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리학자가 아니라 철학자로서 장소를 다룬 말파스(Jeff Malpas) 의 관점과 중국 도가(道家)의 고전인 『장자(莊子)』의 관점을 토대로 장소와 존재의 근거, 구별, 중첩을 탐구하였다. 장소와 공간은 고대부터 다양하게 논의 되어 왔다. 1970년대 들어 인본주의 지리학자를 중심으로 장소를 공간과 분리 하여 논하기 시작하면서, 장소는 의미 없는 영역인 공간과 달리 인간이 중심이고, 경험과 애착이 더하여진 곳으로 언급되었다. 말파스는 하이데거의 장소 존재론을 확장하여 논의하며, 인간 존재가 근거할 수 있는 것으로 장소를 보았다. 『장자』의 호접지몽(胡蝶之夢)에서 ‘나비’이게 하고 ‘장주’이게 하는 것은 각각의 장소에서 가능하다. 이는 “장소가 주관성 위에 확립되는 것이 아니라 주관성이 장소 위에서 확립되는 것”이라는 말파스의 주장과 통한다. 더불어 하이데거가 주장한 ‘존재’가 그 자신을 열어 밝히기 위해(to disclose) 필요로 하는 그 장소(stätte)로서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말과도 통한다. 반면 고대 중국의 사유에서 중국인들은 인간과 분리된 존재를 상정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들에게 장소는 인간 존재의 근거가 된다. 장소 존재론을 근거로 생각하면, 각각의 장소에 각각의 존재가 들어서며 구별이 생긴다. 이러한 예는 『장자』 곳곳에서 발견된다. 붕정만리(鵬程萬里)와 관련한 대붕과 매미, 지어지락 (知魚之樂)을 논하는 장자와 혜자 등. 주체의 존재는 복잡한 형태의 공간성의 존재와 ‘동시적’이다. 그리고 객관성의 파악은 공간성의 파악을 요구한다. 이 것은 ‘나비’와 ‘장주’의 장소를 넘어, 이를 인식하고 있는 화자인 ‘나’, 간과 쓸개의 장소를 넘어 있는 ‘관찰자’, 초나라와 월나라의 경계를 뛰어 넘어 있는 ‘관찰자’를 상정할 수 있다. 이것은 분별을 넘어선 또 다른 장소이다. 그래서 내가 자신을 발견하는 장소에 관해 얼마나 폭넓게 생각하는지에 따라 현재 위치에서 다양한 위치들의 상관된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조 릉지번(雕陵之樊)에 나오는 숲 주인, 장자, 새, 사마귀, 매미는 각자의 장소에 있고, 이 장소의 연결 고리는 계속 더 이어질 수 있고, 어쩌면 이러한 중첩은 무한할지도 모른다. 이러한 장소의 중첩은 각자 자신만의 장소를 근거로 분쟁을 유발할 수 있다. 바로 이 지점이 장자와 말파스가 비판 받는 지점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들의 역할은 여기까지이다. 이상의 장자와 말파스의 장소에 대한 논의를 통해, 각자 자신의 장소에 위치하여 세상을 논하고, 그러기에 장소는 존재의 근거가 되고, 장소에 따라 존재가 구별되며, 각각의 장소의 중첩 속에 많은 가치 판단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정리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이제 이러한 것을 어떻게 적용시켜 우리가 사는 이곳을 보다 나은 세상으로 만들 것인가에 대한 실천적 문제는 우리 모두에게 과제로 던져졌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lothes worn by the Zhuang in order to produce new fashion designs, and to propose diverse new directions in fashion design.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bibliographic survey on the cultur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relevant techniques of the Zhuang costume and that of minority races in China. This study deploys four styles of design for women’s wear. With the inspiration of the traditional Zhuang costume, black and blue were the colors mainly used for the Zhuang people and the material was mostly denim. Denim blends in well for the contemporary facilitation of the Zhuang costume, which is known for knitting technique, fur and hemp fabric as patchwork, and embroidery works. It is appropriate to express the joyful and happy mind of Zhuang people with extraordinary colors, exaggerated silhouettes, and various decorations. Images of nature, such as the sun, mountains, rivers, water, fish etc., expressed the nature worship of the Zhuang in contemporary design, representing the simple life and peaceful mind. This research develops a new fashion design and displays the possibility for diverse design development through new insight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Based on the reference achievement scholars before, combined with the actual survey results on Nom Tay documents currently stored in Institute of Sino-Nom Studies, conducted article comparing other cases face each other and are similar in structure between the written word: Nom of the Kinh and Tay ethnic group in Vietnam with the letter of the Zhuang ethnic blocks (Guangxi, China). This indicates that, basically 3 types of this writing there are a lot of similarities in terms of composition, the differences are very small and specific characteristics. This sector should be studied in depth and hopefully more will have interesting results in the future.
Rather than being representations of a single graphic community at one particular time or place, Zhuang traditional manuscripts often show signs of internal dialect variation, as well readings derived from different historical strata of Chinese. Readings from different historical strata are discussed at some length in the author’s recent Mapping the Old Zhuang Character Script (Brill, 2013) and ‘A Layer of Old Chinese Readings in Traditional Zhuang Manuscripts’ (BMFEA 2015). In this article, I propose to look specifically at internal dialect variation. By internal dialect variation I mean that the characters or vernacular graphs used to represent the words in the recitation of a text show signs of having come from other localities and other dialects. I demonstrate that this phenomenon is related to the migration of Zhuang populations and social strata, as well as the circulation of texts, and can often be shown to correlate with known historical events which precipitated the movement of peoples. Furthermore, traditional texts provide evidence of hitherto unsuspected population movements, both upstream and downstream and further afield. I use a specific text as an example here: the Hanvueng scripture, for which Professor Meng Yuanyao and I have recently published a critical edition (Hanvueng: The Goose King and the Ancestral King, Brill, 2015).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discussion is that the internal analysis of vernacular texts can be used as a tool for reconstructing the history of Zhuang communities.
본고는 老莊의 生死觀을 고찰하여 민요에 수용되어 있는 한국인의 生死觀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 민요의 주제 중 ‘生死’는 사 실상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老莊의 生死观역시 많은 곳에 서 주요 테마로 곧장 활용되는데, 그 빈도와 역할에서 儒家의 生死观 을 훨씬 넘어선다. 왜냐하면 삶과 죽음에 대한 비애와 공포를 문학적 으로 극복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대자연 속에 귀 의하여 生死를 초월하고자 하는 老莊의 정통적인 生死觀이기 때문이 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의 민요를 ‘不死志向形’과 ‘生死脫俗形’이란 두 개의 패러다임을 기준으로 다양한 실례를 들어 고찰하였다. 老莊의 生死观은 老子의 ‘死而不亡’과 莊子의 ‘死生一體’로 집약할 수 있다. 이것은 ‘死而不朽’를 추구하는 儒家의 입장과는 차이를 나타 낸다. 그러나 전자와 후자는 육체의 죽음을 인정하면서도 정신적인 영원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만약 죽은 뒤 다시 태어남 을 강조하는 佛敎와 기독교의 生死观을 ‘死後新生’이라 한다면, 儒家 와 老莊의 生死观은 모두 ‘死而不亡’ 또는 ‘死而不朽’형으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老子가 말하는 ‘摄生을 잘하는 자’와 莊子가 추구했던 ‘至人’의 ‘生 死를 초월하는 형상’은 정신적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신화적 비유였 지만, 道敎에서는 이를 육체적인 측면으로 생각하여 여러 가지로 죽 지 않는 법들을 탐구했다. 결과 老子의 生死观은 ‘不死志向形’으로 변 형되는데 반하여, 老莊의 生死观을 준수하는 ‘生死脫俗形’ 유형은 산 수자연을 道의 구현체로 보고 그곳으로 귀의하여 노니는 것으로 전 개된다. 後者를 老莊의 정통적인 生死观으로 부른다면, 前者를 老莊 의 生死观의 변형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