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의 고도화와 정밀함이 진행됨에 따라 공정과 부품의 수분 제어 기술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낮은 운영, 설치비용, 항상성 유지, 신뢰성이 확보된 고효율 제습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멤브레인 콘덴서는 고효율의 제습기술 로 주목받고 있으며, 무기막을 활용할 경우 가혹한 환경에 적용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수성 미세다공성 물질인 실 리카라이트-1 (silicalite-1)과 친수성 메조다공성 물질인 γ-알루미나를 이용하여 재료물질의 기공 크기에 따른 멤브레인 콘덴 서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수열합성 및 이차성장을 통해 실리카라이트-1/α-알루미나 멤브레인 콘덴서을 제조하였으며, 보헤마 이트 졸 기법(boehmite sol-gel method)으로 합성한 후 실란코팅을 통해 소수성 개질된 γ-알루미나/α-알루미나 멤브레인 콘 덴서를 제조하였다. 수분 응축 실험을 진행한 결과, 실리카라이트-1/α-알루미나 멤브레인 콘덴서는 36.5%의 수분 제거율을 보였으며, γ-알루미나/α-알루미나 멤브레인 콘덴서는 51.4%의 수분 제거율을 보였다. 이는 메조 기공을 갖는 기공구조가 제 습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며, γ-알루미나가 경제적 이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 어 산업용 제습 응용 분야를 위한 멤브레인 콘덴서에 적합한 물질로 보인다.
본 논문은 대중음악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적 접근을 통해, 초등학교 1인 1악기 수업의 새로운 대중음악 중심의 연주 활동과 스토리텔링, 코드 형상화 등 표현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을 구성하 였다. 이를 바탕으로 총 9차시의 우쿨렐레 수업을 기획하고, 서울시 마포구 소재 초등학교 6학년 을 대상으로 적용한 후 만족도 조사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대중음악을 활용한 실기 중심 수업은 학습자의 흥미와 참여를 유도하고 표현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스토리텔링과 코드 형상화 전략은 학생의 음악 해석력과 몰입도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생 간 수준 차와 환경의 제약 속에서도 수업자의 개별 맞춤 전략은 수업의 포용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대중음악의 교육적 가능 성과 문화예술교육의 실천적 적용이 실기 중심 음악 수업에서도 유의미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보 여주었으며, 향후 학교 실기 음악교육의 다양화와 창의적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갖는다.
The mammalian testis is a highly organized organ essential for male reproduction. Its structure comprises seminiferous tubules lined with Sertoli cells, which support spermatogenesis, surrounded by peritubular myoid cells. Within the connective tissue framework lie the Leydig cells, which synthesize testosterone in response to luteinizing hormone. Research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various ion channels and proteins in testicular function. The TWINK-related acid-sensitive potassium channel 1 (TASK-1), a two-pore channel, is vital for several physiological functions in the testis. Furthermore, Leydig cells uniquely express several key proteins, including c-kit, and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α. The co-expression of these proteins, including TASK-1, in Leydig cells suggest the presence of complex regulatory mechanisms critical for modulating testosterone production, release, and overall testicular function.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1 (TRPV1), a member of the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hannel family, also plays a crucial role in testicular function, influencing processes such as sensory function, steroidogenesis, and sperm function. Hormonal fluctuations and aging affect both the presence and function of TRPV1. This channel is thought to contribute programmed cell death within the testes, particularly impacting Leydig cell survival. Notably, testosterone appears to counteract these detrimental effects by downregulating TRPV1 expression, indicating a complex interplay between TRPV1, testosterone, and overall testicular function. Therefore, we aim to discuss the critical role of ion channels, specifically focusing on TASK-1 and TRPV1 channels, in the physiological and pathophysiological functions of testicular cells.
Background: mTeSR1 is a fully-defined, serum-free medium for the derivation and maintenance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ESC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incorporating mTeSR1 supplement during in vitro culture (IVC) on blastocyst productivity, qualitative characteristics, and outgrowth potential of bovine blastocysts. Methods: In vitro fertilized (IVF) eggs were cultured in IVC medium (control) with the addition of mTeSR1 supplement at concentrations of 1%, 2%, and 5%, respectively. The development rates of fertilized eggs and gene expression patterns of blastocysts were assessed on day 9 of culture. For outgrowth culture, blastocysts were cultured on a mouse embryonic fibroblast feeder cells (MEFs) for 7 days. Results: In vitro development of bovine preimplantation embryos in the 2% mTeSR1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p < 0.05). The apoptotic index in the 2% mTeSR1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control (p < 0.05). RTqPCR indicated that SRY-Box Transcription Factor 2 (Sox2) gene expression in the 5% mTeSR1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p < 0.05). The 5% mTeSR1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CL2 associated X (Bax) expr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and other mTeSR1 groups. On day 9 pi, blastocysts from the control and 2% mTeSR1 groups were cultured for 7 days. The 2% mTeSR1 group showed higher efficiency in forming dome-shaped colonies with stronger SOX2 expr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Conclusions: The mTeSR1 supplement supports preimplantation embryo development and prevents apoptosis in blastocysts, leading to the efficient formation of domeshaped inner cell mass (ICM) colonies.
Background: Lower back pain/injuries are common in caregivers, and physical stresses at the lower back during patient care are considered a primary cause. An instrumented hospital bed my help reduce the physical loads during patient repositioning. Objects: We estimated the physical stresses at the lower back during patient repositioning to assess biomechanical benefits of the instrumented hospital bed. Methods: Fourteen individuals repositioned a patient lying on an instrumented hospital bed. Trials were acquired for three types of repositioning (boosting superiorly, pulling laterally, and rolling from supine to side-lying). Trials were also acquired with two bed heights (10 and 30 cm below the 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and with and without the bed tilting feature. During trials, kinematics of an upper body and hand pulling forces were recorded to determine the compressive and shear forces using static equilibrium equations.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test if the peak compressive and shear forces were associated with repositioning type (3 levels), bed height (2 levels), and bed feature (2 levels). Results: The peak compressive force ranged from 836 N to 3,954 N, and was associated with type (F = 14.661, p < 0.0005) and height (F = 10.044, p = 0.007), but not with bed feature (F = 0.003, p = 0.955). The peak shear force ranged from 66 to 473 N, and was associated with type (F = 8.021, p < 0.005), height (F = 6.548, p = 0.024), and bed feature (F = 22.978, p < 0.0005). Conclusion: The peak compressive force at the lower back during patient repositioning, draws one’s attention as it is, in some trials, close to or greater than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afety criterion (3,400 N). Furthermore, the physical stress decreases by adjusting bed height, but not by using tilting feature of an instrumented bed.
2024년 1월 1일 발생한 규모 7.5의 일본 노토지진은 강력한 지반 운동, 지진 해일과 함께 대기 압력 변동에 의 한 인프라사운드 신호를 동반하였다. 노토지진 인프라사운드 신호는 진앙에서 약 830 km 떨어진 국내 인프라사운드 관측소 뿐만 아니라 약 3,500 km 떨어진 국제관측망에서도 탐지되었다. 지진 발생 당시 성층권과 중간권 고도에 형성된 동-서 반대 방향의 강한 바람은 동북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관측소와 반대 방향인 태평양에 위치한 관측소에서 지진 인 프라사운드 신호 관측을 가능하게 하였다. 역-투사 방법으로 음원의 발생지역을 계산한 결과, 고주파수 대역(1-2 Hz)의 인프라사운드 신호는 주로 진앙을 포함한 일본 내륙의 지반 운동으로 발생했으며, 저주파수 인프라사운드(0.3 Hz 이하) 는 지진과 동시에 발생한 일본 서쪽 해안의 지진 해일(해수면 운동)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해석된다. 지표면-대기 상호 작용 관계식과 지진 해일 경보 높이(3 m)로 추정한 지진 해일 기원의 인프라사운드 음원 크기는 약 120 Pa로 육지 지 반 운동에 의한 음원의 크기(약 280 Pa)와 비교될 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024년 노토지진은 지구 표면의 지반 운동 과 해수면 운동에 의한 인프라사운드 신호가 다중 관측소에서 동시에 관측된 사례로 평가된다.
PIM-1 (polymer intrinsic microporosity-1)은 뒤틀린 구조에 기인한 높은 기체 투과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 체 분리막 소재 중 하나로 활발히 연구되어졌다. 높은 기체 투과 특성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높지 않은 기체 선택성의 한계점 이 존재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PIM-1 분리막에 PEG/PPG-CN을 첨가함으로써 CO2의 용해도 증가에 따른 기체 선택도를 높이고 열처리를 진행하여 PIM-1과 PEG/PPG-CN의 사이아노기가 트라이아진으로 전환되는 재배열을 유도하였다. 그 결과 2 wt%의 PEG/PPG-CN이 첨가되고 열처리된 PIM-1 분리막의 성능은 열처리만 된 PIM-1 분리막과 비교하였을 때 단일 및 혼 합 기체 조건에서 더 높은 이산화탄소의 투과도와 선택도를 가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혼합 기체 조건에서는 단일 기체 조 건에서 보다 높은 이산화탄소 투과도와 선택도를 보이며 실제 기체 분리 공정의 적용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트 라이아진의 가교에 의하여 기체 분리막이 가소화 저항성(anti-plasticization)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ackground: Post-ovulatory aging (POA) of oocytes is related to a decrease i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oocytes caused by aging. Previous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POA have investigated injury to early embryonic developmental ability, but no information is available on its effects on mitochondrial fission and mitophagy-related responses. In this study, we aimed to elucidate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mitochondrial fission and mitophagy in in vitro maturation (IVM) oocytes and a POA model based on RNA sequencing analysis. Methods: The POA model was obtained through an additional 24 h culture following the IVM of matured oocytes. NMN treatment was administered at a concentration of 25 μM during the oocyte culture process. We conducted MitoTracker staining and Western blot experiments to confirm changes in mitochondrial function between the IVM and POA groups. Additionally, comparative transcriptome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and associated changes in mitochondrial dynamics between porcine IVM and POA model oocytes. Results: In total, 32 common genes of apoptosis and 42 mitochondrial fission and function uniquely expressed genes were detected (≥ 1.5-fold change) in POA and porcine metaphase II oocytes, respectively. Functional analyses of mitochondrial fission, oxidative stress, mitophagy, autophagy, and cellular apoptosis were observed as the major changes in regulated biological processes for oocyte quality and maturation ability compared with the POA model. Additionally, we revealed that the activation of NAD+ by nicotinamide mononucleotide not only partly improved oocyte quality but also mitochondrial fission and mitophagy activation in the POA porcine model. Conclusions: In summary, our data indicate that mitochondrial fission and function play roles in controlling oxidative stress, mitophagy, and apoptosis during maturation in POA porcine oocytes. Additionally, we found that NAD+ biosynthesis is an important pathway that mediates the effects of DRP1-derived mitochondrial morphology, dynamic balance, and mitophagy in the POA model.
본 연구는 도서식물자원인 소사나무의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소사나무림의 서식지 외 보전 및 서식환경 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군집구조 분석을 위하여 소사나무가 출현하는 안면도(중장리 산 14-217), 황금산, 가야산(원효봉), 팔봉산을 대상으로 총 27개의 방형구(각 100㎡)를 설치 및 조사하였다. 군집분류는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을 하였다. 군집분류 결과 소사나무-신갈나무 군락(Ⅰ), 소사나무-소나무 군락(Ⅱ), 소사나무-소 나무 군락(Ⅲ), 소사나무-신갈나무 군락(Ⅳ), 소사나무-굴참나무 군락(Ⅴ), 소사나무-잔털벚나무 군락(Ⅵ), 소사나무-때 죽나무 군락(Ⅶ) 등 총 7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종다양도는 0.8056~1.1568, 우점도는 0.1214~0.3024이며, 유사도 지수는 9.37~36.36%이었다. 군락별 6개 환경인자를 RDA ordination로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제 1축을 기준으로 해발고도, 울폐도, 암석노출도, 경사도가 상관관계를 보였다. 군락 Ⅲ(소사나무-소나무 군락)과 군락 Ⅳ(소사나무-신갈 나무 군락)은 주로 해발고도, 암석노출도, 경사도가 식생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로 나타났다. 군락 Ⅴ(소사나무- 굴참나무 군락), 군락 Ⅵ(소사나무-잔털벚나무 군락)와 군락 Ⅶ(소사나무-때죽나무 군락)은 울폐도가 식생분포에 영향 을 미치는 환경인자로 나타났다.