획을 세우고, 기초부터 심화까지 실무중심형 단계별 학습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급속도로 발전하는 미디어 환경에 맞추어 기술이 결합한 시각언어의 디지털 콘텐츠 교육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시각언어를 기반으로 둔 VCD교육에 있어 콘셉트 매트릭스가 활용되어 지속가능형의 실질적인 디자인교육 실체화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가속화되는 미디어의 확장과 데이터, 정보, 지식의 홍수 속에서 급변하는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시대에 맞는 소통방법인 시각언어의 중요성을 인식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시대에 맞는 시각언어의 생산이 요구되는 시점에 미래지향적 부가가치의 핵심인 시각언어의 디자인적 생산에 대한 효용성을 논의하였다. 시각언어의 사회적 역할과 특성, 표현방법을 살펴본 후 디자인적 생산성의 개념을 정의하여 생산 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 결정론적 디자인적 생산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인포그래픽을 통해 디자인적 생산을 시도한 기업 사례를 살펴보았다. 디자인적 생산에 기반을 둔 시각적 표현은 직접적인 표현방식에서 벗어난 또 다른 의미와의 연계성,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인 것으로 대체해 주며 표현의 발전적 방법론을 콘셉트에 맞춰 효과적으로 제시해 준다. 시각언어의 요소를 파악하고 연상적·정서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인지적 접근이 요구되며 수용자의 입장에서 논리적인 핵심기능과 정보를 시각언어로써 접근해야 한다. 이 같은 내용에 따라 새로운 창조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적극적인 시각언어 생산이 필요하며 시각언어가 디자인의 시각적 아름다움으로써의 생산이 아닌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의미생산에 초점을 두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find processes for developing the design language for the visual notes and design meaning of street furniture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esign language implies to get how to represent condensed symbols of the street furnitures. 2) The configuration of the street furnitures has their visual note and design meaning of community identity, represented their own detail design languages. 3) The detail design languages are useful to solve the matters of what design elements of the street furnitures can be composed of the visual notes and design meaning. 4) The detail design languages can be applied to the pattern of tools of Microsoft Office 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