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두채(斗彩) 기법을 매개로 하여 유기동물 주제를 도자 조형으로 시각화하는 방법을 분석하였다. 먼저 유기동물 의 개념과 발생 현황 및 정책 동향을 정리하고, 동물 형상이 지닌 상징성과 예술적 기능을 검토하였다. 이어 명대와 청대에 정립된 두채의 공정인 청화 선묘, 고온 소성, 저온 채색 재소성 과 조형적 특성을 정리한 뒤, 이를 현대 직품 창작의 맥락에서 확장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유기동물이 돌봄 체계 밖에서 환경 위험과 보호소 수용 한계를 드러내며, 유기라는 행위를 통해 사회적 책임 윤리를 환기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방법적으로는 문헌 및 정책 자료 검토와 함께, 연구자 작품을 포함한 사례에 대해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형식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두채는 선과 색이 중층적으로 결합되어 입체감과 서정성을 부여하며, 동물 형상의 생명성과 윤리적 의미를 설득력 있게 드러내는 데 유효한 조형 표현 언어로 확인되었다. 또한 연 구자 작품 분석을 통하여 두채가 장식과 형태를 분리하지 않는 복합 미감을 구현하고, 사회적 이슈인 유기, 공존 윤리 등의 사 회적 이슈를 공론화하는 연결 통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전통 기법인 두채 기법을 동시대 주제와 연결 하는 구체적 적용 사례로서, 설치미술 등 파생 영역으로의 활 용 가능성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유기동물 문제의 사회적 의 미를 도자 조형으로 시각화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두채 기법의 현대적 확장 방향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향후에는 작품의 반응을 조사하여 메세지 전달 효과를 확인 하고, 안료와 유약의 조합과 소성 등 공정 변수에 따른 표현 차이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 563만 가구가 반려동물을 기르는 것으로 추정되며, 반려동물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유기동물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통계 자료에 의하면 2016년 89,000 마리가 유기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이는 하루 244마리가 유기되고 있는 것이다. 유기동물의 증가와 더불어 정부에서 사용되는 처리 비용 또한 증가 하고 있으며, 원보호자를 찾거나, 재 입양을 가지 못한 반려동물의 경우 인도적 처리를 한다. 이는 안락사를 의미한다. 따라서 반려인에게는 반려동물의 입양경로와 애로점, 유기 동물 입양의사 및 사후처리과정 인지여부를 설문조사하였으며, 비반려인에게는 캣맘, 캣 대디에 대한 생각, 유기동물에 대한 생각 및 사후처리 과정에 대해 설문조사를 함으로써 반려동물 및 유기동물에 제도적 정비 및 선진화된 반려동물문화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We are aimed to conduct the survey research to evaluate the university students's awareness pn the care systems of abandoned animals. We deals with the findings obtained from extensive interviews with a representative samples. The objectives of interviews included 546 students in Wonkwang, Keimyung and Chosun University. Questions focused on how students were recognized the need and policies of the care systems of the abandoned animals. Questionnaire and technical data are analysed and summarized.
As the results of the survey research, the objectives of interviews had well understood about the policies of adoption of the abandoned animals.
Conclusionally, the promotions of adoption of the abandoned animals were need. The effective promotions of the adoption of the abandoned animals will be desir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abandoned animal welfare.
There are so many animals, mostly dogs, that have been abandoned by their families to roam around the streets of Korean cities and towns. These animals often die in a miserable way such as being run over or being killed and eaten. It is a terrible site to see these dogs, lost and confused in a world without kindness. One solution to the problem is adoption, as it can save life and by example become a driving force to fundamental change in the thinking of other and in society. We are aimed to conduct the survey research to evaluate the university students's awareness of the adoption of the abandoned animals. We deals with the findings obtained from extensive interviews with a representative samples. The objectives of interviews included 789 students in Wonkwang, Keimyung and Chosun University. Questions focused on how students were recognized the need and policies of the adoption of the abandoned animals. Questionnaire and technical data are analysed and summarized. As the results of the survey research, the objectives of interviews had well understood about the policies of adoption of the abandoned animals. Conclusionally, the promotions of adoption of the abandoned animals were need. The effective promotions of the adoption of the abandoned animals will be desir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abandoned animal welf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