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ome of Helicoverpa species (Noctuidae: Heliothinae) are among the worst Lepidopteran agricultural pests in the world, such as H. armigera, H. assulta, H. zea, and H. punctigera. Despite different distribution areas, these species possibly migrate long distances both with and without human transportation, mixing insecticide resistance alleles along the way. As these species are morphologically similar at the larval stage, diagnostic methods have been developed and utilized for their identification. Here, we developed a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assay for rapid and effective species diagnosis, along with PCR, to identify Korean field-collected or overseas samples. Species-specific primers were designed by aligning and comparing the mitochondrial genomes of related species, including four species.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pecies and the optimal temperature and reaction time of the LAMP assay, depending on the set of four essential primers. For instance, H. armigera sensitivity is good enough to allow visual discrimination when reacted at 61°C for 30 minutes. This simple and accurate LAMP assay can be used for intensive field monitoring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these species.
        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983년 대학 2학년 때 ‘식물분류학 및 실험’ 과목을 수강하면서 우리나라 곤충상을 제대로 밝혀 보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곤충분류연구실에 문을 두드렸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합니다. 그를 계기로 다듬이벌레목 및 딱정벌레목의 바구미상과를 연구대상으로 곤충분류학에 입문하였습니다. 그 결과물로 한국산 바구미류에 대하여 2000년에는 373종, 2001년에는 150종에 대한 ‘원색도감’을 발간하게 되었으며, 2011~2014년에는 대한민국생물지 ‘한국의 곤충 - 바구미류 Ⅰ~Ⅴ권’을 발간함으로써 한반도 바구미상과 곤충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었습니다. 1990년부터 농업해충 연구를 시작, 가옥해충 관리 분야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1996년에 ‘저장곡물해충의 유충검색 및 생태’ 책자 및 2017년에 ‘저장곡물해충 및 위생해충(파리류) 도감’을 발간하였으며, 이 저장곡물해충으로부터 식품에서 문제를 일으킬 곰팡이독소 생성 병원균을 분리․동정(2018)하여 저장식품 관리의 기초를 제공하는 한편, 2008년에는 ‘박물관과 유해생물 관리’ 책자를 발간하여 문화재 관리에서 해충의 중요성을 일깨웠습니다. 1999년부터는 식물검역업무와 인연을 맺게 되면서 검역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검역해충의 동정기술을 개발하여 식물검역관 교육에 힘쓰는 한편, 세계적으로 이슈화 되고 있는 침입외래해충에 대한 생물안보 분야 연구에 집중하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로 ‘외래해충의 검출 및 유입현황 분석(2012~2019)’과 ‘주요 침입해충종의 유입경로 파악(잔디왕 바구미(2009), 미국선녀벌레(2015, 2016), 꽃매미(2013), 블루베리혹파리(2015), 유럽좁쌀바구미(2018))’을 통해 생물안 보 업무에 되먹임(feedback) 및 과학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2013년부터는 대학에서 친환경 해충관리 분야 연구를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로 ‘노린재류 및 씨살이좀벌, 알락하늘소류 해충에 대한 효과적인 천적 탐색(2015~2018)’ 및 ‘인공알을 이용한 천적의 대량증식 기술(2018)’을 개발하여 종합적 해충관리의 학문적 발전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산림청으로부터 수목진단센터를 유치하여 운영하는 한편, 나무의사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생활권 수목에서 문제시 되는 해충을 올바르게 진단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산림해충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2019년 3월에는 ‘수목해충학’ 책자를 교재로 발간하였습니다. 오늘 송정곤충학상을 수상하게 됨을 계기로 제 자신을 뒤돌아보면서 농림해충관리 및 생물안보 분야에 있어서 농민 및 관계자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유용한 정보 및 기술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알찬 연구 및 후학양성에 더욱 매진할 것을 다짐해 봅니다. 우리나라 응용곤충학 분야의 권위 있는 송정곤충학상을 수상하게 되어 개인적으로 큰 기쁨이고 영광이라 생각하면서 한편으론 송구스럽기도 합니다. 저 자신의 노력보다는 연구방향을 지도편달해주신 많은 선생님 및 선배님, 같이 연구해온 많은 동료 및 후배님들 덕분에 이러한 영광을 누릴 수 있음을 밝히면서 한국응용곤충학회 모든 회원님들께 깊이 감사를 드립니다.
        6.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ffects of some essential oils and Sopophora extract on Frankliniella occidentalis adults, Myzus persicae adults, Plutella xylostella larvae, and Spodoptera exigua larvae were investigated. Insecticidal and phytotoxicity activities of emulsion in water formulations containing the active essential oils as active ingredients under laboratory and pot conditions were also tested. Based on these results, NRS-13 and NRS-24 formulations were selected to further assess as follows; the GC and GC-MS analysis on the active essential oils, the quantity analysis of the major components contained in the formulations, their insecticidal activities under pot and field conditions, and their oral, dermal, skin and eye irritation, and fish toxicities. Thus, the NRS-13 (BaechooSaferTM) and NRS-24 (JindiOutTM) formulations could be considered as insecticides for pest control.
        7.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hosphine(PH3) is very effective fumigant and is widely used to control pests. Oxygen treatment was found to enhance phosphine toxicity and reduce fumigation time. We researched the insecticidal activities and synergistic effects of oxygen with phosphine(PH3) against on adult stage of 6 agricultural pests as Frankliniella occidentalis, F. intonsa, Pseudococcus comstocki, Planococcus citri, Myzus persicae and Tetranychus urticae. Adults F. occidentalis, F. intonsa, P. comstocki and P. citri was highly susceptible to PH3 at 2mg/L for 2h treatment. However, M. persicae and T. urticae were showed very low fumigation effects at 2mg/L for 2h treatment. These 2 pests were treated with PH3 to increase the times (16h and 20h). And we also researched the synergistic effects of PH3 under controlled atmospheres of 50% and 80% oxygen(O2). Increase of the time and atmospheric oxygen showed improving activities of the PH3 in the 2 agricultural pests. Therefore, PH3 is an effective fumigant against F. occidentalis, F. intonsa, P. comstocki and P. citri, and its synergistic effect with oxygen is effective to control M. persicae and T. urticae. PH3 with oxygen could be useful for managing the agricultural and quarantine pests.
        8.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해 또는 병충해 관리용 친환경유기농자재로 목록공시된 제품 29종의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유충, 복숭아혹진딧물 성충, 꽃노랑총채벌 레 성충에 대한 살충과 섭식저해활성을 분무법과 잎침지법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평가하였다.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 추천농도 분무 또는 잎침지 시 유효성분으로 고삼 추출물 60% 단제(EOIS)와 고삼외 3종 식물 추출물(백부근, 멀구슬나무, 개박하, EIOSm) 및 고삼외 2종 식물추출물 (EOISc)을 함유한 혼합제의 살충력이 우수했다. 하지만 반량 처리 시 그 활성은 50% 이하로 감소되었다. 파밤나방 유충에 대해서는 고삼 60% 단제(EOIS)만이 우수한 살충력을 보였고, 비슷하게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에 대해 잎침지 후 24시간과 48시간 노출 시 85%와 95%의 살충력을 나타냈다.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에 대한 분무시험에서 고삼 외 3종 혼합제(EOISm)와 유채외 2종 혼합제(EOIR)가 93%와 68% 살충력을 보였 는데, 농도를 배량 증가시켜도 살충력은 크게 향상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추천농도 잎침지에서는 고삼외 3종 혼합제(EIOSm)만이 100%의 강 한 접촉독성을 나타냈는데, 노출 시간과 농도를 증가시키면 시트로넬라오일외 1종(EOICi)과 유채외 2종 혼합제(EOIR)들의 살충력이 증가하였다. 흥미롭게도 cedar oil 16%(EOICe), 고삼 60% 단제(EOIS), 고삼외 3종 혼합제(EIOSm), 고삼외 2종 혼합제(EOISc), 미생물 89.62%(EOIM), 유 채외 2종 혼합제(EOIR), 식물추출물(EOIPe), 차나무추출물 48%(EOIT)제 등은 파밤나방에 대해 분무처리 시 강한 섭식저해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서도 이들 혼합제들 이외에 3종 미생물제들(EOIB, EOIM, EOIBs)과 시트로넬라오일외 1종(EOICi), 겨자외 2종 (EOIMc) 등의 식물 추출물 혼합제들이 70% 이상의 섭식저해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 대상 곤충 종 및 유효성분이나 처리량에 따라 살충 력과 섭식저해력이 차이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고삼추출물외 2-3종 식물추출물을 복합적으로 함유한 혼합제들의 유효력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4,200원
        9.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n the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four major agricultural insect pests including B. tabaci, M. persicae, P. xylostella and T. urticae, electron-beam was irradiated with different doses of 30, 50, 70, and 100 Gy. The effect of electron beam was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longevity, egg hatching, emergence, and fecundity. Eggs hatching of B. tabaci, P. xylostella and T. urticae were more inhibited as increased irradiation doses. Especially B. tabaci and T. urticae eggs were perfectly inhibited to hatch at a dose of 100 Gy. However, these pests showed no lethal effect on the nymph/larva, pupa, and adult stages. When irradiated on the eggs of B. tabaci, P. xylostella and T. urticae, the emergence was inhibited from nymphs/larvae to adults. Individually, B. tabaci emerged adult did not lay eggs at a dose of 70 Gy. Besides, fecundity of P. xylostella emerged adult decreased at a dose of 100 Gy. On the contrary, irradiation did not affect the longevity of P. xylostella adult. When irradiated on B. tabaci, P. xylostella, Myzus persicae and T. urticae nymphs/larvae, emergence was inhibited at doses of 70 and 100 Gy, and decreased the fecundity and inhibited the hatching of laid eggs. However, the longevity of adults did not affect
        10.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oxicity of methanol extract from 28 plants toward four agricultural insect pests were examined using contact toxicity bioassay with spray methods. At a concentration of 1,000 ppm Achyranthes japonica whole body was observed strong activity against Myzus persicae. Paeonia lactiflora root and Corydalis turtschaninovii rhizome methanol extract were observed strong activity toward Tetranychus urticae. Catalpa ovata leaf and Ginkgo biloba leaf and stem methanol extracts were revealed high activity toward Nilaparvata lugens. Actium lap root methanol extract was observed moderate activity against Plutella xylostella. High or moderate insecticidal activity of plant extracts were listed in Fig.1. These plant resource, particularly plant methanol extract or insecticidal constituents, merit further as potential insect pest control agents or leads because of their great activity as a insecticide.
        16.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곤충병원성선충들의 지역농림해충에 대한 병원성은 선충의 종류와 대상해충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한림산 Steinemema sp.와 함양산 Heterorhabditis sp.를 배추좀나방유충 한마리당 3, 6, 12, 24마리 처리한 결과, 여과지상에서 각각 51.8%, 77.8%, 96.3%, 100%와 50.0%, 74.1%, 96.3%, 98.1%의 치사율을 얻었고, 케일잎에서는 44.4%, 63.0%, 76.1%, 94.5%와 79.7%, 81.6%, 94.4%, 100%의 치사율을 얻었다. 구당 (13,27)300,000마리 농도로 배추밭에 처리한 결과 14일후 한림산 Stemermema sp. 는 72.0%, 함양산 Heterorhabditis sp. 는 84.1%의 방제기를 보였다. 이화명나방유충은 높은 농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50~200마리/ml의 낮은 농도에서는 함양산 Heterorhabditis sp.(47.3~100%)가 한림산 Stelnemema sp.(34.3~83.3%) 보다 효과적이었다. 밤바구미와 복숭아명나방유충에 대하여 유충 한 마리당 10, 20 마리의 산칭산 Stemernema sp. 와 함양산 Heterorhabditis sp. 를 처리하여서는 각각 50.0%와 80.0%와 90.0%, 70.0%와 90.0%, 90.0%와 100%의 치사율을 얻었다. 유충 한 마리당 10, 20 마리의 선충을 처리하였을때 노랑털알락나방유충은 포천산 Steinernema sp.에 대하여 매우 감수적이었으나(96.7%~100%) 동래산 Steinernema sp.에서는 낮은 치사율을 보였다.(63.3%~76.7%)
        4,000원
        17.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growth of the Rubus coreanus Miquel fruits, the unripened (10 days) and ripened (25 days) fruits after flowering were harveste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maturational stages of the unripened and ripened fruits were investigated. Total amount of phenolic compounds was 4.00-7.56% in the unripened fruits and 3.78-5.57% in the ripened fruits, respectively. Furthermore, total amounts of organic acids such as malic, citric, succinic, and oxalic acids were 16.40 mg/ 100 g in the unripened fruits and 28.82 mg/100 g in the ripened fruits, respectively. In organic acids of the unripened and the ripened fruits, citric acid (8.76-15.47 mg/100 g) was the highest amount among other organic acids. Soluble sugar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1.07 to 21.54% in the unripened and ripened fruits. Therefore, ripened fruits had the high levels of phenolic compounds, organic acids and soluble sugars. For the biological studies of R. coreanus, methanol extracts of R. coreanus leaves, fruits, and stems were evaluated for their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Myzus persicae (Hemiptera: Aphididae), Plutella xylostella (Lepioptera: Plutellidae) and Spodoptera litura (Lepioptera: Noctuidae) by leaf dipping method. From these results, the extract of R. coreanus leaves revealed potent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P. xylostella. However, the methanol extracts of R. coreanus fruits and stems had no any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M. persicae, P. xylostella and S. litura. The R. coreanus leaves have promising potential as new insecticidal agent against P. xylostel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